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표식에 학명을 Magnolia officinalis var. biloba Rehder & E.H.Wilson으로 국명을 갈레중국목련이라고 하여 등록된 목련속 수종이 있다. 이는 앞 게시글에서 다룬 중국 후박(厚朴)의 변종으로서 중국에서 요엽후박(凹叶厚朴)이라고 불리는 종이다. 잎의 가운데가 두 갈래로 갈라진 모습을 한다는 점에서 원종인 중국 후박(厚朴)과 차이를 보이는 이 요엽후박의 학명은 식물 채집가 어니스트 헨리 윌슨이 1907년 중국 명승지 강서성 여산(庐山)에서 야생이 아닌 재배 상태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1913년 미국 하버드대 아놀드수목원의 알프레드 리더교수와 공동 명의로 명명한 것이다. 여태까지 이 학명이 세계적으로 널리 지지를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그렇게 등록되어 있다. 변종명 biloba는 잎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는 뜻으로 중국명 요엽(凹叶厚朴)과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그 이후 후박의 변종이 아닌 아종으로 분류하는 중국 학자들이 있었는데 최근까지 중국식물지에는 중국의 목란 권위자인 유옥아(劉玉壺, 1917~2004)연구원이 1996년 아종으로 명명한 학명 Magnolia officinalis subsp. biloba (Rehd.et Wils.) Law로 표기되어 있었다. 중국 후박이 사천 귀주 감숙 섬서성 등 서남부 내륙지방에서 주로 자생한다면 이 요엽후박은 안휘 절강 강서 복건 광동성 등 동남부 지방에서 주로 자생한다. 특히 모식 표본이 강서성 여산(庐山)에서 채취하였기에 여산후박(庐山厚朴)으로도 불리어 사천(四川)성에서 생산된 약재가 상품(上品)이라고 천박(川朴)으로도 불리는 원종 후박과 대비된다.


중국에서는 원종과 마찬가지로 이 아종도 난개발과 무분별한 약재 채취로 급속하게 개체수가 줄어들어 1999년 국가2급 보호수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잎의 끝이 갈라짐과 취합과(聚合果)인 열매의 기부가 조금 좁다는 것 외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는데다가 야생에서 서식지가 발견되지 않아서 원종에 통합하여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었는데 2008년 중국과학원 오정일(吴征镒, 1916~2013) 즉 Wu Cheng Yi(h)원사(院士)와 하념화(夏念和,1963~ ) 즉 Xia Nian-he연구원에 의하여 후박속(厚朴属) 즉 Houpoea가 신설되면서 원종과 통합되어 새로운 학명 Houpoea officinalis (Rehder & E.H. Wilson) N.H. Xia & C.Y. Wu로 표기되고 있다. 그러니까 중국명 厚朴(후박)의 중국 발음 Houpo에서 온 새로운 속명 Houpoea 즉 후박(厚朴)속에서는 후박과 요엽후박이 하나로 통합되어 모두 후박(厚朴)으로 불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언제인가는 우리나라도 갈레중국목련이 아니라 중국목련으로 변경될 날이 올 것 같지만 그사이라도 철자법은 지켜서 등록해야 되는 것 아닌가 한다. 갈레라고 한 것은 아마 요엽 즉 잎의 끝이 오목하게 둘로 갈라진 것을 표현한 것 같은데 그러려면 갈래라고 표기해야 옳다. 갈래등골나무 갈래양귀비 세갈래단풍 세갈래쥐손이 등 다들 그렇게 등록되어 있다. 다만 세잎종덩굴 이명에 갈레세잎종덩굴이 있는데 이 또한 오류로 보인다.

이 요엽후박은 원래 중국의 원산지가 온난한 중국 남방 지방인데다가 서구에서 내한성을 영하 9도 또는 영하 12도로 원종인 중국 후박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서울 홍릉수목원의 노지에서 자라고 있는 것을 봤을 때 내한성이 예상 외로 보다 더 강한 것으로 판단 된다. 중의학에서는 요엽후박의 수피를 후박의 수피와 구분 없이 厚朴(후박)이라며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동북3성을 비롯하여 북경 이북에서는 내한성이 강한 일본후박을 많이 재배하는데 여기서 채취한 후박도 차별 없이 약재로 사용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더 널리 보급되는 것 같다. 그러니까 중국 후박 약재가 일본후박의 수피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중국의 요엽후박(凹叶厚朴)을 중국에서는 결코 목련이라고 부르지 않는데 우리나라에서 왜 중국목련이라고 하느냐에 대하여는 앞 게시글 중국목련에서 많이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등록명 : 갈레중국목련
수정명 : 갈래중국목련
학 명 : Magnolia officinalis var. biloba Rehder & E.H.Wilson
신학명 : Houpoea officinalis (Rehder & E.H. Wilson) N.H. Xia & C.Y. Wu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교목
신분류 : 목련과 후박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강서 안휘 절강 복건 광동 등 동남부
중국명 : 요엽후박(凹叶厚朴), 통합명 - 후박(厚朴)
수 고 : 20m
특 징 : 잎의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지고 열매의 기부가 좁다.
개화기 : 4~5월
결실기 : 10월
용 도 : 관상용, 착유 비누 목재 약용
내한성 : 영하 12도, 하지만 서울 홍릉에서 노지 월동
















'목련과 > 후박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46 우산목련 '블룸필드' - 잎이 크고 두꺼운 미국후박의 원예 품종 (0) | 2020.09.08 |
---|---|
1045 트로페탈라우산목련 = 미국후박, 미국우산목련 (0) | 2020.09.08 |
1014 일본목련 ‘핑크 플러시’ 와 영국 카헤이스성 수목원 (0) | 2020.08.18 |
1013 일본목련 - 일본후박(日本厚朴), 박목(朴の木) (0) | 2020.08.18 |
1011 엉뚱하게 중국목련으로 불리는 유명 약재 후박(厚朴) (0) | 2020.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