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등속

907 지구상 가장 거대한 꽃나무인 미국 LA의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The Sierra Madre Wistaria Vine

낙은재 2020. 1. 3. 21:54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등나무의 사랑은 일본이나 중국 그리고 영국 사람들뿐만은 아니었다. 영국보다 조금 늦게 영국으로부터 중국등나무가 도입된 미국에서도 여기저기에 많이 심었는데 그 중에는 LA 카운티의 Sierra Madre(시에라 마드르)라는 조그마한 도시에 가면 1894년에 심어 수명이 120년이 넘었다는 정말 엄청나게 큰 등나무가 있다. 원래 1894년 한적한 시골 주택 현관 앞에 입주 기념으로 묘목 화분 하나를 구입하여 심었다는데 워낙 잘 자라서 이웃집 마당까지 줄기가 뻗어 나가 그 범위가 무려 1에이커 즉 1,225평에 달하며 길이는 150m이고 그 무게는 무려 250톤이나 되어 지구상에서 현존하는 최대의 꽃나무라는 인증을 기네스로부터 받았다고 한다. 그 결과 세계 7대 불가사의 원예 중 하나로 뽑히는 이 덩굴나무를 미국 현지에서는 Sierra Madre Wistaria Vine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이 the Sierra Madre Wistaria Vine 외에도 세계 7대 원예 불가사의로 불리는 곳은 다음과 같다. 

the gardens of Buckingham Palace

the California Sequoia National Park redwood forests

Brazil's Amazon tropical jungle

India's Taj Mahal gardens

Japan's Yokohama rock gardens

Mexico's Xochimilco floating gardens.


그리고 등나무의 학명이 Wisteria인데도 미국에서 이 거대한 나무 이름이나 축제명을 Wistaria라고 스펠링을 다르게 하는 이유는 원래 이 속명이 미국 해부학자인 Caspar Wistar (1761-1818)를 기려서 그의 이름으로 명명한 것인데 그만 스펠링 잘못으로 속명이 Wisteria로 된 것이므로 미국인들은 그의 원래 이름을 찾아주고 싶은 마음에서 의도적으로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따라서 이 나무 즉 중국등나무의 학명은 Wisteria sinensis이며 일반 영어로는 Chinese wisteria라고 하지만 이 거대한 등나무만은 Sierra Madre Wistaria Vine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현재 이웃집 정원에까지 뻗어나가 매우 넓게 자라고 있는데 평소에는 일반인들에게 개방하지 않지만 약 150만 송이의 꽃이 개화하여 장관을 이루는 매년 3월 중순에는 주말을 택하여 단 하루 동안만 외부에 개방한다. 워낙 등나무가 크게 자라서 엄청나게 많은 아름다운 꽃을 피우므로 주변에서부터 소문이 점차 널리 확산되었으므로 구경꾼들이 몰려와 1918년부터 등나무축제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무료 개방인데 그 사이 주인도 몇 번 바뀌고 평소 나무 관리비용이나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주인들은 이 나무를 제거 또는 축소하려고 한 적도 있었으나 인근 지자체나 공공기관에서 지원을 하겠다면서 설득하여 아직까지 건재하고 있다고 한다. 단 하루의 Wistaria Festival 즉 등나무축제를 개최하는 날에는 도심에서 가는 임시 셔틀 버스도 운행된다고 한다. 2020년의 경우 3월 22일에 개최된다.


1931년 축제당시 사진


Sierra Madre(시에라 마드르) 등나무는 처음 한 그루를 심었다가 60년 후에 다시 한 그루를 더 심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이상하게 중국등나무라고는 하지만 두 그루의 감기 방식이 다르다. 짧은 꽃차례나 잎의 모양으로 봐서는 중국등나무 특징을 보이지만 두 그루 중 굵은 줄기가 분명 왼쪽감기를 하여 중국등나무와는 반대인데도 아무도 여기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는다. 워낙 처음부터 파고라나 지지대를 세워서 관리한 것이므로 인위적으로 그렇게 반대로 감았을 수도 있겠지만 여하튼 의문으로 남는다. 아니면 중국등과 일본등의 교잡종이라서 양방향으로 감기를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개화시기가 원산지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아무리 빨라도 4월 중순이며 미국 미조리에서도 5~6월에 개화한다고 하는데 이 캘리포니아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는 매년 3월 17~18일 쯤 축제를 시작한다. 이점 또한 매우 특이하다. 온난한 캘리포니아 기후가 영향을 미친 것인지 아니면 워낙 방대한 이 나무의 고유 특징인지 궁금하다. 양평 용문사의 천년 넘은 은행나무의 경우 가을에 주변의 은행나무들이 모두 낙엽이 진 다음까지 푸르름을 유지하다가 서서히 노랗게 변하면서 단풍이 들어 여타 은행나무에 비하여 약 2주 정도는 늦다.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꽃모습은 중국등나무가 분명해 보인다.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하지만 이와 같이 왼쪽감기를 하므로 여느 중국등나무와는 다르다.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중국등나무는 왼쪽 작은 나무와 같이 오른쪽감기를 하여야 하는데 오른쪽 큰 나무는 왼쪽감기를 한다.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세상에서 가장 큰 꽃나무 = 시에라 마드르 등나무


동양에서는 주로 등나무를 파고라에 올려 매년 전정하면서 아름다운 꽃을 보기 위하여 관리하는데 반하여 이렇게 영국이나 미국에서 등나무의 줄기를 자르지 않고 마냥 크게 키우는 경향이 많은 것은 아무래도 그들이 널리 읽은 콩나무를 타고 구름위 하늘나라로 올라간다는 영국 동화 잭과 콩나무 즉 Jack and the Beanstalk의 영향일지도 모른다. 더구나 초창기에는 식물학자들도 등나무를 콩속으로 분류한 적도 있지 않았던가? 그들에게는 등나무야 말로 동화속에 등장하는 구름속에 있다는 거인의 성으로 타고 올라갈 수 있는 사닥다리 콩나무로 인식하고 싶었을 것이다. 


작가가 마치 정말 등나무를 염두에 두고서 쓴 동화같이 느껴진다.


일본 사이타마현 가스카베(春日部)시 우시시마(牛島)에 가면 무려 수령 1200년이 된되는 노거목 등나무가 있다. 물론 이 최고령 나무도 크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서양과 같이 그렇게 장대하게 마냥 키우지는 않고 꽃이 아름답게 잘 늘어지면서 피게 하려고 파고라를 설치하여 관리할 뿐이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중국등나무가 정원을 탈출하여 자연으로 들어가 야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주변 식물들을 심각하게 해치기 때문에 환경위해식물로 지정하기도 한다. 여하튼 미국이나 호주와 같이 텅텅 비어있는 광활한 대지가 많은 나라에는 일조량이 풍부하므로 웬만한 동양식물이 들어가면 이런 대접을 받게 된다.  


등나무 꽃으로 터널을 만든 모습

일본 스타일은 나무를 크게 키우는 것이 아니라 꽃이 이렇게 늘어지게 관리하는 것이다. 


미국 자연에서 주변 나무를 타고 오르는 중국등나무


미국에서 정원을 탈출하여 자연으로 들어가 주변 식물을 위협하는 중국등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