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니사과

745 니사 비플로라 - 니사 실바티카의 변종인 습지 수종

낙은재 2019. 6. 19. 09:19

니사 비플로라

밑둥치가 불룩한 것이 특징이다.


니사 비플로라

잎이 원종인 실바티카에 비하여 좁고 길다.


미국 동부에서 자생하는 니사 비플로라는 영국 태생 미국 식물학자 Thomas Walter (1740 – 1789)가 미국 최초로 1788년 린네의 분류법에 따라 라틴어로 쓴 도감 Flora Caroliniana에 Nyssa biflora라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여 수록하면서 최초로 명명된다. 그러나 이 수종은 니사 실바티카와 유사성이 많아서 1893년 하버드의 찰스 스프라그 사전트 즉 Charles Sprague Sargent(1841~1927)교수가 니사 실바티카의 변종으로 분류하여 Nyssa sylvatica var. biflora로 학명 표기를 한다. 그 후 실바티카의 아종으로 분류한 학자도 있었지만 지금 현재는 거의 모두 실바티카의 변종으로 인정하고 우리나라도 그렇게 등록하고 있다. 참고로 Thomas Walter는 우리나라에도 자생하는 말채나무의 학명 Cornus walteri가 그를 기려 그의 이름으로 명명된 것이며 Charles Sprague Sargent는 1872년 하버드대학 부설 아놀드수목원을 설립하여 1927년 그가 죽을 때까지 원장으로 재임했던 사람이다.


원종인 니사 실바티카와는 달리 주로 습지에서 자라고 있어 영어로 swamp tupelo 또는 swamp blackgum으로 불리는 이 변종은 나무 밑둥치가 불룩하고 잎이 좁고 길며 종자의 능선이 뚜렷하고 열매가 좀 더 크다는 점 등에서 원종과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전체 높이는 실바티카에 비하여 조금 작다고는 하지만 별 차이가 있는 것 같지는 않고 가을 단풍은 원종과 마찬가지로 아름답다고 하지만 그렇게 널리 분포된 나무는 아닌 것 같다. 이 수종 또한 자웅이주가 기본이다. 월터교수가 명명할 당시의 종소명 biflora는 꽃이 두 개라는 뜻인데 아마 암술대가 주로 2개라서 열매도 주로 쌍으로 달린다고 그렇게 명명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1~3개라서 고유한 특징은 못되는 것 같다. 


등록명 : 니사 비플로라

학  명 : Nyssa sylvatica var. biflora (Walter) Sarg.

이  명 : Nyssa biflora Walter

분  류 : 니사과 니사속 낙엽 교목

구분류 : 층층나무과 니사속 낙엽 교목

원산지 : 미국 동부

영어명 : swamp tupelo 또는 swamp blackgum

수  고 : 15m

내한성 : 영하 28도



니사 비플로라 수꽃


니사 비플로라 수꽃


니사 비플로라 열매


니사 비플로라


니사 비플로라 종자


니사 비플로라


니사 비플로라


좌 : 니사 실바티카 우 :니사 비플로라


좌 : 니사 실바티카 우 :니사 비플로라


좌 : 니사 실바티카 우 :니사 비플로라

원종인 실바티카는 주로 숲에서 자라지만 비플로라는 물에 잠겨 자라기도 한다.


좌 니사 실바티카는 암술대가 주로 3개라서 열매 또한 주로 3개이지만 비플로라는 주로 2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