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회화나무족

936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유달회화나무속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낙은재 2020. 3. 4. 11:44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분홍색 또는 담황색 꽃도 있어 유달회화나무 즉 시협향괴(翅荚香槐)와 구분이 된다.


유달회화나무라고 부르다가 최근에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라고 부르는 중국과 일본 원산의 교목 외에도 유달회화나무속으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두 종이 더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라고 등록된 중국 원산의 소화향괴(小花香槐)이다. 학명 Cladrastis sinensis의 시넨시스는 지나(支那) 즉 중국에서 발견하였다는 뜻이다. 이참에 지나(支那)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고 가자. 지나는 우리 국어사전에도 중국이라고 설명하지만 중국인들에게 지나(支那)라고 하면 매우 기분 나빠 한다. 일본이 1895년 청일전쟁에서 중국을 이기자 기고만장하여 중국을 비하하기 위하여 애써 사용한 멸칭(蔑称)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1930년 장개석의 국민정부는 일본에게 앞으로 중국을 지나(支那)라고 칭하는 문서를 수령하지 않겠다고 제법 호기있게 통첩을 한다. 하지만 힘없는 정부가 말로만 엄포한들 누가 겁먹겠나. 


일본은 곧이어 1931년에 발발한 만주사변을 시작으로 1937년에는 중국 본토까지 침공하여 그해 여름에 상해를 점령하고 12월에 남경까지 점령하면서 그 끔찍한 남경대학살을 자생한다. 덩치가 큰 중국이 장개석의 국민당과 모택동의 공산당이 분열하여 자기들끼리 싸우다가 작지만 독한 일본에게 패배한 것이다. 결국 1945년 미국의 원폭 투하로 일본이 항복한 다음에서야 중국은 지나(支那)라는 호칭에서 벗어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지나(支那)는 일본에서 창조한 말은 아니다. 원래 중국의 진(秦)을 고대 인도인들이 발음하던 chini에서 비롯되어 불경에 인도어로 적힌 것을 중국어로 음역하면서 지나(支那)가 된 것이다. 나중에 고대로마어 Sinoa를 거쳐 현대 영어 China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학명은 1892년에 서양인에 의하여 명명된 것으로 일본의 중국 비하와는 무관하며 최근에는 주로 chinensis라고 하지만 과거에는 흔히 sinensis라고 했다.


여하튼 이 수종의 중국명은 소화향괴(小花香槐) 즉 꽃이 작은 향괴라는 뜻인데 실제로 유달회화나무라는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의 꽃보다 작지가 않다. 그런데도 그런 중국명이 붙은 이유는 중국에서 향괴(香槐)라고 불리는 Cladrastis wilsonii가 따로 있는데 꽃의 길이가 2cm에 달하는데 반하여 소화향괴는 1.4cm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우리가 유달회화나무라고 부르는 시협향괴(翅荚香槐)가 꽃 길이가 1cm 내외라서 더 작다. 소화향괴와 시협향괴의 차이점은 소화향괴가 소엽이 좁고 수가 9~15개로 7~9개인 후자보다 많고 꽃의 색상이 담황색 또는 분홍색이 섞여 있어 백색인 후자와 구분이 된다. 그 외에도 소화협과는 열매가 상대적으로 좁고 소탁엽이 없다는 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소엽이 10장 넘는 경우가 흔하여 유달회화나무와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화향괴(小花香槐)의 학명을 1892년 발표된 Cladrastis sinensis Hemsl.로 등록하고 있다. 이는 1890년 중국 서천에서 유럽의 식물채집가 Antwerp Edgar Pratt(1852~1924)가 채집한 표본을 영국 식물학자 William B. Hemsley(1843-1924)가 명명한 학명이다. 이를 일부 서방에서 인정하고 있지만 정작 중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는 이를 1904년 재명명된 학명 Cladrastis delavayi (Franch.) Prain로 표기하고 전자는 이명처리 한다. 후자의 중국명은 원래 계족향괴(鸡足香槐)이었으나 이제는 통합하여 소화향괴(小花香槐)라고 한다. 나중에 명명된 학명이 적명이 된 이유는 당초 자단속으로 분류한 학명 Dalbergia delavayi Franch.의 발표시기가 1889년이기 때문이다. 종소명 delavayi는 중국에서 엄청 왕성하게 식물 채집 활동을 하던 프랑스 카톨릭 선교사 Jean Marie Delavay (1834 -1895)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 선교사가 채집하여 보내온 표본을 프랑스 식물학자 Adrien René Franchet (1834 – 1900)가 명명한 것이며 이를 스코틀랜드 의사 David Prain(1857~1944)이 재명명한 것이다.


등록명 :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등록명 : Cladrastis sinensis Hemsl.

신학명 : Cladrastis delavayi (Franch.) Prain

이  명 : Dalbergia delavayi Franch.

분  류 : 콩과 유달회화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소화향괴(小花香槐), 계족향괴(鸡足香槐)

수  고 : 20m

가  지 : 유지, 엽축, 소엽병 회갈색 혹 녹색 유모

엽  서 : 기수우상복엽, 20cm

소  엽 : 9~15, 호생 혹 근대생, 난상피침형 혹 장원상피침형, 6~10 x 2~3.5cm, 선단점첨, 둔첨 혹 원둔, 기부원 혹 미심형, 상면 심록색, 무모, 하면 창백색, 회백색유모, 중맥 갈색모, 측맥 10~15, 상면평, 하면융기, 세맥명현

소엽병 : 1~3mm

소탁엽 : 무

꽃차례 : 원추화서 정생, 15~30cm, 1.4cm길이 다수 꽃 

포  편 : 조기탈락

화  악 : 종상, 4mm, 악치 5, 반원형, 둔첨, 회갈색 혹 갈색 단유모

화  관 : 백색 혹 담황색, 분홍색

기  판 : 도란형 혹 근원형, 9~11mm, 선단미결 혹 도심형, 기부 좁아지면서 자루로 변함, 병 3mm

익  판 : 화살형, 기판보다 약간 김, 병 섬세

용골판 : 익판 초대, 타원형, 기부 하수 둥근 귀

수  술 : 10, 분리

자  방 : 선형, 담황색 소유모, 배주 6~8개

협  과 : 편평, 타원형 혹 장타원형, 양단점협, 약간 두터움, 3~8 x 1~1.2cm, 종자 1~5개

종  자 : 난형, 압편, 갈색, 4mm x 2mm, 배꼽소

화  기 : 6~8월

과  기 : 8~10월

용  도 : 건축용재, 황색 염료

내  한 : 영하 21도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뒷면이 창백색을 띠고 있으며 잎맥이 많다.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소탁엽은 없다.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유달회화나무와 마찬가지로 엽병내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