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우리나라 목포 유달산에 가면 그동안 국내서는 못 보던 회화나무 유사한 특이한 콩과 교목이 있는데 이를 콩과 콩아과 회화나무족 Cladrastis platycarpa로 학계에서 동정하였다. 이 수종은 그동안 중국과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자생하는 것인가 하고 흥분하게 만들었다. 중국에서는 이를 꼬투리 열매에 날개가 있는 향이 있는 회화나무의 일종이라고 시협향괴(翅荚香槐)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잎이 마치 등과 닮은 큰 나무라고 후지키(フジキ)라 부르고 한자로는 등목(藤木)이라고 쓰며 별명으로 야마엔쥬(ヤマエンジュ)라고 하는데 이는 한자로는 산괴(山槐) 즉 산회화나무라는 뜻이다. 우리는 유달산에서 발견된 회화나무의 근연종이라고 유달회화나무라고 불렀다. 그래서 속명 Cladrastis도 유달회화나무속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Cladrastis는 회화나무속과 함께 Cladrastis clade(분기군)를 구성하는데 이는 이들이 원래 같은 조상에서 진화된 분류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서 이를 유달회화나무속이라고 부른 것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런데 문제는 최근인 2015년에 와서 인하대학교 최인수교수 등의 연구결과 이 나무가 Cladrastis platycarpa 즉 유달회화나무가 아닌 학명 Dalbergia hupeana인 중국명 황단(黄檀)으로 밝혀진다. 헐!! 그래서 그런지 현재 국표식에 속명은 유달회화나무속이라고 되어 있지만 수종명은 학명 그대로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라고 등록되어 있다. 아마 도중에 변경이 된 것 같다. 유달산에 있는 그 나무가 유달회화나무 즉 Cladrastis platycarpa가 아니므로 결국 이 나무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나 자생하는 수종이거나 국내에 존재하더라도 외국 도입종이 되어 버린 것인데 거기에다가 아무 상관이 없는 유달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기가 어색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 수종이 회화나무의 근연종이고 원산지 중국에서도 회화나무의 일종인 향괴(香槐)라고 부르므로 유달회화나무라는 이름을 그대로 둬도 큰 문제가 없으련만 굳이 어려운 라틴이름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었나 싶다.
황단(黄檀) Dalbergia hupeana
그동안 학계에서 유달회화나무로 오동정하였던 목포 유달산의 황단 - 출처 인하대학교 관련 논문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꽃모양도 황단과 다르다.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수피도 유달산의 황단과 많이 다르다.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잎모양이 위 유달산의 황단과는 많이 다르다. 소엽은 어긋나기이며 끝으로 갈수록 더 크다.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열매가 특히 넓다고 종소명 platycarpa가 붙었다. 열매 양측에 날개가 있다.
여하튼 현재 Cladrastis platycarpa가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봐서는 목포 유달산과 전북 남원과 광주시에 있는 오동정한 그 나무들이 아니더라도 국내에 어느 수목원에는 진짜 이 나무가 도입되어 식재되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이 수종 뿐만아니라 중국에서 도입된 중국 고유종 소화향괴(小花香槐) 즉 Cladrastis sinensis와 미국에서 도입된 미국향괴(美国香槐) 즉 Cladrastis lutea도 우리나라 국표식에 유달회화나무속으로 등록되어 있다. 유달회화나무속은 전세계 9종이 분포하며 그 중 미국에서 자생하는 미국향괴(美国香槐) 즉 Cladrastis lutea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중국과 일본에서 자생한다. 그러니까 정리하자면 중국과 일본에서 자생하는 Cladrastis platycarpa가 한때 우리나라 목포 유달산에서도 자생하는 줄 알았으나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고 그 과정에서 결국 엉뚱한 수종에 유달회화나무라는 이름을 붙인 셈이 되었지만 크게 잘못된 이름은 아니므로 어렵게 속명까지 고쳐가면서 국명을 변경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유달회화나무속 즉 Cladrastis는 앞에서 살펴 본 다릅나무속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때 다릅나무속이 통째로 이 속으로 편입된 적도 있었으며 웬만한 다릅나무는 모두 처음에는 이 속으로 명명되었다가 변경된 것이다. 그만큼 서로 유사하다는 것인데 가장 손쉽게 구분되는 차이점은 꽃에서 향기가 나고 소엽이 마주나기가 아닌 어긋나기로 달리며 동아가 전년도 잎자루 기부에 감싸여 있는 엽병내아(葉柄内芽)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엽병내아(葉柄内芽)는 말 그대로 엽병(잎자루) 안에 동아(芽)가 성장하여 엽병(葉柄)이 떨어질 때까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특징을 가진 나무는 유달회화나무속 외에도 쪽동백나무와 박쥐나무 그리고 황벽나무 플라타너스 백합나무 붉나무 및 일부 고광나무 등이 있다.
