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후박속

1045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미국우산목련

낙은재 2020. 9. 8. 11:54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꽃향기가 진한데 사람에 따라서는 역겹게 느낀다.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글쓴이는 영어를 자주 접해야만 하는 직업을 가졌기에 영어가 그렇게 낯설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이 따위 이름을 보면 정말 짜증이 난다. 트로페탈라우산목련이 뭐냐? 그럴 바에는 차라리 학명 Magnolia tripetala 그대로 마그놀리아 트리페탈라라고 하는 것이 국제적으로 통하는 학명이므로 더 유용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국내서 널리 사용될 표준화된 국명을 정한답시고 어설프게 손 대서 더 헷갈리게 하지는 말았으면 좋겠다. 혹시 고작 이걸 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낸 세금을 쓴다면 제발 그만둬 더 이상 세금을 축내지 말았으면 한다. 우선 말이 나왔으니 왜 이 따위 이름이 생겼는지부터 파악해 보자. 키가 15m까지 자라는 미국 남동부가 원산지인 이 낙엽 교목은 그 모습은 누가 봐도 영락없이 중국 원산의 후박 또는 우리가 일본목련이라고 부르는 일본후박을 닮았다. 그리고 실제로 Magnolia tripetala는 통합론자들이 목련들을 12 Section(조)으로 세분할 경우에 Rhytidospermum()로 분류되며 여기서 다시 두 개의 아조(亞組)로 다시 나눌 때 중국의 후박과 일본후박 등과 더불어 Rhytidospermum아조(亞組)로 분류가 된다. 다시 말하자면 이 Magnolia tripetala는 중국의 후박(厚朴)과 장훼후박(喙厚朴) 그리고 일본후박(日本厚朴)과 더불어 전세계 단 4종이 분포하는 후박(厚朴) 중 하나인 것이다. 따라서 이상하고도 어려운 잡탕식 이름을 붙일 것이 아니라 그냥 미국후박(美國厚朴)이라고 하였다면 매우 간단하면서도 그 특성이 금방 파악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럼 이 잡탕식 이름이 나온 배경을 알아보자.

 

이 수종은 1743년 영국의 식물 채집가인 Mark Catesby(1683~1749)에 의하여 유럽에 처음 소개되었다고 하는데 그는 1726년 태산목을 유럽에 처음 도입한 사람이다. 그 후 1752년에 펜실베니아주 남쪽에서 채집된 것이 영국 식물학자 Peter Collinson의 정원으로 건너가 1760년 처음 꽃을 피운 것이 유럽 최초라고 한다. 그래서 초창기에 유럽에 도입된 목련 수종들 중 하나가 된다. 그래서 린네가 1753년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 모식종인 버지니아목련과 함께 명명한 6개 수종 중 하나가 되는데 그 당시에는 버지니아목련의 변종으로 판단하여 Magnolia virginiana var. tripetala L.라고 명명하였다. 그러다가 1759년 독립된 종으로 판단하여 Magnolia tripetala (L.) L.로 재명명하게 되는데 이 학명이 오늘날까지 사용된다. 여기서 종소명 tripetala는 꽃잎이 3장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꽃잎(petal)이 아니라 꽃받침(sepal) 모양을 하고 있는 가장 바깥쪽 화피편(tepal)이 3장이라서 그렇게 이름을 붙인 것이라고 한다. 그 당시 수많은 식물들을 린네가 일일이 확인하지 못하였기에 다소 착오가 있었지만 이걸 누가 뭐라 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21세기에 와서 린네가 실수한 이 이름을 아무 생각 없이 그대로 따라서 국명을 정한 우리나라는 결코 바람직해 보이지는 않는다. 그것도 그 뒤에 우산이라는 이름을 덧붙여서 말이다. 학명 Magnolia tripetala에는 우산이라는 뜻은 전혀 없는데도 느닷없이 우산을 덧붙인 이유는 이 미국후박의 잎 길이가 최대 1m에 달하게 워낙 커서 우산으로 써도 될 정도이기에 영어권에서 일반적으로 우산나무 즉 umbrella-tree 또는 우산목련 즉 umbrella magnolia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학명에다가 일반명까지 추가하여 짬뽕을 만들고 마지막에 속명인 목련을 붙인 것이 우리나라의 현재 이름 트로페탈라우산목련인 것이다.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꽃받침 모양의 화피편 3장이 뚜렷하게 보인다. 이래서 종소명 tripetala가 붙었다.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미국 동부 원산이며 잎 모양이 동양의 후박과 약간 다르다.

