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물푸레나무 = 털다릅나무
개물푸레나무 = 털다릅나무
줄기 잎자루 잎 특히 뒷면에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다릅나무는 회화나무의 근연종이라서 중국과 일본에서는 각각 조선회화나무나 개회화나무라는 뜻으로 부르고 있는데 우리나라만 겉과 속이 다르다는(?) 뜻을 가진 독창적인 순수 우리말 이름을 가지고 있다. 다릅나무는 서양에서는 처음으로 러시아학자가 아무르강 유역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1856년 Maackia amurensis라고 명명한 것으로서 시베리아와 중국 동북지방 그리고 일본과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한다. 그런데 일본에는 우리 다릅나무와 같은 잎 양면에 털이 없는 종은 거의 안보이고 거의 대부분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하는 종이 자생한다. 이를 독일학자 Heinrich Buerger(하인리히 부르거)가 표본을 채취하고 러시아 학자 맥스모비치가 1873년 다릅나무의 변종으로 Cladrastis amurensis var. buergeri Maxim.라고 명명하게 된다. 하인리히 부르거는 동인도회사 소속으로 동양 식물 조사를 위하여 일본에 상당기간 머물었던 독일 의사 겸 식물학자인 지볼트의 조수로 일본을 함께 방문한 자로서 일본에서 식물 채집 활동을 열심히 한 사람이다.
당초 다릅나무가 명명될 때 창설되었던 다릅나무속 즉 Maackia가 한때 잠시 유달회화나무속 즉 Cladrastis로 편입되었기에 그 당시 다릅나무의 학명은 Cladrastis amurensis이었으므로 변종명도 그렇게 명명된 것이다. 그러다가 1907년 독일 식물학자인 Camillo Karl Schneider (1876~1951)가 다시 다릅나무속으로 되돌려 원종은 원래의 학명 Maackia amurensis로 복귀하고 변종은 Maackia amurensis var. burgeri (Maxim.) C.K. Schneid.라고 속명이 변경되어 재명명 된 것이다. 그래서 현재 그 학명이 그대로 우리나라 국표식에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변종명 burgeri는 표본 채취자 하인리히 부르거의 이름에서 온 것이며 종소명 amurensis는 원종인 다릅나무가 발견된 아무르강 즉 흑룡강(黑龍江) 유역을 말한다. 그리고 속명 Maackia는 다릅나무의 표본을 채취한 것으로 추정되는 아무르강 유역 동식물 채집가로 유명한 러시아 자연학자인 Richard Maack(1825~1886)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와 오른쪽 회화나무 열매
회화나무가 근연종이기는 하지만 원추화서이며 열매가 염주형이라서 차이를 보인다.
그런데 일본에 많이 자생한다는 그 털이 있는 다릅나무 변종을 한때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알았으며 지금도 일본에서 그런 줄 알고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도 태백산과 속리산, 청도 비슬산, 팔공산 등지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최근에 발견된 것이 아니고 이미 1954년에 채집된 표본이 홍릉수목원 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래서 일찍이 우리 이름이 붙었는데 그게 바로 엉뚱하기 짝이 없는 개물푸레나무라는 것이다. 다릅나무 변종에다가 마치 물푸레나무 변종 같은 이름을 붙이다니 이게 말이 되나? 근거는 1942년 정태현선생의 조선삼림식물도설인데 유래는 경기도 방언이라고 한다. 경기도는 정작 개물푸레나무는 자생도 하지 않는 지역인데 아마 다릅나무 이명 중 하나인 개물푸레나무를 이 변종에다가 붙인 것 같다. 다릅나무가 꽃이나 열매가 없을 때 수형이나 잎 모습이 물푸레나무와 비슷하게 느껴졌는지 아니면 도끼자루 등으로 사용한 쓰임새가 비슷하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도 그 정확한 이유를 모르는 것 같다.
단기 4287년(1954) 채집한 개물푸레나무 표본
그 이전인 1942년에 처음 명명된 것으로 봐서는 그 이전 표본은 한국전쟁때 소실되었을 것 같다.