엽병내아
맹아가 잎자루 기부에 감싸여 있다가 잎자루가 탈락하면 나타나는 것이다.
유달회화나무 즉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는 당초 러시아학자 맥스모비치가 일본에서 발견하여 1873년 회화나무속인 Sophora platycarpa Maxim.로 학명을 부여하였지만 일본학자 牧野富太郞(1862~1957) 즉 마키노 토미타로가 1901년 현재의 속으로 변경하여 Cladrastis platycarpa (Maxim.) Makino로 재명명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 국표식에도 이 학명이 등록되어 있다. 속명 Cladrastis는 가지가 잘 부러진다는 뜻이고 종소명 platycarpa는 열매가 넓다는 뜻이다. 실제로 가지가 어떻게 얼마나 약한지는 모르겠다. 중국과 일본의 자생지가 거의 모두 온난한 지역이지만 예상 외로 내한성이 강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노지월동이 가능하다.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분포도
등록명 :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학 명 : Cladrastis platycarpa (Maxim.) Makino
분 류 : 콩과 유달회화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미국 일본
중국명 : 시협향괴(翅荚香槐)
일본명 : 후지키(藤木), 야마엔쥬(山槐)
영어명 : Japanese yellowwood
수 고 : 30m
지 름 : 80~120cm
수 피 : 암회색, 다피공
가 지 : 일년생지 갈색유모, 곧 탈락
엽 서 : 기수우상복엽
소 엽 : 7~9, 호생 근대생, 장타원형 혹 란상장원형, 기부엽 최소, 정생엽 최대, 4~10 x 3~5.5cm, 선단점첨, 기부 둔원 혹 관설형, 측생소엽기부 편사, 상면 무모, 하면 중맥 소유모 혹 무모, 중맥상면 약간 오목, 하면 융기, 측맥 6~8대, 근변연 망맥, 세맥명현
엽 병 : 소엽병 3~5mm, 회갈색유모
탁 엽 : 소탁엽 첩상, 2mm 길이, 무모
화 서 : 원추화서 30cm, 지름 15cm, 축과 화경 단유모
화 경 : 세, 3~4mm
화 악 : 활종상, 화경과 같은 길이, 가는 가지 종갈색 견모, 악치 5, 3각형, 근등장
화 관 : 백색, 방향
기 판 : 장원형, 판편 6mm x 4mm, 병장 4mm, 선단 원 혹 미요함
익 판 : 3각상 난형, 판편 8mm x 5mm, 병장 3~4mm, 작은 귀
용골판 : 난형, 익판과 등장, 초관, 병섬세, 4mm
수 술 : 10개 이생
자 방 : 선형, 피담황백색 유모, 화주 초만곡, 배주 5~6립
협 과 : 편평, 장타원형 혹 장원형, 4~8 x 1.5~2cm, 양측 날개, 불개렬, 종자 1~2개(4개)
종 자 : 장원형, 8mm x 3mm, 압편, 종피심갈색 혹 흑색
화 기 : 4~6월
과 기 : 7~10월
용 도 : 목재 황색 치밀견중, 건축용재. 황색 염료
약 용 : 뿌리와 열매 거풍지통(祛风止痛) 관절동통(关节疼痛)
내 한 : 영하 26도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여러 그루가 수직으로 군락을 이루어 개화한 모습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길이 2mm의 작은 탁엽이 있다.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콩과 > -회화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937 클라드라스티스 켄터키 = 클라드라스티스 루테아 - 미국향괴(美国香槐) (0) | 2020.03.04 |
---|---|
936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유달회화나무속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0) | 2020.03.04 |
934 솔비나무 - 한라산에 자생하는 다릅나무의 근연종 (0) | 2020.03.02 |
933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 물푸레나무가 아닌 다릅나무의 변종 (0) | 2020.03.01 |
932 다릅나무 - 아카시나무를 닮은 회화나무의 근연종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