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골담초
좌 : 골담초, 우 : 양골담초
유럽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서아시아에 자생하는 골담초속은 아니지만 골담초를 매우 닮은 꽃이 피는 콩과 식물들이 있는데 이 속을 학명으로는 고대 그리스에서 부르던 이름 kytisos에서 유래된 Cytisus(사이티서스)라고 한다. 그 중에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우리가 양골담초라고 부르는 관목은 서유럽과 중부유럽이 원산지로서 특히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빗자루를 만들 때 주로 많이 사용하는 관목이므로 영국에서는 빗자루라는 뜻인 broom(브룸)이라고 부른다. 양골담초의 학명은 1822년 독일 식물학자 Johann Heinrich Friedrich Link(1767~1851)가 그 이전 1753년에 식물분류학의 창시자 린네가 스파르티움속 Spartium scoparium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속을 변경하여 Cytisus scoparius라고 재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scoparius과 scoparium은 영어로 'like a broom' 즉 '빗자루 같은'이라는 뜻이다.
그 꽃 모습이 골담초를 많이 닮았다고 Cytisus scoparius를 양골담초라고 부르는 우리는 Cytisus속을 양골담초속이라고 한다. 골담초를 금계아(锦鸡儿)라고 하는 중국에서는 양골담초와 양골담초속을 금작아(金雀儿)와 금작아속이라고 하며 골담초를 군작(群雀)이라고 하는 일본에서는 양골담초를 에니시다(エニシダ)라고 하고 양골담초속을 에니시다속이라고 한다. 따라서 양골담초가 이 속의 모식종은 아니지만 속을 대표하는 수종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양골담초속은 게니스타(Genista)속과 루피너스(Lupinus)속 그리고 금사슬나무(Laburnum)속 등과 더불어 콩과의 콩아과 중에서 게니스타족(Genisteae)을 구성하는데 이들을 서양에서 일반적으로 brooms라고 부른다. 유럽에서는 주로 이들 식물들로 청소용 빗자루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콩과 싸리나무나 명아주과 댑싸리 또는 벼과 갈대 등 매우 다양한 식물로 비를 만들었던 우리와 비교가 된다.
양골담초
가을 단풍색이 아름다운 댑싸리
유라시아 원산으로 중국을 통하여 오래 전에 국내에 도입된 명아주과 댑싸리의 학명은 Bassia scoparia subsp. scoparia로서 빗자루라는 뜻의 종소명이 양골담초와 같다.
콩과 게니스타족 몇 개 속 식물들로 비를 만든 유럽에서는 나라마다 또는 지역에 따라서 빗자루를 만드는 소재로 사용한 식물이 달랐는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우리가 양골담초라고 부르는 Cytisus scoparius로 만들었기에 이를 일반적으로 그냥 broom이라고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이를 Scotch broom 또는 English broom이라고 한다. 반면에 프랑스나 지중해 연안 그리고 스페인 등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는 다른 식물을 사용하였기에 각기 다른 broom으로 불리는 식물들이 있다. 이들 모두가 콩과 게니스타족(Genisteae)에 속한다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여기서 족(族)은 영어로 Tribe를 말하며 식물 분류에서 과(Family)와 속(Genus) 사이에 위치하는 분류 계급이다.
서양에서 broom으로 불리는 식물들의 면면들을 살펴보면 우선 프랑스의 French broom은 Cytisus 즉 양골담초속이 아닌 게니스타속의 Genista monspessulana를 말하며 지중해의 Mediterranean broom도 게니스타속 Genista linifolia를 지칭한다. 그리고 스페인의 Spanish broom은 또 다른 스파르티움속의 Spartium junceum을 말한다. 그리고 모르코의 Moroccan broom은 과거에는 양골담초속으로 분류하여 우리나라에도 그렇게 등록되어 있지만 지금은 아르기로사이티서스속 Argyrocytisus battandieri를 지칭한다. 그 외에도 자주색 꽃이 핀다고 purple broom으로 불리는 Chamaecytisus purpureus도 있으며 왜성종이라고 dwarf broom으로 불리는 Cytisus procumbens도 있다. 또한 프로방스지역이나 피레네산맥 지역 즉 Provence 또는 Pyrenees broom으로 불리는 정체가 다소 모호한 Cytisus purgans (L.) Spach도 있다. 이 중에서 일부는 우리나라에 과거 학명으로 표기되어 등록되어 있다.
