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콩과 콩아과 중 게니스타족에는 앞에서 본 양골담초속과 게니스타속, 스파르티움속 그리고 Argyrocytisus속과 Echinospartum속이 있었다. 그 외에도 앞으로 다룰 울렉스속과 금사슬나무속 그리고 대부분이 초본으로 구성된 루피너스속도 있다. 이번에 탐구할 울렉스속은 가시가 많은 상록 관목으로서 서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현재 전세계 모두 11개 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대부분이 이베리아반도에 자생하는데 어린 가지의 잎은 삼출엽이지만 묵은 잎은 가시나 비늘로 변한다. 가지가 변하여 가시로 변하기도 하는 이 울렉스속은 줄기에서도 광합성작용을 하며 꽃은 모두 황색이고 일부 수종의 경우 개화기간이 매우 길다. 유럽에서는 이 울렉스속 식물들을 gorse나 furze 또는 whin이라는 다양한 영어 이름으로 부른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이를 형두속(荆豆属)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이를 ハリエニシダ속 즉 가시에니시다속이라고 부른다.
울렉스 즉 Ulex속 은 1753년 린네가 창설한 속이며 모식종은 Ulex europaeus인데 이 또한 린네가 1753년 명명한 것이다. 속명 Ulex는 라틴어로 이 식물을 부르던 이름이고 종소명 europaeus는 유럽이라는 뜻이다. 울렉스속 대부분이 이베리아반도가 원산지인데 반하여 이 수종은 영국 일부 섬들과 서유럽이 원산지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는 이 Ulex europaeus와 'Flore Pleno'라는 겹꽃이 피는 그 원예종 하나가 등록되어 있다. 이 Ulex europaeus를 중국에서는 형두(荆豆)라 하고 일본에서는 하리에니시다(ハリエニシダ)라고 한다. 하리는 침(針) 즉 가시이다. 그렇다고 중국명 형두(荆豆)를 우리나라 한자사전에 의거 형(荆)을 가시로 해석하여 가시콩이라고 의역하면 상황에 매우 적합해 보이지만 그렇지는 않다. 중국에서의 형(荆)은 그냥 잡목 덤불이라는 뜻이지 가시나무라는 뜻은 없다. 참고로 가시가 하나도 없는 박태기나무를 중국에서는 자형(紫荊)이라고 한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는 키가 2~3m까지 자라는 상록 관목으로서 영어권에서는 common gorse 또는 common furze 등으로 불린다. 녹색의 어린 가지에는 신가지나 잎이 변한 길이 1~3cm의 가시가 있다. 어린 묘목은 처음 몇 개월 동안은 크로바 잎을 닮은 정상적인 3출복엽이 나온다. 1~2cm 길이의 코코넛 향기가 나는 황색 꽃은 단생으로 피는데 일 년 내내 피고지어 지속되지만 특히 봄에 핀 꽃의 수명이 길다. 꼬투리 열매는 암자갈색으로 2~3cm 길이인데 부분적으로 연갈색 꽃받침에 의하여 감싸여 있다. 열매 속에는 2~3개의 검은색 광택이 있는 단단한 종자가 들어 있다가 열매가 성숙하고 기온이 높을 때 터져서 나온다. 놀랍게도 그 종자는 무려 30년간이나 생명력을 유지한다고 한다. 그 뿐만아니라 산불 화재에도 매우 강하여 설혹 지상부가 타 죽어도 뿌리에서 새 순이 나오며 특히 수명이 매우 긴 종자는 화재 후에 오히려 발아가 빨라진다고 한다. 다만 내한성은 영하 20도로 유럽에서는 충분하겠지만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노지월동하기에는 좀 약하다.
과거 원산지에서는 이 식물을 둥근 돌로 빻아서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가시가 있고 사계절 꽃이 피어 울타리용이나 토지 경계용으로 또는 지피식물로 넓은 양지바른 공간에 많이 심어지고 있으며 겹꽃이 피는 원예종 Ulex europaeus 'Flore Pleno'는 영국 왕립 원예학회인 RHS로부터 우수품종(AGM)으로 선정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하지만 미국이나 호주 등 일부 나라에서는 너무 왕성하게 번식한다고 환경위해 식물로 규정하기도 한다. 하기야 미국 일부 주나 호주에 새로이 도입되어 초창기에 그렇게 왕성하게 자라지 않는 식물도 드물기는 하다.
유럽에서는 이런 돌을 whin stone라고 한단다. 이 돌로 whin 즉 울렉스를 빻아서 사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등록명 :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학 명 : Ulex europaeus L.
분 류 : 콩과 울렉스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영국 서유럽
영어명 : common gorse 또는 common furze 등
중국명 : 형두(荆豆)
일본명 : 하리에니시다(針エニシダ)
수 고 : 2~3m
줄 기 : 원주형, 세로로 능선, 유모, 다분지, 소지 끝 가시로 변함
가 시 : 족생 엽병이 작은 가시로 변함, 5~15mm, 밀집, 세릉
화 서 : 1~3송이 액생, 복총상화서
포 편 : 소, 난원형, 2mm
꽃 잎 : 13~15mm, 꽃받침보다 약간 길다, 선황색
화 경 : 3~9mm, 갈색융모
소포편 : 활란형, 2mm, 갈색융모
꽃받침 : 막질, 황갈색, 12~14mm, 갈색세융모 밀생, 2순형, 심렬
기 판 : 도란형, 선단 약간 오목
익 판 : 타원형, 무모
용골판 : 장원형, 하측변연 융모
수 술 : 단체, 화약2형
열 매 : 협과난형, 11~20mm, 갈색융모, 꽃받침이 감쌈
종 자 : 난원형, 3mm, 흑갈색, 광택, 담황색 종부가 주병을 둘러쌈
수 명 : 30년
내한성 : 영하 20도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담황색 종부(种阜)가 주병(珠柄)을 감싸고 있는 모습
==============================
등록명 :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플레누스'
학 명 : Ulex europaeus 'Flore Pleno'
이 명 : Ulex europaeus 'Plenus'
특 징 : 꽃이 겹으로 핀다.
품종명 Flore Pleno나 Plenus는 모두 겹꽃 또는 겹이라는 뜻이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플레누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플레누스'
울렉스 에우로파이우스 '플레누스'
'콩과 > -게니스타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887 워터러금사슬나무 '보시' - 내한성이 강한 매우 아름다운 원예품종 (0) | 2019.12.11 |
---|---|
886 금사슬나무 - 독성은 있지만 아름다운 정원수 (0) | 2019.12.10 |
884 게니스타 호리다 = 에키노스파르텀 호리덤 (0) | 2019.12.09 |
883 게니스타 사기탈리스 (0) | 2019.12.09 |
882 게니스타 카리날리스 (0) | 2019.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