미국풍나무
영국의 왕궁에 유럽 최초로 심었던 귀한 나무
미국풍나무
이번에는 미국에서 온 풍나무를 알아보자. 미국 남동부와 멕시코 등이 원산지인 이 나무를 미국에서는 sweetgum으로 부르는데 이는 이 나무에서 달콤한 수지가 나오기 때문이다. 대부분 온화한 기후의 온대지방이나 아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우리나라에 등록된 4종류의 풍나무 중에서는 그래도 내한성이 가장 강하여 중부지방에서도 장소에 따라서는 노지월동 가능성이 보이는 수종이 바로 이 미국풍나무이다. 학명은 Liquidambar styraciflua로 표기하는데 종소명 styraciflua는 수지가 흐른다는 뜻이다. American sweetgum으로 부르는 일반 영어명이나 학명을 보면 역시 서양인들은 외관상 보이는 아름다운 단풍보다는 달콤한 수지의 실용적인 면을 더 중시하여 이름을 붙여 한중일 동양에서 모두 풍(楓)으로 부르는 것과 대비된다.
이 학명은 1753년 그 유명한 린네가 명명한 것인데 속명 Liquidambar에 이미 액체(liquidus : fluid) 호박(ambar : amber)이란 뜻이 있는데 종소명에서 한번 더 강조된 셈이다. 유럽에 이 나무를 가장 먼저 소개한 사람은 스페인 자연학자 헤르난데스인데 1651년에 액체 호박같은 향기 좋은 수지가 나오는 거대한 나무로 묘사했다고 한다. 그 이전에 이미 유럽에는 불에 태우면 좋은 향기를 내는 마야인들이 사용하던 액체의 존재가 알려졌다고 한다. 1681년 영국 런던의 풀럼 왕궁에 심은 것이 이 나무가 서양에 처음으로 들어간 최초의 역사라고 한다. 중국 황궁에서만 볼 수 있는 귀한 나무라고 일본 에도시절 쇼군이 어렵게 중국에서 구해와서 일본 닛코의 동조궁에 심은 것이 일본 풍나무의 시초라면 유럽에서는 영국 왕궁에 심은 미국풍나무가 시초라니 과거 동양에서나 서양에서나 이 풍나무들을 얼마나 귀하게 여겼는지 알 수 있겠다.
미국풍나무
높이가 20m까지나 자라는 큰 나무가 가을이면 노랑색과 오랜지색 그리고 자주색 및 붉은색이 어우러지는 최고의 황홀한 단풍을 만들어 거대한 장관을 이루며 주로 다섯 갈래로 갈라지는 별모양의 잎에서는 문지르면 향기까지 나고 수피에서는 달콤한 수지까지 흐르는데다가 병충해에도 강하므로 옛날 왕궁에서나 심었을 만한 충분한 자격을 갖춘 나무로 판단된다. 따라서 넓은 공원이나 정원 그리고 대학교 교정 등에 매우 어울리는 수종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매우 빠르게 자라는 속성수이므로 화재나 수해 등으로 망가진 숲이나 자연녹지의 복구 조성에는 매우 적합한 나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암술대가 굳어져 침같이 딱딱해진 이 나무의 열매가 너무 단단하고 다 성숙하여 종자가 날아가고 빈 껍데기 상태로 땅에 떨어져도 그 단단함이 사라지지 않아서 사람이 다칠 수가 있으므로 행인들이 많은 도로나 어린 학생들이 있는 학교 또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의 식재는 피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워낙 수형이 장대한 나무이므로 일반 가정의 좁은 정원에서는 그림의 떡이 라고 할 수 있다.
미국풍나무
이렇게 종자가 날아가고 껍데기만 남은 상태에서도 매우 딱딱하여 맨발로 밟으면 다친다.
그래서 아예 열매가 달리지 않는 원예종도 개발되어 나온다.
Liquidambar styraciflua 'Rotundiloba'
미국풍나무 '로툰딜로바'
잎끝이 둥글고 열매가 맺지 않는 원예종
미국풍나무
자리를 이렇게 넓게 차지하므로 보통 가정에서는 어렵다.
이 나무의 겉 모습이 워낙 단풍나무를 닮았으나 식물 분류상 가장 중요한 꽃과 열매가 단풍나무들과는 엄연히 달라 당연히 단풍나무의 종류는 아니라서 장미목 조록나무과 리퀴담바르속(Liquidambar)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으로 분류되는 단풍나무와는 거리가 한참 멀다. 그런데 서구에서 널리 지지를 받는 가장 최신의 분류법인 APGⅢ에 의하면 리퀴담바르속(Liquidambar)은 조록나무과도 아닌 범의귀목 알팅기아과(Altingiaceae)로 분류하며 그 경우 리퀴담바르속은 그 과의 유일한 속이 된다. 즉 조록나무과와는 좀 이질적인 요소가 있다는 뜻이다.
