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게니스타족

884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낙은재 2019. 12. 9. 11:29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피레네 산맥을 노랗게 물들인 모습


게니스타 호리다라고 우리나라에 학명 Genista horrida로 등록되어 있지만 현재는 세계적으로 Echinospartum속으로 분류되는 가시가 있는 왜성종 아관목이 있다. 줄기에 녹색 가시가 밀집하고 있으므로 잎이 있던 말던 항상 상록으로 보인다. 7월에 스페인과 프랑스 국경지대에 있는 피레네산맥 건조한 비탈을 온통 황금색으로 물들이며 꽃을 피워 장관을 이루는 것이 바로 이 수종이라고 한다. 키도 작고 항상 녹색이고 건조한 지역에서도 잘자라며 게다가 가시까지 있어 전원주택 뒷마당 경사면 조경이나 울타리용으로 매우 유용할 것 같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중부지방에서는 기후 조건이 적합하지 않을 듯하여 아쉽다. 이 수종의 내한성이 여타 게니스타속에 비하면 다소 약한 영하 17도인데다가 온난한 지역이 아니면 제대로 꽃을 피우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학명 Genista horrida (M.Vahl) DC.는 덴마크 식물학자 Martin Vahl (1749 ~1804)이 1790년 명명한 Spartium horridum Vahl을 1805년 프랑스 식물학자 Augustin Pyramus de Candolle (1778−1841)이 속을 달리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하지만 1941년 독일 식물학자 Werner Rothmaler (1908~1962)에 의하여 또 다른 속인 Echinospartum horridum로 명명되어 현재 세계적으로 이 학명을 많이 따르는 것 같다. 속명 Echinospartum는 가시가 있는 스파르티움 즉 Spartium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과거 종소명 horrida나 새로운 종소명 horridum은 같은 말로서 성만 다른 것인데 그 뜻은 가시로 뒤덮여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처음 스파르티움속에서 게니스타속으로 갔다가 다시 가시있는 스파르티움속으로 온 것이다. 우리나라는 외래종의 대부분을 우리 이름이 없이 그냥 학명을 그대로 따라서 부르기에 식물분류 방법이 달라질 때마다 우리 이름도 따라가야 하는 처지이다. 신학명 그대로 하자면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이 새로운 우리 이름이 된다.


등록명 : 게니스타 호리다

새이름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학  명 : Echinospartum horridum (M.Vahl)Rothm.

이  명 : Genista horrida (M.Vahl) DC.

분  류 : 콩과 Echinospartum속 아관목

원산지 : 피레네산맥 인근 스페인과 프랑스

영어명 : Large-Spined Broom

수  고 : 30~40cm

잎차례 : 3출복엽, 침형, 견모 밀생, 6.3~9.5mm 길이

꽃특징 : 가지 끝에 3~8송이가 모여서 황색으로 핌, 0.5~12.7mm 길이

꽃받침 : 통통한, 모 밀생

열  매 : 모 밀생, 13~20 x 4~5mm

내한성 : 영하 17도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