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만병초아속 31

1389 분홍산광만병초 - 변종으로 편입된 분홍두견(粉紅杜鵑)

산광만병초에는 3개의 변종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우리나라에 등록된 분홍산광만병초이다. 분홍산광만병초는 그 이름만 들었을 때는 마치 산광만병초와 꽃 색상이 다른 수종으로 오해하겠지만 실제로는 이 수종은 산광만병초의 변종인데 꽃색상은 전혀 원종과 다름없이 담홍색으로 동일하다. 다만 자방이 털도 샘선도 없이 매끈한 산광만병초에 비하여 이 분홍산광만병초는 자방에 털은 없지만 자루가 있는 선체가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꽃잎도 6~7갈래로 갈라져 7~8갈래로 갈라지는 원종보다는 적게 갈라지는 편이다. 그런데도 왜 분홍산광만병초라는 이름을 달고 있을까? 그 이유는 원산지 중국에서 이를 분홍두견(粉紅杜鵑)이라고 부르는 데다가 이 수종이 산광만병초의 변종이므로 이를 결합하여 우리나라서 분홍산광만병초라고..

1388 산광만병초 - 중국 원산 산광두견(山光杜鹃)

진달래속 만병초아속은 무려 25개의 아조로 세분되는데 그 중에 화관이 넓은 종형이고 화관 기부에 꿀샘 주머니가 없으며 자방에 털이 없고 그 대신에 선체(腺體)가 있는 것이 특징인 Subsect. Fortunea라는 아조가 있다. 이 아조(subsection)는 17~26종의 수종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두 중국 사천성을 중심으로 한 인근 중국 성과 인근 동남아 국가에서 일부 자생하며 모식종은 중국 중남부지역에서 널리 자생하는 운금두견(云锦杜鹃)이라고 부르는 운금만병초이다. 이 운금만병초는 이미 앞 511번 게시글에서 다룬 바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 아조를 운금만병초아조(云锦杜鹃亚组)라고 부르는데 이 아조에 속하는 수종으로 운금만병초 외에도 산광만병초와 사천만병초 등 원종 3개와 변종과 원예종 2개가 ..

1387 대왕만병초 - 잎이 엄청나게 큰 중국 고유종

중국에서는 상록두견아속이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무인편석남화아속이라고 부르는 만병초아속은 한결같지는 않아서 다시 20여 개의 아조(亞組)로 세분되는데 그 중에서 우리 자생종 만병초와 노랑만병초들은 모두 장서(長序)만병초아조로 분류된다. 그 외에도 외래종으로 유럽만병초를 비롯한 코카서스지방 원산의 4종과 대만 원산 미소만병초 일본 원산 야쿠시마만병초 그리고 미국 원산 미국만병초와 카토바만병초 등이 이 아조로 분류된다. 장서만병초아조는 말 그대로 꽃차례(花序)가 긴 것이 특징이겠지만 무엇보다도 내한성이 강하여 대부분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도 노지 재배가 가능하다는 것이 매우 중요한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에 만병초아속으로 등록된 27개 수종 중 10종이나 장서만병초아조에 속하여 가장 많다..

1386 종화만병초 - 히말라야 원산 중국명 종화두견(钟花杜鹃)

학명 Rhododendron campanulatum D.Don.인 종화만병초도 앞 게시글의 가시만병초와 비슷한 히말라야 인근 지역에서 자생하는 수종인데 이 또한 왈리치가 수집한 이른바 왈리치의 표본 20,000점에 포함된 상록관목이다. 이 수종은 인도 서북부 Sirmur지역에 캘커타식물원의 분원을 만들어서 관리하면서 그 지역 식물 채집을 하던 George Govan(1787–1865)이라는 식물학자가 채집한 것인데 정확한 채집일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앞 가시만병초는 왈리치 자신이 채집하고 직접 명명하여 1824년 그의 카타로그에 이름을 올린 다음 나중인 1834년에 식물학자 George Don(1798~1856)이 정식으로 명명한 것과는 달리 이 수종은 아마 미리 영국으로 보내서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Da..

1385 가시만병초 - 히말라야 원산 꽃과 수피가 아름다운 수종

가시만병초는 인도북부와 네팔 부탄 그리고 중국 티벳 등 히말라야를 둘러싼 지역에서 자생하는 심홍색 또는 주홍색 꽃이 피는 키가 6~8m까지 자라는 큰 관목 또는 소교목인데 특이하게 어린 가지와 잎자루 및 잎 뒷면 그리고 자방과 열매 등에 뻣뻣한 수염과 같이 생긴 털이나 자루가 있는 선모(腺毛)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이를 처음 발견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근무하던 외과의사 겸 식물학자인 Nathaniel Wolff Wallich (1786~1854)가 1821년 이전에 네팔 Gosain Than에서 표본을 채집하고 1824년에 Rhododendron barbatum Wall.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 당시 그는 인도의 캘커타 왕립식물원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었는데 본인이 직접 채집하거나 다른 채집가..

