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실거리나무아과

843 황호접의 정체는 Cassia coluteoides와 Senna surattensis, Senna corymbosa 등

낙은재 2019. 11. 10. 13:22


Cassia coluteoides = 덩굴결명

시중에서 황호접이라고 불리고 있다.


우리나라 식물 분류체계상 그 어디에도 황호접이라는 식물은 없지만 시중에 황호접이라는 이름을 달고 판매되는 식물은 넘쳐나고 있다. 황호접이란 노랑나비라는 뜻의 한자어 黃蝴蝶(황호접)에서 온 것으로 나비를 뜻하는 호접(蝴蝶)이 정자이지만 중국서는 드물게 일본서는 주로 胡蝶(호접)으로 쓰기도 한다. 황호접이라는 식물 명칭은 우리나라에서는 없지만 일본에서는 앞 826번 게시글에서 본 공작실거리나무를 지칭하는 정명이며 중국도 그 공작실거리나무의 중국명 금봉화(金凤花)의 별명 중 하나이다. 그 외에도 중국에서는 장미의 품종 등을 黃蝴蝶(황호접)이라고도 한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유통업자들이 황호접을 마치 Cassia속이나 Senna속 전체 식물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는 것 같아 식물 명칭의 오염이 심한 것 같다. 노랗고 이국적인 꽃이 피면 모두가 황호접이란 말을 붙일 기세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 공작실거리나무를 黃蝴蝶(황호접)이라고 한다.


이런 현상이 발생한 것은 국표식에서 Cassia속과 Senna속의 우리말 속명을 정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표식에서 이렇게 국명을 정하지 못하는 것은 국제적으로 Senna속과 차풀속 즉 Chamaecrista속의 많은 식물들이 과거에 모두 Cassia속으로 분류되었다가 나중에 각각 분리되어 나왔기 때문으로 풀이가 된다. 대개 우리나라에서는 속명을 그 속으로 분류되는 식물 중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식물명으로 정한다. 그래서 과거 Cassia mimosoides라고 하던 차풀이 Chamaecrista nomame으로 속과 종소명이 변경되자 그 속명 즉 Chamaecrista를 차풀속이라고 명명하였다. 매우 적절한 속명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과거 Cassia tora라고 하던 결명자가 Senna tora가 되었으면 당연히 그 속 즉 Senna속도 결명자속이라고 명명했어야 마땅하였으나 그대로 세나속이라고 하면서 방치하고 있다. 그렇다고 그 이전 속인 Cassia속도 결명자속이라고 하지 않고 그냥 Cassia속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직도 Cassia이라기도 하고 Senna라기도 하는 노란 꽃이 피는 많은 식물들을 모두 시중에서 황호접(黃蝴蝶)이라고 하는 것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Cassia속 모두는 Senna속으로 변경되었고 시중에서 황호접이라고 하는 거의 모두는 현재 Senna속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국내 등록된 Cassia속 식물은 현재 없다. 그리고 Senna속은 모두 노란 꽃이 핀다. 따라서 황호접은 실질적으로 세나속 전체의 식물을 통칭하는 용어가 되어 가고 있다. 이건 안될 말이다. Senna속에는 그 속을 대표할 만한 식물 결명자가 있으며 중국에서도 결명속이라고 하며 그 속으로 분류되는 식물을 xx결명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이 속을 센나속이라고 하며 구성 식물을 주로 xx센나로 하는데 우리만 결명도 아니고 Senna도 아닌 황호접이라고 하여 부를 이유가 없다. 그리고 식물분류학이란 것이 무엇인가? 전세계가 공통적으로 하나의 명칭을 사용하자는 것이 아니던가. 그렇다면 동양에서 널리 사용되는 한자어로 된 명칭 즉 황호접(黃蝴蝶)이란 이름을 중국과 일본과는 다른 식물에다가 굳이 붙여 혼란을 야기하여 국제화시대를 거스를 필요는 없다. 황호접은 결명으로 바꾸어 불러야 적절하고 그 특징에 맞게 각자 xx결명이라고 불러야 될 듯하다. 


그럼 시중에 황호접이란 이름으로 어떤 수종이 유통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자. Senna속이 워낙 240여 종이나 되게 광범위하므로 학명을 밝히지 않으면 그 족보를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즉 실물만 보고는 누가 무슨 수로 정확한 동정을 할 수 있겠나 싶다. 모두 국내서 황호접이라고 알려지고 있는 수종들은 대부분 일본에는 이미 과거에 도입되어 남쪽 오키나와나 큐슈지방에 심어진 것이거나 동남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수종으로 파악된다. 그럼 국내서 황호접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세 종을 간단하게 알아본다. 모두 미등록종이다. 그 외에도 국내 이미 등록된 겨울꽃결명 즉 Senna bicapsularis나 카시아 토멘토사 즉 Cassia tomentosa 등도 황호접이라고 불리고 있어 혼란스럽다. 각 수종에 나름대로 영어명에 상응하는 이름도 붙여 본다.


Cassia coluteoides = 덩굴결명

정  명 : Senna pendula var. glabrata (Vogel)H.S.Irwin & Barneby

이  명 : Cassia coluteoides Collad.

