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능소화과

987 트럼펫 트리 - 중남미 원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열대 꽃나무들

낙은재 2020. 6. 24. 13:37

로지 트럼펫나무와 골든 트럼펫나무

서양 악기 트럼펫을 요즘은 나팔이라고 번역하지는 않지만 동양에서 나팔이라고 하면 서양의 트럼펫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나팔꽃 때문에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나팔은 순수 우리말이 아니고 한자어 喇叭(나팔)에서 온 것이다. 그렇다고 나팔이 중국 고유어도 아니다. 유럽이나 인도 등 서쪽에서 들어온 말인데 그 어원이 분명하지는 않다. 외치는 사람 또는 확성기라는 뜻의 네덜란드어 roe'per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인도나 이란에서 사용하였던 산스크리트어의 rava에서 왔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 또한 외치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를 중국에서 발음 그대로 쓴 것이 바로 喇叭(나팔)이다. 따라서 한자어 喇叭(나팔)은 그 글자의 뜻을 따질 필요가 없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이를 나팔이라고 하지 않고 lǎ‧ba로 발음한다. 중국에서 라바를 표기하기 위하여 조합한 喇叭이 우리나라에서 나팔로 발음되었고 일본도 비슷하게 랏빠(ラッパ)라고 발음하는 것이다. 

 

트럼펫과 우리에게 뼈 아픈 625 전쟁 당시 중공군이 나팔을 부는 모습, 중국에서는 트럼펫을 나팔보다는 주로 소호(小号)라고 부른다.

그런데 하나 놀랍고 흥미로운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나팔의 대명사는 나팔꽃인데 중국과 일본에서 아무도 이를 나팔꽃이라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미 당나라 때 일본에 전래되었다는 나팔꽃은 그 이전에 중국에 도래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원산지는 과거에는 히말라야 인근 네팔이나 인도 등이 거론되었으나 최근에는 열대아메리카라는 설이 널리 지지받는다. 그럼 콜롬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기 훨씬 전에 이미 식물은 아시아 등 타 대륙으로 전파되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여하튼 중국에서는 나팔꽃을 견우(牵牛) 또는 견우화(牵牛花)라고 한다. 그 외에 별명으로 아침에 꽃이 피고 저녁에 시든다고 조안(朝颜)이라고도 한다. 일본은 바로 이 조안()을 정명으로 하여 あさがお(아사가오)라고 하며 별명으로 견우화(牵牛花)라고 한다. 여기서의 견우는 중국의 전설과 관련된 이름인데 칠석날 견우직녀(牵牛织女) 전설의 견우와는 무관한 또 다른 전설이다. 그리고 나팔꽃에서 또 하나 놀라운 것은 우리는 이를 메꽃과 나팔꽃속이라고 하는데 중국과 일본에서는 메꽃과 고구마속이라고 부른다. 고구마가 바로 나팔꽃과 같은 속인 것이다. 그래서 고구마꽃이 나팔꽃과 매우 흡사한 것이었던 것이다. 정말 식물의 세계에는 우리가 모르는 것이 너무나도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나팔꽃의 모습과 같이 끝이 넓어지는 관모양을 나팔 모양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팔상(喇叭状)이라고 한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견우(牵牛)의 꽃이 나팔 형상이라고 나팔화(喇叭花)라고도 하는 것이다.  서양에서도 나팔 모양을 trumpet-shaped라고 흔히 표현한다. 그래서 그런 모양의 꽃이 피는 식물은 천사의 나팔 등 수도 없이 많은데 그 중에서 Trumpet tree로 불리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중남미가 원산지인 매우 아름다운 꽃이 피는 타베부이아속과 한드로안투스속 수종들을 빼놓을 수가 없다. 이들 두 속은 원래 하나의 타베부이아속으로 분류되었다가 1970년 한드로안투스속이 신설되면서 분리된다. 그러다가 1992년 다시 통합되고 2007년에 재차 분리되는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그래서 현재 타베부이아속은 75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드로안투스속은 3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겉모습도 비슷하고 분류학적으로도 우왕좌왕하여 그런지 원산지를 비롯한 서양에서는 이들을 통틀어 트럼펫 트리라고 부르며 둘을 애써 구분하지 않는다. 속명 Tabebuia는 원산지인 투피어족이 이 나무를 부르던 이름이며 그 뜻은 ant wood라고 하는데 그 유래는 명확하지 않다. 일부 수종은 목재로서 매우 유용하며 일부는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대부분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정원수로 인기 있는 대표적인 수종들 중 국내 등록된 3종은 이미 앞 게시글에서 다룬 바 있고 나머지는 국내 미등록종이다. 이들 중 무려 3종이나 중남미 국가들의 국화로 지정되어 있다. 한드로안투스 움벨라투스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은 내한성이 영하 1도 정도에 불과한 열대 수종이므로 우리나라서는 제주도가 아니라면 노지에 식재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타베부이아속(Tabebuia)

Tabebuia heterophylla

일반명 : pink trumpet tree

원산지 : 카브리안제도, 온두라스

수  고 : 6~9m

꽃색상 : 분홍 또는 백색

 

타베부이아 헤테로필라

 

Tabebuia aurea

일반명 : silver trumpet tree

원산지 : 브라질, 볼리비아,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수  고 : 8m 

꽃색상 : 밝은 노랑색

 

타베부이아 아우레아

Tabebuia rosea

일반명 : rosy trumpet tree

원산지 : 멕시코 베네수엘라 에쿠아도르

수  고 : 30m

꽃색상 : 분홍

특  기 : 엘살바로로 국화(목)

 

타베부이아 로제아

 

Tabebuia pallida

등록명 : 타베부이아 팔리다

일반명 : Cuban pink trumpet tree or white trumpet tree

원산지 : 카브리안제도

수  고 : 12m

꽃색상 : 백색 또는 연분홍

 

타베부이아 팔리다

 

한드로안투스속(Handroanthus)

Handroanthus chrysanthus

일반명 : golden trumpet tree

원산지 : 남미 열대우림

수  고 : 8m

꽃색상 : 밝은 노란색

특  기 : 베네수엘라 국화(목)

 

한드로안투스 크리산투스

 

Handroanthus heptaphyllus

일반명 : pink trumpet tree

원산지 : 열대 및 아열대 남미

수  고 : 9m

꽃색상 : 분홍

 

한드로안투스 헵타필루스

 

Handroanthus serratifolius

일반명 : yellow trumpet tree

원산지 : 중남미

수  고 : 12m

꽃색상 : 노랑 

 

한드로안투스 세라티폴리우스

 

Handroanthus impetiginosus

등록명 : 한드로안투스 임페티기노수스

일반명 : Pink Trumpet Tree

원산지 : 중남미

수  고 : 15m

꽃색상 : 분홍

특  기 : 파라과이 국화(목)

 

한드로안투스 임페티기노수스

 

Handroanthus umbellatus

등록명 : 한드로안투스 움벨라투스

일반명 : Yellow Trumpet Tree

원산지 : 브라질

수   : 15m

꽃색상 : 노랑

 

한드로안투스 움벨라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