1384 불범만병초 - 부범만병초(x) 중국 원산 불범두견(不凡杜鹃)

우리나라 국표식에 처음에는 인시그네철쭉이라고 등록되었다가 최근에 부범만병초라고 국명을 변경한 수종이 있는데 이 수종은 중국 남방에서만 자생하는 중국 고유종으로서 중국명은 한자로 不凡杜鹃(불범두견)이다. 이 수종의 학명은 Rhododendron insigne인데 여기서 종소명 insigne는 영어로 Remarkable 또는 distinguished라는 뜻으로 ‘주목할 만한’ 또는 ‘빼어난’이라는 뜻이다. 결국 평범하거나 심상치 않은 비범(非凡)하다는 뜻이므로 중국에서 이름을 비범(非凡)과 거의 유사한 단어인 不凡이라고 붙인 것이다. 그런데 국내서 이 중국 고유종을 처음에는 학명을 그대로 읽어서 인시그네만병초도 아닌 인시그네철쭉이라고 하다가 최근에 부범만병초로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자 不凡은 부범..

1383 은엽만병초 - 은협만병초(x) 중국 은엽두견(银叶杜鹃)

진달래속은 학자에 따라서 8~10개의 아속으로 구분이 되는데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들은 대부분 영산홍아속과 철쭉아속 그리고 만병초아속과 두견(진달래)아속 등 4개의 아속으로 분류가 된다. 그 중에서 만병초아속과 두견아속을 영어로 로도덴드론(Rhododendron)이라고 부르며 로도덴드론 중에서 두견아속 일부 수종들을 제외한 대부분을 우리는 만병초라고 부른다. 중국에는 진달래속 전체를 두견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만병초라는 말이 별도로 없고 단지 상록두견 정도로 부르고 있다. 일본에도 만병초(萬病草)라는 용어는 없지만 석남화(石楠花)라고 불리는 수종들이 있는데 우리 만병초와 매우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만병초아속은 학명으로 Subgen. Hymenanthes라고 하는데 이 아속(亞屬)은 학자에 따라서 의..

1382 미국만병초 - 시중의 미국만병초와는 전혀 다른 소교목

우리나라 국표식에 미국만병초는 학명이 Rhododendron maximum으로 등록되어 있어 요즘 시중에서 미국만병초라고 하면서 많이 판매하고 있는 잎이 암녹색이다가 월동기에는 자갈색으로 변하는 품종과는 전혀 다른 품종이다. 학명 Rhododendron maximum인 미국만병초는 북미 동부 세로로 길게 뻗어 있는 애팔래치아산맥 남쪽 앨라배마주에서부터 북쪽 캐나다 온타리오와 노바스코샤(Nova Scotia)까지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자생하는 키가 주로 4~5m이지만 가끔 줄기 지름 30cm에 높이 최대 10m까지도 자라는 소교목이라서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하면서 가장 크다는 의미의 종소명 maximum을 붙여서 명명한 것이다. 이미 그 이전인 1736년에 Peter Collinson(1694~..

1381 카토바만병초 - 미국 동남부 원산 아름다운 수종

카토바만병초라는 국명으로 등록된 Rhododendron catawbiense는 북미 대륙의 동쪽 캐나다 북동부 거의 끝에서부터 미국 남부 앨라배마주까지 남북으로 뻗어 있는 장장 2,400km나 되는 애팔래치아산맥의 남쪽 끝자락인 미국 버지니아주 남부과 앨래배마주 북부에서 자생하는 키가 3m인 상록 관목이다. 주 자생지가 과거 인디언 카토바족이 거주하던 카토바(Catawba)강 유역이라고 프랑스 식물학자이자 탐험가인 André Michaux(1746~1802)가 그렇게 명명한 것으로 그의 사후 아들이자 역시 식물학자인 François André Michaux(1770~1855)에 의하여 1803년 발간된 그의 유작 Flora Boreali-Americana라는 도감에 수록이 되어 있다. 지름 3~4.5cm..

1380 코카서스만병초 - 코카서스지방과 터키 원산 왜성 관목

유럽과 서아시아의 경계에 있는 흑해 주변에서 만병초가 몇 종 자생하는데 그 중 하나는 우리가 유럽만병초라고 부르는 Rhododendron ponticum으로서 이 수종이 바로 만병초아속의 대표격인 모식종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유럽만병초의 원종은 지역적으로는 흑해를 둘러싸고 있는 아시아지역에서 자생하여 과거 그 지역에 있던 폰투스왕국의 이름을 따서 린네가 그렇게 학명을 붙였지만 나중에 유럽지역인 불가리아 등지에서도 일부 자생지가 발견되었고 또한 유럽만병초의 변종 하나가 스페인과 포르투칼 등 이베리아반도에서 발견되었으므로 결과적으로 유럽만병초라는 이름이 완전 엉뚱한 이름은 아니게 되었다. 그리고 흑해 남동쪽 터키 아르트빈지역에서 스미노프만병초와 운게른만병초가 발견되어 각각 발견자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