원산지 : 남미

일본명 : 소엽센나(コバノセンナ)

영어명 : climbing Senna 

수  고 : 2~4m

국내서 나름대로 권위있는 두산피디아에 황호접이라는 이름과 사진이 올려져 있어서 이 이름이 널리 퍼진 것이 아닌가 한다. 현재의 학명은 Senna pendula var. glabrata이며 일본에 널리 식재되어 있으며 일본명은 コバノセンナ 즉 소엽센나이다. 남미 원산으로서 2~4m 높이로 자라고 내한성이 강하지는 않아서 일본의 경우 남쪽지방에서만 노지에서 월동한다. 4~5쌍의 소엽이 마주하여 우상복엽을 이루는데 그 사이에 모두 샘점이 있어 2~5쌍의 잎이 마주하며 하나의 샘점만 있는 겨울꽃결명과 구분이 된다. 매달린다는 뜻의 종소명 pendula에서 나타나듯이 약간의 덩굴성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덩굴결명이라고 불려야 일반 영어명 climbing cassia에 상응한다. 변종명 glabrata는 매끈하다는 뜻이다. 이명의 종소명 coluteoides는 꽃이 Colutea 즉 개골담초를 닮았다는 뜻이다.


Cassia coluteoides = 덩굴결명


Cassia coluteoides = 덩굴결명


Senna surattensis = 은엽결명

학  명 : Senna surattensis (Burm.f.)H.S.Irwin & Barneby

원산지 : 인도, 태국 등 동남아

중국명 : 黄槐决明(황괴결명)

일본명 : 목센나(モクセンナ)

영어명 : Glaucous senna

수  고 : 7m

잎이 7~9쌍이 마주하여 우상복엽을 만드는 이 나무의 중국 이름 黄槐决明(황괴결명) 즉 '황회화나무 결명'에서 시중에서 Senna속을 황회화나무라고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황회화나무를 닮은 결명이라는 뜻이므로 결명으로 불러야 마땅하다. 일본에서는 키가 크다고 나무결명이라는 뜻으로 목센나라고 한다. 일본 오키나와에 가면 많이 볼 수 있다. 내한성이 약하여 일본 동경에서는 온실에서 재배를 한다. 종소명 수라텐시스는 태국의 수라트 타니라는 지역명에서 왔다. 잎 뒷면이 연록색 또는 백분이 있다고 영어로 Glaucous senna라고 부른다.


Senna surattensis = 은엽결명

시중에서 황호접이라고 불리고 있다.


Senna surattensis = 은엽결명


Senna surattensis = 은엽결명


Senna corymbosa = 아르헨티나결명

학  명 : Senna corymbosa (Lam.)H.S.Irwin & Barneby

원산지 : 아르헨티나 등 남미

영어명 : Argentine Senna, Flowering Senna 등

일본명 : 꽃센나(ハナセンナ), アンデスの乙女(안데스의 소녀)

수  고 : 3m

개화기 : 5~12월

내한성 : 영하 4도


Senna corymbosa는 위 Cassia coluteoides와 많이 유사하지만 잎모양이 가늘고 뾰족하며 소엽이 2~3쌍이 마주하여 우상복엽을 이룬다는 점에서 다르다. 일본에서 안데스노오토메 즉 안데스의 소녀라는 별명도 있는데 서구에서 부르는 이름 같지는 않고 일본에서 붙인 이름 같다. 산방화서라는 뜻의 학명을 가진 이 아르헨티나결명은 많은 사람들이 Senna multi-glandulosa 즉 카시아 토멘토사와 또 다른 남미 원산의 Senna septentrionalis와의 교잡종인 Senna x floribunda와 혼동하거나 일부 도감에서는 유사종이라고 소개하여 엉터리 사진이 인터넷에 난무하는데 Senna x floribunda는 키가 더 크고 소엽이 5~15쌍으로 우상복엽을 구성하고 있어 다르다. 


Senna corymbosa = 아르헨티나결명


Senna corymbosa = 아르헨티나결명

시중에서 황호접이라고 불리고 있다.


Senna corymbosa = 아르헨티나결명


Senna corymbosa = 아르헨티나결명


아래는 많은 사람들이 Senna corymbosa와 헷갈려하는 Senna x floribunda이다. 나무의 키가 더 크고 잎의 숫자가 더 많으며 잎이 더 넓다. 이 교잡종의 일본 이름은 キダチハブソウ 즉 木立波布草인데 波布草(파포초)는 석결명을 말한다. 이 교잡종의 키가 4~7m에 달하기 때문이다. 태국 북부지방에 가로수로 많이 심어진 나무라고 한다. 일반 영어로 smooth senna라고 하는데 잎에 털이 없이 매끈하기 때문이다.


Senna x floribunda = 다화결명


Senna x floribunda = 다화결명


Senna x floribunda = 다화결명


Senna x floribunda = 다화결명

태국 북부 치앙마이에 가로수로 심어져 있다. 꽃이 많고 키가 적당하기 때문에 가로수로는 인기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