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국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거의 불가능한 수국에 반하여 중부지방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전역 산지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내한성이 강한 수국이 있는데 이를 우리는 산수국이라고 한다. 얼핏 봐서는 수국은 공모양의 폼폼형 꽃이 피고 산수국은 평편한 레이스캡형 꽃을 피워 꽃모양이 다르기는 하다. 그러나 앞에서 봤듯이 수국 중에는 백당수국이라고 레이스캡형 꽃이 피는 종도 있다. 그리고 산수국 중에도 알고 보면 공모양의 폼폼형 꽃이 피는 종도 있다. 그럼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구분한다는 말인가? 그것이 궁금하다.
레이스켑형 꽃이 피는 수국의 변종 백당수국
이래서 꽃모양만으로 수국과 산수국을 구분할 수는 없는 것이다.
폼폼형 꽃이 피는 산수국도 있다.
마이코(マイコ : 舞妓)
폼폼형 꽃이 피는 산수국
시로마이코(シロマイコ : 白舞妓)
산수국이라는 이름은 1937년 발간된 정태현 등의 조선식물향명집에 근거하는데 아마 일본 이름 야마아지사이(ヤマアジサ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야마(山)가 산이고 아지사이(紫陽花)가 수국이므로 결국 산수국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자생하는 키가 낮은 수국속 관목인데 우리나라와 일본의 도감에서는 중국 남부나 대만에서도 자생한다고 기재하고 있지만 정작 중국이나 대만에서는 자국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고 한다. 주로 산중 습지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산자양화(山紫陽花)라고 한자표기하는 야마아지사이(ヤマアジサイ) 외에 사와아지사이(サワアジサイ)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택자양화(沢紫陽花)로 한자표기 한다. サワ(沢)는 소택지 즉 습한 땅을 말한다.
산수국의 학명은 수국과 마찬가지로 동양의 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본에 파견된 린네의 직계 제자인 스웨덴 식물학자 툰베리(1743~1828)에 의하여 1784년 당초에는 인동과 산분꽃나무속인 Viburnum serratum Thunb.으로 발표가 된다. 그후 1830년에 프랑스 식물학자 Nicolas Charles Seringe(1776~1858)에 의하여 수국속으로 변경된 학명 Hydrangea serrata (Thunb.) Ser.가 발표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종소명 serratum이나 serrata는 잎에 톱날 같은 날카로운 거치가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 산수국을 수국 즉 Hydrangea macrophylla에 포함하여 그 하위 아종이나 변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럴 경우 1929년 일본학자 마키노가 수국의 아종으로 발표한 학명 Hydrangea macrophylla subsp. serrata (Thunb.) Makino가 널리 인정받고 있다.
설구화 -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학명 : Viburnum plicatum
꽃모양이 수국을 매우 많이 닮았다. 그래서 툰베리가 혼동한 것이다.
이를 일본에서 오오데마리(オオデマリ: 大手毬)라고 하며 별명으로 데마리바나(てまりばな)라고 한다.
데마리바나를 현재는 대부분 手毬花(수구화)로 쓰지만 과거에는 手鞠花(수국화)라고도 썼다.
바로 여기서 수국이라는 우리나라 이름이 유래하는 것 같다.
조선 순조시절까지 수구화(绣球花)라는 표기되던 우리나라 이름이
수국으로 갑자기 변한 것은 음이 변한 것이 아니라 일본 이름 手鞠을 따라한 것으로 보인다.
이 설구화의 중국 이름은 분단(粉团)인데 수국의 중국 별명이기도 하다. 그만큼 수국과 헷갈리는 수종이다.
한편 산수국을 별도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는 경우 다시 10여 개의 다양한 아변종으로 세분하여 분류하기도 하는데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된 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iebold & Zucc.) E.H.Wilson이다. 이 학명은 일본에 체류하던 독일 의사겸 생물학자인 지볼트가 1839년 잎이 길고 뾰족하다고 Hydrangea acuminata로 명명한 것을 1923년 영국학자 윌슨이 Hydrangea serrata의 하위분류군인 품종으로 변경 발표한 것이다. 그 외에도 우리나라에는 자생종으로 탐라산수국과 꽃산수국 그리고 떡잎산수국이 Hydrangea serrata의 하위 품종으로 더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학명들은 국제적으로는 모두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과연 어떤 차이점이 있길래 산수국을 10여 개로 세분하였는지에 대하여 일일이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국제적으로는 이들 중 홋카이도 원산의 변종 Hydrangea serrata var. yesoensis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를 산수국 원종에 통합시켜 이명처리한다. 그래서 산수국의 유사학명은 수국보다도 더 많은 무려 45개에 달한다.
우리나라 이름은 정명인 산수국 외에도 1949년 박만규가 우리나라식물명감에서 털수국이라고 하였으며 1966년 이창복이 한국수목도감에서 털산수국이라고 기재하였다. 다소 생소한 이름이지만 나름대로 특성을 표현한 이름이다. 영어권에서는 이 산수국을 mountain hydrangea 또는 tea of heaven이라고 부른다. 독성이 있어 식용이 불가능한 수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일부 산수국의 잎으로 차를 끓여 마시는데 그 맛이 달다고 이 차를 아마차(甘茶 : アマチャ)라고 부르며 신사나 사찰에서 사용하여 천차(天茶)라고도 부르기 때문이다. 그 차 뿐만 아니라 그런 단맛이 나는 산수국 변종도 아마차(甘茶 : アマチャ)라고 부르며 학명을 Hydrangea serrata var. thunbergii로 표기한다. 이 학명이 우리나라에도 외래 재배종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등록명은 툰베리산수국이다. 중화권에서는 산수국을 일본이름 사와아지사이(サワアジサイ) 즉 택자양화(沢紫陽花)를 따라서 택팔수구(泽八绣球) 또는 택팔선(泽八仙)이라고 부른다. 습지 팔선화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이 종이 과거 기록에는 자국에서 자생한다고 나와 있지만 실제로 발견되지 않아서 미해결 상태 즉 이른바 존의종(存疑种)으로 분류하고 있다.