다릅나무와 물푸레나무는 꽃과 열매가 많이 다른 식물분류학적으로는 거리가 매우 먼 나무이다. 다릅나무와 물푸레나무는 과거 분류체계로 하면 장미목 콩과와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로 분류되고 최신 APG 분류체계에서도 콩목 콩과와 꿀풀목 물푸레나무과로 분류되어 아주 먼 사이이다. 그래서 나중에 1966년 이창복박사가 제시한 잔털다릅나무나 1982년 안학수선생 등이 한국농식물자원명감에서 제시한 털다릅나무가 훨씬 적합한 이름이라고 판단된다. 물론 실물과 이름이 동떨어질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럴 경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예를들면 아그배나무와 같이 분명 사과나무속인데도 마치 배나무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그배는 오래 전부터 우리가 써서 굳어진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개물푸레나무가 어디 얼마나 흔한 나무이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불렀다고 다릅나무의 변종에다가 그런 이름을 붙인단 말인가? 식물에서는 주로 원종만 못하거나 짝퉁에다가 개를 접두사로 붙이는데 그럴려면 다릅나무에다가 붙여서 개다릅나무라고 해야 마땅하다. 아니면 변종의 특성에 적합하게 털다릅나무 등으로 고쳐야 될 듯하다.
물푸레나무
자웅이주가 기본이고 원추화서인 꽃모습이 다르고 열매도 시과라서 협과인 개물푸레나무와 많이 다르다.
일본에서는 이 변종을 원종과 통합하여 이누엔쥬(イヌエンジュ)라고 부르고 한자로는 견괴(犬槐)라고 쓴다. 일본에서 엔쥬(エンジュ)가 회화나무를 뜻하므로 이누엔쥬(イヌエンジュ)는 개회화나무라는 뜻이다. 회화나무의 한 종류로 인식하는 것인데 다릅나무가 회화나무와 근연관계에 있으므로 무리가 아니다. 엔쥬(エンジュ)는 한자로 괴(槐)라고 쓰지만 발음 그대로는 연수(延寿)이다. 연수는 수명을 연장한다는 뜻이므로 장수(長寿)와 같은 말이다. 일본에서는 회화나무를 장수의 상징으로 보는 것이다. 중국에서 이 변종을 모엽회괴(毛叶怀槐)라 하여 털다릅나무라는 뜻으로 부른다. 다릅나무의 중국 정명이 조선괴(朝鲜槐)이지만 동북지방에서는 주로 회괴(怀槐)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회괴(怀槐) 또한 회화나무의 일종으로 보는 것인데 모엽회괴는 잎에 털이 있는 변종이라는 뜻이라서 명쾌하다. 결국 우리만 엉뚱하게 개물푸레나무라고 부르는 것이다. 개물푸레나무보다는 북한명 긴열매다릅나무가 훨씬 잘 어울리는 이름이라고 판단된다.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열매가 다릅나무에 비하여 길어 북한에서 긴열매다릅나무라고 한다.
종자는 긴타원형으로 2~4개이다.
등록명 : 개물푸레나무
이 명 : 잔털다릅나무, 털다릅나무, 털코뜨래나무
학 명 : Maackia amurensis var. burgeri (Maxim.) C.K. Schneid.
분 류 : 콩과 다릅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일본
북한명 : 긴열매다릅나무
중국명 : 모엽회괴(毛叶怀槐)
일본명 : 이누엔쥬(犬槐)
수 고 : 15m (통상 7~8m)
수 피 : 흑갈색, 담록갈색, 박편박락
가 지 : 분절시 누에콩 같은 냄새
잎차례 : 우상복엽, 소엽 7~11
소 엽 : 난형, 3~6cm 길이, 뒷면 단모 밀생
꽃차례 : 총상화서, 여러 송이 집생, 7~10cm 길이
기 판 : 뒤로 말림
수 술 : 10개
협 과 : 편평, 3~9cm 길이
맹 아 : 난형, 아린 2~3개, 암갈색, 무모
엽 흔 : 반원형
유관속 : 3개 가로로 배열
종 자 : 7mm, 긴타원형, 2~4개
화 기 : 7~8월
과 기 : 10~11월
목 재 : 변재 황색 또는 홍백색, 심재 흑갈색, 재질 치밀, 초견중, 유광택, 거축 기구 가구재
용 도 : 수피와 잎 탄닌 함유, 염료 및 약용, 종자 착유
효 능 : 풍습(风湿) 소염(消炎) 진통(镇痛) 건위(健胃) 지혈(止血)
내한성 : 영하 40도
특 징 : 일본에서는 원종과 통합하고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대부분 변종으로 분리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실생 묘목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수피와 줄기 단면 - 변재와 심재의 색상이 다르다.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맹아와 새순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콩과 > -회화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937 클라드라스티스 켄터키 = 클라드라스티스 루테아 - 미국향괴(美国香槐) (0) | 2020.03.04 |
---|---|
936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유달회화나무속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0) | 2020.03.04 |
935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 유달산에 자생하는 것으로 오동정한 외래종 (0) | 2020.03.03 |
934 솔비나무 - 한라산에 자생하는 다릅나무의 근연종 (0) | 2020.03.02 |
932 다릅나무 - 아카시나무를 닮은 회화나무의 근연종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