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슨목련 '체버튼 레드'는 학명 Magnolia dawsoniana 'Chyverton Red'로 표기되는 중국 사천성 원산 도슨목련의 원예품종이다. Magnolia dawsoniana 즉 도슨목련의 원산지 중국명은 길이 14cm인 이 수종의 잎에 광택이 있다고 광엽옥란(光叶玉兰)으로 불린다. 이 품종은 원래 프랑스 데이비드신부에 의하여 처음 서양에 알려졌으나 명명되지 못하고 있다가 나중인 1908년에 그 유명한 식물 채집가 어네스트 윌슨이 사천성 강정(康定)에서 재발견하여 하버드대학 리더교수와 함께 그 당시 하버드대부설 아놀드수목원 관리책임자이던 Jackson T. Dawson의 이름으로 Magnolia dawsoniana Rehder & E.H.Wilson이라고 둘이서 명명한 것이다. 앞 1077번 게시글에서 도슨목련을 다룬 바 있으나 원예품종이 누락되어 지금 추가하는 것이다.
도슨목련은 키가 20m에 나무 지름이 1m나 되게 자라는 대교목인데도 그 꽃이 매우 아름다워 혹자는 캠밸목련보다 더 아름다운 목련이라고도 한다. 중국에는 정말 아름다운 목련들이 많다. 우리가 잘 아는 백목련과 자목련뿐만 아니라 우리가 자주목련이라고 하는 스프렝게리목련도 중국이 원산지이며 원예 품종 개발의 부모종으로 자주 활용되는 사전트목련(로부스타)목련도 중국에서만 자생한다. 그 외에도 안휘성 황산에서 발견된 황산목련이나 절강성 천목산에서 발견된 천목산목련이 있고 강소성 보화산에서 발견된 보화목련도 있으며 입춘지절에 개화한다는 망춘목련도 있는데 이들도 그 아름다움에 있어서는 결코 뒤지지 않는다. 여기에 중국 고유종은 아니지만 중국에서 널리 자생하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알려진 목련 수종인 캠밸목련도 있다. 그런데 그 캠밸목련 못지않게 도슨목련이 아름다운데도 특이하게 원예품종 개발을 위하여 활용되지는 못한 것 같다. 도슨목련은 비록 중국 남방 사천성이 원산지이기는 하지만 해발 1,400~2,500 산지에서 자생하기 때문에 내한성이 영하 23도로 결코 약하지 않다. 그런데도 쓰임이 없었던 이유는 아마 최초 개화시기가 무려 15~20년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정도 긴 세월이 소요된다면 이 수종의 품종 개량은 인간의 수명으로는 일생 겨우 단 한 번의 찬스 외에는 시도하지 못할 것 같다.
도슨목련 '체버튼 레드'는 영국의 캐헤이스성 라나스정원에서 가장 먼저 도입되어 자라고 있던 도슨목련을 분양 받아 인근에 있는 Nigel Holman의 Chyverton Park에서 기르던 중 나중에 보니 꽃이 조금 특이한 적색으로 피고 화피편이 좁다고 하나의 새로운 원예 품종이라고 체버튼 레드라는 품종명을 붙여서 소개한 것 같다. 글쎄 색상이 크림슨(crimson)색에서 카마인 핑크(carmine pink)색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라는데 원래 캐헤이스성에 있던 도슨목련 원종과 비교할 때 뭐가 차이난다는 것이지 모르겠다.
등록명 : 도슨목련 '체버튼 레드'
학 명 : Magnolia dawsoniana 'Chyverton Red'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소교목, 교목
원산지 : 중국 원산 광엽옥란의 원예품종
육종가 : 영국 콘월 Chyverton Park의 Nigel Holman이 개발 1973년 발표
수 고 : 10m 이상 추정
꽃특징 : 화피편이 좁고 진홍색에서 핑크색으로 변함
내한성 : 영하 23도
'목련과 옥란속 > 기타옥란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20 목련 '선라이즈'로 잘못 불려진 황산목련 '녹성(루씽)' (0) | 2021.01.26 |
---|---|
1310 도슨목련 '클라크' - 중국 광엽옥란의 원예품종 (0) | 2021.01.20 |
1114 중국버들목련 = 중국 특산 망춘옥란(望春玉兰) (0) | 2020.10.19 |
1112 황산목련 - 중국 원산 또 하나의 아름다운 희귀 목련 수종 (0) | 2020.10.18 |
1092 버들목련 '와다스 메모리' = 큐목련 ‘와다스 메모리’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