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게니스타족

882 게니스타 카리날리스

낙은재 2019. 12. 8. 19:55

게니스타 카리날리스


게니스타 카리날리스의 학명 Genista carinalis는 1843년 독일 식물학자 August Grisebach(1814~1879)가 명명한 것인데 종소명 carinalis의 정체가 아리송하다. 식물 학명에 carinalis가 들어가는 경우는 대개 cardinalis의 미스 스펠링으로 추기경을 상징하는 진홍색 즉 cardinal 또는 crimson 색상을 말한다. 하지만 이 식물에서는 그런 진홍색인 부분이 없다. 그럼 뭘까? 유난히 용골판이 길고 큰 이 꽃이 특징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용골판을 carina라고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일반 영어명도 용골판 빗자루라는 뜻으로 Keeled broom이라고 불린다. 불가리아나 터키 등이 원산지인 이 게니스타 카리날리스는 키가 15~30cm에 불과한데다가 초본 특성도 있는지 관목이라기 보다는 아관목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시는 없고 줄기에 털도 많지 않다. 12 x 2mm 사이즈이 좁은 잎에도 털은 거의 없다. 5~7월에 노란색 꽃이 가지 끝에 총상화서로 핀다.


등록명 : 게니스타 카리날리스

학  명 : Genista carinalis Griseb.

분  류 : 콩과 게니스타속 낙엽 (아)관목

원산지 : 불가리아, 터키, 유고 등

영어명 : Keeled broom

수  고 : 15~30cm

잎크기 : 12 x 2mm

포  편 : 1.5~2mm

꽃자루 : 1mm

소포편 : 1.5mm

꽃받침 : 2.5~4mm

기  판 : 5~7mm

용골판 : 10~14mm

열  매 : 협과 성긴 털

개화기 : 5~7월

내한성 : 영하 23도


게니스타 카리날리스


게니스타 카리날리스


게니스타 카리날리스


게니스타 카리날리스


게니스타 카리날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