이 게니스타족 즉 Genisteae를 중국에서는 염료목족(染料木族)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에니시다(エニシダ)족이라고 한다. 일본의 에니시다는 그 어원이 Genista속의 발음 제니스타가 전와된 것이라는 설이 정설이다. 초창기 일본에서 양골담초속인 English broom과 제니스타속인 French broom을 혼동하여 발생한 오류이다. 그렇게 양골담초속을 에니시다(エニシダ)속이라고 하고 나서 정작 게니스타속은 ヒトツバエニシダ 즉 일엽(一葉)에니시다속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래서 약간 궁색하였던지 일본에서 에니시다의 어원이 Genista가 아니고 양골담초의 스페인어인 hiniesta 즉 이니에스타에서 온 말일지도 모른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일본에서 뭐라고 하던 우리가 크게 상관할 바는 아니지만 문제는 우리나라 현재 시중에서 양골담초를 애니시다라고 하면서 유통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건 정말 일본이 약간 궁색한 수준이라면 우리는 정말 매우 수치스러운 수준이다. 세상에 따라할 것을 해야지. 일본에서 거듭 실수한 국적도 없는 그야말로 근본없는 말까지도 따라한다는 말인가?
등록명 : 양골담초
유통명 : 애니시다 (바람직하지 않은 이름)
학 명 : Cytisus scoparius (L.) Link
이 명 : Spartium scoparium L.
분 류 : 콩과 양골담초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common broom, Scotch broom
중국명 : 금작아(金雀儿)
일본명 : 에니시다(エニシダ)
수 고 : 0.8~2.5m
줄 기 : 총생, 직립, 무모, 종장적 세릉
엽 서 : 상부 단엽, 하부 장상3출복엽, 단병
탁 엽 : 소, 뚜렷하지 않거나 없음
소 엽 : 도란형내지 타원형 전연, 5~15mm x 3~5mm, 줄기 상부 단엽은 작음, 선단원둔, 기부점협, 단병, 상면무모, 하면 단유모
화 서 : 엽액상부 단생, 가지 끝 총상화서, 기부 엽상 포편
화 경 : 가늠, 1cm
소포편 : 없음
화 악 : 2순형, 무모, 통상 분백색, 4mm 길이, 매우 가늘고 짧음, 상순3단첨, 하순3단첨
화 관 : 선황색, 무모, 1.5~2.5cm
기 판 : 난형 내지 원형, 선단 약간 오목
익 판 : 기판과 같은 길이, 둥근 머리
용골판 : 넓음, 휘어진 머리
웅 예 : 단체, 화약 2형
화 주 : 가늠, 화관 밖으로 돌출 안으로 휘어짐, 2cm 길이
협 과 : 편평, 활선형, 4~5 x 1cm, 봉선상 장유모
종 자 : 다수, 타원형, 3mm, 회황색
화 기 : 5~7월
용 도 : 관상용
내한성 : 영하 23도
양골담초
암술이 심하게 말리고 열매에 긴 털이 있다.
양골담초
꽃받침이 2순형(唇形)이다.
양골담초
양골담초
가지에 세로로 능선이 있다. 잎은 상부는 단엽이고 하부는 장상 3출복엽이다.
양골담초
양골담초
열매 꼬투리 봉선에 장유모가 있다.
양골담초
양골담초
미국 일부주 그리고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지에서는 환경위해식물로 규정되어 있다.
'콩과 > -게니스타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876 모로코양골담초 - 현재는 Argyrocytisus속으로 변경된 아름다운 정원수 (0) | 2019.12.04 |
---|---|
875 스페인양골담초 (0) | 2019.12.03 |
874 라티스본양골담초 (0) | 2019.12.03 |
873 빈양골담초 - 반포복성 왜성종 (0) | 2019.12.03 |
872 아름다운 양골담초 원예종들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