툰베리산수국 Hydrangea serrata var. thunbergii
아마차(甘茶 : アマチャ)
꽃모양으로 구분은 거의 불가능하고 잎의 맛을 봐야 구분이 가능하다. 이 변종 또한 산수국에 통합되었다.
등록명 : 산수국
이 명 : 털수국, 털산수국
학 명 : Hydrangea serrata (Thunb.) Ser.
이 명 : 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iebold & Zucc.) E.H.Wilson
분 류 : 수국과 수국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우리나라, 일본
일본명 : 야마아지사이(ヤマアジサイ)
중국명 : 택팔수구(泽八绣球)
영어명 : mountain hydrangea
수 고 : 1~2m
수 피 : 회갈색, 얇게 박락
약 지 : 담록색, 모 밀생 또는 무모
잎크기 : 5~15 x 2~10cm
잎모양 : 장타원형, 선단 길고 뾰족, 기부 설형, 원형, 삼각형 거친 거치, 파상 거치
잎면모 : 표면 거의 무모, 배면 맥상 맥액에 단모
잎자루 : 1~3cm
꽃차례 : 가지 끝 취산화서
장식화 : 지름 1.5~3cm, 악편 3~4개, 타원형, 기부 협소
양성화 : 화관관 1.5mm, 꽃잎 3~5, 수술 5~10개, 암술 1개, 암술대 3~4개
열 매 : 삭과 3~4mm, 난형, 타원형, 양측 돌기형 날개
개화기 : 5~7월
결실기 : 10~11월
동 아 : 정아 - 나아, 장 1~1.3cm, 장란형 측아 - 방추형, 작은 2개 아린
엽 흔 : 삼각형, 얕은 하트형
내한성 : 영하 23도
산수국
산수국
산수국
장식화가 양성화인 산수국
탐라산수국이 이런 모습이다.
산수국 紅額 ベニガク
산수국 紅額 ベニガク
산수국 七段花 シチダンカ
산수국
산수국
산수국
수술이 5~10개이다.
산수국
산수국
암술대는 3~4개이다.
산수국 장식화
꽃받침이 변한 것이다.
산수국 열매
산수국
산수국 종자의 양쪽에 돌출형 날개가 있다.
산수국 엽흔은 삼각형
산수국 동아
산수국 동아
산수국
전년지에서 나오는 신년지 끝에 꽃이 피기 때문에 전년지가 없으면 꽃도 없다.
산수국
신년지에 털이 밀생한다는데 이 경우는 없다.
산수국 꽃망울
산수국과 수국의 차이점과 분류방법
꽃모양만으로는 구분이 어렵다면 과연 산수국은 수국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어떻게 구분이 가능할까? 바로 이 질문의 대답이 위에서 장황하게 언급한 각 나라의 이름에 거의 다 들어 있다. 그래서 학명과 각국 이름을 다소 지루하게 나열한 것이다.
1. 산수국의 잎은 좁고 길고 뾰족하다. - acuminata
2. 산수국의 잎의 거치는 날카롭다. - serratum이나 serrata
3. 산수국의 잎에는 털이 있다. - 털수국 또는 털산수국
4. 산수국은 주로 산지에서 자생한다. - 산수국, 산자양화(山紫陽花), mountain hydrangea
5. 산수국은 주로 습지에서 자란다. - 택자양화(沢紫陽花), 택팔수구(泽八绣球)
6. 산수국은 독성이 없어 일부 변종은 차로 마신다. - 아마차(甘茶 : アマチャ), tea of heaven
그외에도 차이점은
7. 산수국의 잎은 수국과는 달리 광택이 없다
8. 산수국의 잎은 수국에 비하여 얇고 연하다.
9. 산수국의 키는 수국에 비하여 작다.
10. 산수국의 개화시기가 수국에 비하여 보름 정도 빠르다.
11. 품종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산수국의 내한성이 수국보다 강하다. - 중부지방 노지월동 가능
12. 수국은 폼폼형 꽃이 일반적이지만 산수국은 레이스켑형 꽃이 대부분이다.
좌 : 산수국, 중 : 산수국 七段花, 우 : 수국
수국을 제외한 산수국의 그 원예종에는 털이 있다.
좌 : 산수국, 중 : 산수국 七段花, 우 : 수국
수국은 넓고 광택이 있으며 두껍지만 산수국은 광택이 없고 얇다.
산수국
산수국 七段花
수국
털이 없다.
산수국
거치가 날카로우며 가장자리와 잎맥에 털이 보인다.
산수국 七段花
수국의 잎에는 털이 없으며 거치가 날카롭지 않다.
'수국과 수국속 > 산수국 Serr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9 산수국 '페인터즈 팔레트'와 수국 '프레지오사' (0) | 2018.09.18 |
---|---|
528 산수국 원예종 - 인테르메디아, 키요수미, 코마차, 미야마 야에 무라사키, 시로후지 (1) | 2018.09.16 |
527 산수국 원예종 - 블루 빌로우, 블루 버드, 다이아뎀, 후지노타키, 홋카이도 (0) | 2018.09.16 |
526 산수국 원예종들- 블루 데클, 코이룰레아 레이스, 그레이스우드, 쿠로히메, 미도리보시테마리, 미란다, 시로가쿠, 베니가쿠 (0) | 2018.09.15 |
525 탐라산수국 꽃산수국 떡잎산수국 그리고 비합법명의 정의 (0) | 2018.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