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실거리나무아과

840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

낙은재 2019. 11. 9. 09:05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라고 등록된 아프리카 원산 결명자는 독일 학자 Georg Fresenius(1808~1866)에 의하여 1839년 포도 송이 같은 꽃대가 두 개씩 달린다고 Cassia didymobotrya로 명명되었다가 1982년 카시아속 연구로 유명한 미국 학자 Howard Samuel Irwin과 Rupert Charles Barneby에 의하여 속이 변경된 Senna didymobotrya로 재명명되었다. 아프리카 원산이므로 African senna라고도 불리지만 잎이 손상되면 버터나 팝콘 같은 냄새가 나므로 popcorn senna 또는 peanut butter cassia로 불리기도 하며 그 꽃대가 촛대와 같이 곧장 위로 솟으므로 candelabra tree라고도 불린다. 원산지에서는 5~9m까지도 자라지만 타 지역에서는 주로 3m 정도 자라는 반상록 관목이다. 35cm에서 최대 50cm가 되는 잎은 8~18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고 엽병과 엽축에 털이 있으며 선체는 없다. 30cm에 달하는 총상화서에 노란 꽃이 아래서부터 위로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 핀다. 수술 10개 중 3개는 퇴화하고 7개 중 2개가 특별히 길다. 열매는 12cm 길이의 협과이며 종자는 최대 16개이다.


관상용으로 심거나 콩과식물이므로 토양 보호나 개량을 위한 간작용 또는 녹비 조성을 위한 작물용으로 재배를 한다. 그리고 원산지 중 하나인 케냐에서는 액체를 만들어 주술 행사용으로도 사용하였다는데 아마 약간의 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것 같다. 동남아 호주 미국 등 전세계 온난한 지방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나 내한성이 영하 4도에 불과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재배 지역이 제한적이다. 어떻게 아프리카결명이나 촛대결명 등 우리말 이름으로 변경하면 안될까? 디디모보트리아 너무 어렵다. 더구나 이제는 카시아속도 아닌데... 해남성에서 많이 재배한다는 중국에서는 꽃대가 길다고 장수결명(长穗决明)이라고 한다. 


등록명 :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학  명 : Senna didymobotrya (Fresen.)H.S.Irwin & Barneby

이  명 : Cassia didymobotrya Fresen.

분  류 : 콩과 결명자속 반상록 관목

원산지 : 중동부 아프리카

영어명 : African senna 등

중국명 : 장수결명(长穗决明)

수  고 : 3m (최대 5m)

개화기 : 봄부터 초가을까지

내한성 : 영하 4도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