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실거리나무아과

839 겨울꽃결명 - 초겨울에 매우 아름다운 꽃이 피는 관목

낙은재 2019. 11. 8. 14:20


겨울꽃결명


겨울꽃결명


겨울꽃결명

겨울에 이런 꽃을 피우므로 사랑을 받는다.


콩과 Senna속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249종이 주로 열대지방에 분포하고 있는데 우리 자생종은 없다. 아직 국내서는 속명이 없이 그냥 Senna속이라고 하지만 이제는 결명자속이라고 불러야 될 듯하다. 이미 중국과 일본에서는 그렇게 부른다. 콩과 실거리나무아과에 속하기 때문에 결명자속의 꽃들은 그 모습이 어딘지 모르게 실거리나무 꽃과 닮은 점이 있다. 실거리나무아과(Caesalpinioideae) 중에서도 결명자속(Senna)과 Cassia속 그리고 차풀속(Chamaecrista) 등은 결명자족 즉 Cassieae를 분류되기 때문에 매우 가까운 사이가 된다. 그래서 서로 왔다갔다하였으며 우리나라에 등록된 Cassia속 3종은 모두 현재 Senna으로 변경된 것이다. 참고로 콩과는 크게 콩아과와 미모사아과 그리고 실거리아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중 자귀나무와 아카시나무 등 미모사아과 목본들은 이미 탐구를 마쳤고 현재 실거리아과를 공부하는 중이다.


결명자속(Senna)은 초본과 관목 또는 교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잎은 우수 우상복엽이고 엽축이나 엽병에 분비샘이 있으며 엽액에서 생성되는 가지 끝에 노란 꽃이 피어 총상화서나 원추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은 5개이며 복와상배열을 하고 꽃잎도 5개이며 수술은 10개이지만 일부는 퇴화한다. 열매는 협과 즉 꼬투리이며 그 속에 여러 개 종자가 있는데 가운데 가로막이 있다. 이 세나속 즉 결명자속의 식물들이 모두 열매를 차나 약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것은 아니다. 세나속 중에는 키가 큰 나무로서 매우 아름다운 꽃을 피워 관상수로 재배하는 수종들도 더러 있다. 그 중에는 남미 열대지방에서 12월부터 4월까지 꽃을 피우는 Senna macranthera라는 종도 있고 3~4월에 꽃피는 Senna spectabilis도 있는데 이 두 종은 우리나라에 등록되지 않고 다소 내한성이 높으면서 관상가치가 있는 관목인 Senna bicapsularis가 겨울꽃결명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그 이름만 들어도 겨울에 매우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는 것을 단번에 알 수 있다. 그렇다. 외래종의 식물 이름은 이렇게 붙여야 우리 일반인들이 파악하기 쉽고 기억하기 쉬운 것이다. 이걸 만약에 '세나 바이캅술라리스'라고 한다면 짜증나지 않겠는가?


Senna macranthera

이 수종 또한 겨울에 꽃이 피는 10m가 넘는 교목이다.


Senna spectabilis

봄에 꽃이 피는 교목이다.


중남미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이 겨울꽃결명의 학명 Senna bicapsularis는 원래 린네가 1753년 Cassia속 Cassia bicapsularis로 명명하였던 것으로 1832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William Roxburgh(1751~1815)가 Senna속으로 변경하여 명명한 것이다. 종소명 bicapsularis는 캡슐 즉 열매가 쌍으로 달린다는 뜻인데 실제로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초창기 워낙 많은 양을 한꺼번에 명명하다가 보니 린네가 표본을 그렇게 보았던 것 같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 나무를 쌍협결명(双荚决明)이라고 부른다. 영어권에서는 이 나무가 크리스마스 시즌에 꽃이 피기 때문에 관상수로 인기가 매우 높아 이를 Christmasbush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샛노란 황금색 꽃이 핀다고 money bush 또는 yellow candlewood라고도 부른다. 하지만 이 나무는 늦가을 꽃이 피기 전까지는 그냥 평범하다기보다는 다소 성가시어 철쭉 등 상록수 사이에 심는 것이 권장이 된다. 그래서 그런지 아니면 너무 번식력이 좋아서 일부 지역에서는 환경위해식물로 인식해서 그런지 rambling senna라고도 부른다.


겨울꽃결명

이런 모습에서 두개의 꼬투리로 착각을 하였을까?


겨울꽃결명

자세히 보면 결코 꼬투리 두 개씩 달린 것은 아니다. 


열대지방 원산이지만 내한성이 의외로 높아 영하 12도까지 견디므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는 노지식재도 가능하며 그 사이즈가 3.5m 높이이므로 정원수로도 적합하다. 그리고 원산지에서는 상록이라고 하는데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에 따라서 낙엽수가 될 가능성도 있다. 털은 없고 사이즈 2.5~3.5cm인 소엽 3~4쌍이 마주하는 우상복엽은 길이 7~12cm이며 잎자루는 2.5~4cm이다. 맨아래 소엽 사이에 분비샘이 하나 있으며 지름 2cm의 노란 꽃이 피는데 수술 10개 중 3개는 퇴화하고 정상 수술 7개 중 3개는 특히 길다. 


겨울꽃결명

수술 중 3개가 유난히 길다.



등록명 : 겨울꽃결명

학  명 : Senna bicapsularis (L.) Roxb.

분  류 : 콩과 결명자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중남미 열대지방

영어명 : Christmasbush 외

중국명 : 쌍협결명(双荚决明)

수  고 : 3.5m

개화기 : 늦가을부터 초겨울까지

내한성 : 영하 12도


겨울꽃결명


겨울꽃결명


겨울꽃결명


겨울꽃결명


겨울꽃결명


 겨울꽃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