이 나무의 수지로는 씹는 검을 만들거나 교회나 성당에서 사용하는 향이나 향수의 원료로 그리고 중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약재로 사용하였으며 심지어는 조미료용 향신료로도 사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에서 이 풍나무들의 수지 특히 동양풍나무로 알려진 터키 원산 풍나무에서 추출되는 수지를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유명한 약재인 벤조인 즉 안식향과 동일한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그건 잘못된 정보이다. 벤조인은 때죽나무의 일종인 다른 나무에서 추출되는 수지이므로 이 풍나무에서 추출되는 것과는 다르다.
미국풍나무
지금도 이런 향수제품이 팔리고 있다.
미국풍나무
수지가 이런 모습이기 때문에 액체 호박(琥珀)이라고 불린다. 달콤한 향기가 나므로 Sweet-gum이라고 한다.
이 것이 안식향이라는 벤조인(benzoin resin)인데 주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때죽나무 종류에서 추출된다.
이 나무식재의 우리나라 북방한계선 즉 중부지방에서의 노지월동 가능 여부가 좀 애매하다. 기본적으로 대만 풍나무에 비하여 내한성이 강하여 영하 20도까지는 견디는 것으로 도감에 표시되어 있지만 원산지인 미국에서는 주로 동남부 온화한 지역에서 자생하며 동부 코네티커트주에서도 자생하지만 거기는 한겨울에도 영하 10도 이하로 잘 내려가지 않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중부 월동가능성에 의문이 들게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강릉의 강릉원주대학교에도 큰 나무가 있다니 서울시내의 양지바른 장소라면 충분히 가능할 것도 같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추운 지역에서는 나무가 동해로 죽지는 않더라도 서리를 일찍 맞으면 단풍이 채 들기도 전에 낙엽이 져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 반면에 너무 따뜻한 지역에서는 반상록이나 아예 상록이 되어 이 또한 단풍을 제대로 못보는 단점이 있다.
등록명 : 미국풍나무
학 명 : Liquidambar styraciflua L.
분 류 : 조록나무과 리퀴담바르속 낙엽 교목
신분류 : 알팅기아과 리퀴담바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북미, 중미
영어명 : American sweetgum
일본명 : モミジバフウ(紅葉葉楓)
수 고 : 20m(최대 45m), 흉경 90cm
수 명 : 400년
가 지 : 코르크층
잎결각 : 5개(때로는 3개, 7개)
잎크기 : 10~20cm
개화기 : 3~5월
열 매 : 지름 2.5~3.8cm, 40~60캡슐
미국풍나무
미국풍나무
미국풍나무
미국풍나무
미국풍나무
종자가 날아간 다음에도 겨울을 보내고 다음해 봄이 되어야 열매가 떨어진다.
중국 원산 풍나무에 비하여 가시가 더 굵고 단단하여 간혹 문제를 발생시킨다.
비슷한 모양의 플라타너스 열매는 성숙하면 자연 해체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끝까지 단단한 껍질이 남는다.
플라타너스 열매
처음 모양은 비슷하지만 단단하지도 않고 나중에 자연해체되어
끝까지 딱딱한 가시가 남아 있는 미국풍나무 열매와 비교된다.
미국풍나무
40~60 켑슐에 1~2개의 작은 종자가 들어 있다.
미국풍나무
미국풍나무
어린 가지에는 코르크날개가 있어 마치 우리나라 혹느릅나무나 화살나무 비슷하다.
미국풍나무
날개가 모든 가지에 다 발달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풍나무
미국풍나무
주맥액에 모총
미국풍나무
측맥액에도 모총이
미국풍나무
샘점 모양의 거치
미국풍나무
미국풍나무
간혹 7갈래로 갈라진 잎도 있다.
미국풍나무
아주 드물게 3갈래로 갈라진 잎도 있다.
미국풍나무 암꽃
미국풍나무 수꽃
미국풍나무
위(좌) 10월, 아래(우) 12월 모습
암술대가 변하여 단단한 가시같은 모습을 하는데 풍나무에 비하여 굵고 그 숫자가 적다.
미국풍나무
동아 포린의 가장자리에만 털이 있어 풍나무와 차이를 보인다.
미국풍나무 수피
미국풍나무
다양한 용도의 목재로 사용된다.
'조록나무과 > 풍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0 아칼리키나풍나무 Liquidambar acalycina, 결악풍향수(缺萼枫香树) (0) | 2017.01.15 |
---|---|
259 동양풍나무 Liquidambar orientalis 소합향(苏合香)나무 (0) | 2017.01.15 |
257 풍나무(대만풍나무) - 풍향수(枫香树), 중국단풍과 차이점 (0) | 2017.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