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온통 털로 덮여 있다.
우리나라 국표식(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카시아 토멘토사라고 등록된 식물이 있는데 이는 멕시코 등 열대 아메리카에서 온 결명자속(Senna) 관목이다. 원래 아들 린네가 1781년 Cassia tomentosa로 명명했던 것을 1982년 카시아속 연구로 유명한 미국 학자 Howard Samuel Irwin과 Rupert Charles Barneby에 의하여 속과 종소명이 변경된 Senna multiglandulosa로 명명되었다. 과거의 종소명 tomentosa는 세밀모(細密毛)로 덮힌 것을 뜻하고 현재의 종소명 multiglandulosa는 다수의 샘점이 있다는 뜻이다. 여기서 키가 4m 정도 자라는 이 관목의 특징이 나온다. 즉 거의 나무 전체가 가늘고 촘촘한 털로 덮여 있으며 5~8쌍의 소엽이 마주하여 구성된 우상복엽의 소엽 사이에 2~4개의 샘점이 있기 때문이다.
원산지에서는 수시로 7~8개의 노란 꽃이 모여 피어 총상화서를 이루며 열매는 12cm 길이의 협과이다. 나름대로 관상가치가 있어서 널리 퍼져 나갔으나 뉴질랜드나 호주 등지에서는 너무 왕성하게 번식하여 잡목 취급을 받기도 한다. 이 나무의 이름 또한 아직 우리 이름이 없이 그냥 학명 그대로 등록하였으나 현재는 속명도 종소명도 변경이 되었으므로 카시아 토멘토사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이름이 되어 버렸다. 국내 일부에서 카시아속 식물들을 수종에 관계없이 모두 황호접(黃蝴蝶) 또는 황회화나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는데 아마 어느 식물원에서 그렇게 명패를 달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학명 그대로 부르려니 거부감이 생겨서 그렇게 우리 독창적인 이름을 붙이려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노랑나비라는 뜻의 황호접이나 노란 꽃이 피는 회화나무라는 뜻의 황회화나무를 여기 결명자속 식물에 붙이는 것이 적합한지에는 약간의 의문이 든다.
우선 황호접(黃蝴蝶)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앞서 다룬 공작실거리나무를 지칭하는 말이다. 그래서 요즘같이 여행을 많이 다니는 시절 중국이나 일본에 가면 헷갈리게 된다. 게다가 콩과식물을 크게 분류할 때 콩아과의 꽃이 나비를 닮았다고 접형화아과(蝶形花亚科)라고도 하는데 이 카시아속은 실거리나무아과라서 꽃 모양이 약간 다르다. 그리고 이제는 카시아속이 아닌 세나속 즉 결명자속으로 변경되었으므로 이를 나비에 비유하거나 콩아과로 분류되는 회화나무에 비유하는 것은 무리가 아닌가 한다. 그래서 털결명(downy senna)이나 다샘점결명(glandular senna) 등 결명자 범주내에서 적당한 이름을 붙이는 것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이라고 판단이 된다.
완두콩 꽃모양을 접형화라고 하고 박태기 꽃모양은 가접형화라고 한다.
등록명 : 카시아 토멘토사
학 명 : Senna multiglandulosa (Jacq.)H.S.Irwin & Barneby
이 명 : Cassia tomentosa L. f.
이 명 : Cassia multiglandulosa Jacq.(1783)
분 류 : 콩과 결명자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멕시코 등 열매 아메리카
영어명 : glandular senna, downy senna, buttercup bush
수 고 : 4m(6m)
개화기 : 수시
내한성 : 영하 9도
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여러 개의 샘점이 있는 것이 보인다.
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카시아 토멘토사 = 다샘점결명
'콩과 > 실거리나무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844 바우히니아 푸르푸레아 = 아름다운 꽃이 피는 중국 원산 양제갑(羊蹄甲) (0) | 2019.11.12 |
---|---|
843 황호접의 정체는 Cassia coluteoides와 Senna surattensis, Senna corymbosa 등 (0) | 2019.11.10 |
841 카시아 헤베카르파 - 미국 결명, 다년생 초본 (0) | 2019.11.09 |
840 카시아 디디모보트리아 - 아프리카 결명 (0) | 2019.11.09 |
839 겨울꽃결명 - 초겨울에 매우 아름다운 꽃이 피는 관목 (0) | 2019.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