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층층나무과/산딸나무

726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낙은재 2019. 5. 24. 09:44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비너스에 이어 또 하나의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인 스타라이트(Starlight)를 알아보자. 이 품종 또한 미국 뉴저지주립대학인 럿거스(Rutgers)대학의 세계적으로 저명한 육종가인 엘윈 오르토니박사팀이 동양의 산딸나무와 미국 원산의 누탈리산딸나무를 교잡시켜 개발하여 2003년 발표하고 2006년 미국 특허 승인을 득한 종간 교잡종이다. 비너스와 같은 시기에 같은 육종가에 의하여 선종 개발되었지만 비너스가 산딸나무와 누탈리산딸나무의 교잡종을 다시 산딸나무와 역교잡시켜 개발한 것인데 반하여 이 스타라이트는 동양 원산의 산딸나무 원예종인 Cornus kousa ‘Simpson No. 1’와 누탈리산딸나무 원예종인 '골드 스팟'을 교잡시켜 개발된 품종이다. 모종인 산딸나무 '심슨 1호'는 미국 인디아나주 빈센즈(Vincennes)에 있는 심슨 육종원(Simpson nursery)에서 개발한 품종으로서 왕성하게 최대 6m까지 넓게 옆으로 퍼지면서 자라며 꽃이 매우 풍성하게 피는 품종이다. 부종인 누탈리산딸나무 '골드 스팟'은 비너스의 모종의 1차 교잡에도 사용된 품종인데 잎에 노란 무늬가 점점이 들어 있는 품종이다.


산딸나무 '심슨 1호'(미등록종)


누탈리산딸나무 '골드 스팟'


비너스와 함께 럿거스대학의 등록 상표인 저지 스타 시리즈(Jersey Star Series)로 분류되는 스타라이트는 비너스와 몇 가지 다른 점을 보인다. 첫째 비너스에 비하여 약 1주일 일찍 개화하는 꽃의 사이즈가 12.5cm 이하라서 15~20cm까지 된다는 비너스에 비하여 작다. 그리고 가지가 왕성하게 발달은 하지만 비너스와 같이 아래로 처지는 성질은 없다. 그리고 겨울 화아를 포엽이 완전하게 감싸는 비너스와는 달리 이 스타라이트는 일부분만 감싼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 외에는 병충해에 강하고 가뭄에도 잘 견디고 누탈리를 닮아 꽃잎이 4장 이상인 경우도 있으며 동양 산딸나무와 같은 열매가 달린다는 점에서는 비너스와 비슷하다. 특허 품종명은 'KN4-43'이지만 유통 상품명은 별빛을 뜻하는 스타라이트로 불린다.


이  름 :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미등록종)

학  명 : Cornus × elwinortonii 'KN4-43'

이  명 : Cornus × elwinortonii Starlight®

이  명 : Cornus 'KN4-43' Cornus 'Starlight'

분  류 :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낙엽 소교목

시리즈 : 저지 스타 시리즈

수  고 : 9m, 너비 7m

특  징 : 종간 교잡종, 부 - 누탈리산딸나무 '골든스팟', 모 - 산딸나무 '심슨 1호'

육  종 : 미국 럿거스대학 엘윈 오르톤박사와 David A. Gant

특  허 : 2003년 럿거스대학 명의로 미국 특허 신청, 2006년 취득

특  징 : 백색 꽃이 풍성하게 피며 병충해도 없고 열매도 달리고 단풍도 아름답다.

열  매 : 딸기 모양

개화기 : 늦봄 또는 초여름

장  소 : 양지 또는 반 그늘

관  수 : 주 1회 또는 그 이상, 가뭄에 강함

내한성 : 영하 23도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


엘윈오르토니 산딸나무 '스타라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