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철쭉아속 12

1335 노랑철쭉 - 유럽 원산 철쭉아속의 모식종

우리나라에 등록된 진달래속 320종은 희귀종인 좀참꽃과 한라산참꽃나무 두 종과 외래종 서시철쭉과 모면철쭉 두 종을 제외하면 모두 4개의 아속으로 분류된다. 이 4개의 아속 중 둘은 Rhododendron으로 불리고 둘은 Azalea로 불린다. 우리말이 없으므로 중국의 이름을 참고하여 나름대로 부르면 만병초아속과 두견아속은 전자에 속하고 철쭉아속과 영산홍아속은 후자인 아잘레아에 속한다. 이렇게 분류하면 진달래속 전체를 파악하기 쉬워지는데 여기서 하나 우리나라 전역에 흔한 진달래가 철쭉아속도 영산홍아속도 아닌 두견아속으로 분류되어 만병초와 함께 로도덴드론 그룹으로 분류된다는 것은 뜻밖으로 느껴진다. 진달래가 왜 영산홍이나 철쭉이 아닌 다소 이질감이 있는 만병초와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는지에 대하여는 앞으로 파..

1334 철쭉 = 연달래, 참철쭉 - 최고의 정원수

진달래속에 등록된 320개 수종 중 철쭉을 가장 먼저 파악해 보자. 우리나라에는 진달래속 수종으로는 진달래와 철쭉 그리고 산철쭉이 흔하게 자란다. 그 외에도 과거 석남초로 불렀던 만병초와 참꽃나무 그리고 심지어는 차(茶)라고 불리는 수종도 있지만 제주도나 울릉도 그리고 백두산 등지에서 자생하기 때문에 결코 흔한 수종은 아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흔한 수종은 진달래와 산철쭉 그리고 철쭉인데 여기서 산철쭉은 철쭉과는 또 다른 우리 고유종인데 다음에 다루기로 하고 이번에는 먼저 철쭉에 대하여 알아본다. 진달래는 순수 우리말 이름이고 철쭉은 중국에서 온 한자어에서 유래된 말이다. 그럼 철쭉(躑躅)은 우리말 이름이 없었고 진달래는 한자식 이름이 없었던 것일까? 결코 그렇지 않다. 철쭉의 우리말 이름은 함박꽃과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