 

목련과 수종들 중에서 백합나무속을 제외한 모두를 목련속 즉 Magnolia속으로 통합하는 측에서는 거대한 목련속을 목련아속과 옥란아속 그리고 Subgenus Gynopodium 3개의 아속(亞屬)으로 크게 3분하고 그 아속을 다시 12개의 Section 즉 조()로 세분할 경우에 이 미국 원산 Magnolia tripetalaSection Rhytidospermum 즉 추종목련조(皺種木蘭組)로 분류되며 여기서 다시 두 개의 Subsection(아조)로 다시 나누어질 때 중국의 후박과 일본후박 등과 더불어 Subsection Rhytidospermum 즉 추종목련아조(皺種木蘭亞組)로 분류된다고 앞에서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조() 이름 Rhytidospermum는 주름이 있는 종자라는 뜻인데 실제로는 주름이 있는 열매를 말한다. 그리고 한편 중국에서 2008년 목련과를 대분해하여 22개의 독립된 속으로 분리할 때 Magnolia tripetala는 앞에서 언급한 중국 후박, 장훼후박 그리고 일본후박과 더불어 신설된 후박속(厚朴) Houpoea속을 구성하게 된다. 후박속 분리론자들은 그 때 이 Magnolia tripetala의 중국명을 협판후박(瓣厚朴)이라고 하며 학명도 Houpoea tripetala (L.) Sima, S. G. Lu, N. H. Xia & C. Y. Wu (2012)로 표기한다. 하지만 아직 이 학명은 널리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는 것 같다. 따라서 중국에서도 후박속이 아닌 북미목련속으로 분류할 경우는 단순히 학명을 번역한 이름인 삼판목란(三瓣木)이라고 부르고 있어 현재 과도기의 어정쩡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목련과의 통합론자이던 분리론자이던 이 미국 원산의 Magnolia tripetala가 동양의 후박들과 근연종이라는 것은 모두 인정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 열매가 쭈글쭈글하여 Rhytidospermum라는 조 이름이 붙었다.

목련속 수종들 중에서 낙엽 교목이며 가지 끝에 모여서 어긋나게 나는 잎이 매우 크며 화피편이 6~12개이고 수술이 다수인 꽃을 가지 끝에 피우고 다수의 심피에 배주마다 2개의 종자가 발육하는 원통상 취합골돌과는 나중에 배봉선이 터지면서 종자가 튀어나오는 특징을 가진 수종들이 있다. 이들은 전세계 4종만 분포하며 그 중에서 3종이 중국과 일본에서 자생하는데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들의 수피가 두껍다고 후박(厚朴)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가 저 멀리 미국에서 자생하는데 그게 바로 Magnolia tripetala이다. 수피가 그다지 두꺼워 보이지 않는 이 수종을 원산지 미국에서는 잎이 크다고 우산나무 또는 우산목련이라고 부르고 있다. 동양  후박의 두터운 수피는 예로부터 약재로 널리 사용하였기에 우리나라 선조들도 오래 전부터 수입하여 쓰면서 후박이라고 불러 왔으며 이미 고려시대 문헌에도 후박(厚朴)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동의보감에서도 후박이라고 하였으며 지금 현재 한의학에서도 여전히 후박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과거 우리가 오랫동안 불러왔던 이름 그리고 현재 한의학계에서 여전히 쓰고 있는 이름을 아무런 이유도 없이 버리고 일본후박을 일본목련이라고 하고 중국 후박을 중국목련이라고 이름을 붙이더니 이제 이 미국 원산 후박 근연종을 미국목련이라고는 차마 할 수가 없었던지 이번에는 서양인들이 umbrella magnolia라고 한다고 우산목련이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백번 양보하여 후박을 버리고 우산목련이라고 하려면 일본목련은 일본우산목련으로 중국목련은 중국우산목련이라고 불러야 일관성이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지금이라도 일본목련을 일본후박 중국목련을 후박 또는 중국후박이라고 고쳐서 옛이름을 되찾고 이 수종 또한 미국후박으로 부르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등록명 : 트로페탈라우산목련

희망명 : 미국후박

  : Magnolia tripetala (L.) L.

신학명 : Houpoea tripetala (아직 미승인 학명)

  : 목련과 목련속 낙엽 교목

신분류 : 목련과 후박속 낙엽 교목

원산지 : 미국 동부

영어명 : umbrella magnolia 또는 umbrella-tree

중국명 : 협판후박(瓣厚朴), 삼판목란(三瓣木) 미국대엽옥란(大叶玉)

  : 9~15m

잎크기 : 10~50 x 7~25cm

꽃지름 : 15~25cm

화피편 : 6~12

내한성 : 영하 28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꽃모양이 동양의 후박과는 다른데 꽃잎이 좁다고 중국에서 협판후박(狭瓣厚朴)이라고 한다.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수피가 동양의 후박들만큼 두꺼워 보이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