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이제는 인터넷이라는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되어 웬만한 정보는 비밀이 아닌 다음에야 쉽게 온 세상으로 널리 퍼지게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주 먼 과거도 아닌 2009년에 유럽에 옅은 노란색 바탕에 기부가 자홍색이며 가운데 자홍색 맥문이 있는 특이한 색상의 꽃이 피는 신품종이 목련 '선라이즈' 즉 Magnolia 'Sunrise'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 품종의 정확한 정체를 파악하지 못하겠다고 서양에서 실토한다. 누가 언제 어떻게 육종하였는지 그리고 교잡종이라면 부모종은 어떤 수종인지를 아무도 모르며 단지 중국에서 도입된 것 같다고만 한다. 그런데 실체는 분명 존재하여 영국의 유서 깊은 화훼 유통업체인 Thompson & Morgan과 온라인 전문 화훼 유통업체인 Van Meuwen에서 과거에는 정체불명의 수종인 Magnolia concinna의 원예품종인 'Sunrise'라고 하다가 지금 현재는 Magnolia 'Sunrise'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정 수종명이 없이 그냥 Magnolia의 'Sunrise'라는 품종명이라면 이는 목련속 수종들간의 교잡종에나 붙이는 학명을 이 품종에 붙인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천리포수목원을 포함한 수목원들과 유통업체들 모두 목련 '선 라이즈'라고 부르고 있다. 하기야 전통의 영국 RHS에서도 Magnolia 'Sunrise'라는 이름으로 유통을 한다. 그런데 영국 왕립원예학회인 RHS에서는 결코 품종명을 인정한 것은 아니고 단지 잠정적으로 부르는 이름이라고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즉 인정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는 이름이라는 뜻이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유통 업체들이란 그저 비지니스가 우선이고 정확하게 분류하여 올바른 명칭을 붙이는 것은 뒷전인 법이다. 그렇지만 아무리 그래도 역사가 160년이 넘는 영국의 Thompson & Morgan에서 자기들 취급 상품의 족보를 파악하려는 최소한의 노력도 없이 10년 이상 계속 엉뚱한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는 것은 몹시 못마땅해 보인다. 떳떳하지 못하게 제대로 파악하고 있으면서도 공급원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업상 밝히지 않을 가능성마저도 의심이 든다. 이렇게 최초 판매업체 둘이 이러니 나머지 내막을 모르는 업체들이야 수종을 알 수가 없어서 일부에서는 아무래도 백목련의 원예품종 같다고 Magnolia denudata 'Sunrise'라는 이름을 많이 붙인다. 그런데 영국 최대 목련 컬렉션을 자랑하는 캐헤이스성에서는 이 품종을 당초에는 Magnolia 'Sunrise'로 알고서 수목원에 심었지만 지금은 Magnolia cylindrica ‘Lv Xing’ 즉 중국 원산 황산목련의 원예 품종인 '루씽'으로 바로잡아 부른다고 한다. 역시 캐헤이스성 수목원의 목련 정보는 믿을만 하다. 목련 컬렉션 면에서는 우리나라 천리포수목원도 영국 캐헤이스성에 못지 않게 다양한 컬렉션을 자랑하지만 이런 학구적인 노력과 서어비스는 민병갈박사가 타계한 이후에는 정녕 기대하기 어려운 것인가?
그래서 이 품종의 내력을 찾아보니 이미 2017년 국제목련학회지의 Issue 101호에서 밝혔다고 한다. 그 학회지를 읽어 본 것은 아니지만 이 품종은 백목련 즉 Magnolia denudata도 Magnolia concinna도 아니고 그렇다고 교잡종도 아닌 중국 황산(黃山)에서 자생하는 세계적인 희귀 수종인 황산목련 즉 Magnolia cylindrica의 원예품종이라는 것이다. 이제 실마리가 대충 나왔으므로 그 다음은 중국에서 정보를 찾으면 되는데 문제는 중국의 정보는 구글에서 파악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아직도 혼란이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추가로 파악한 정보에 의하면 이 품종의 탄생 배경은 다음과 같다. 원래 황산목련은 1925년 중국 식물학자로서 특히 양치식물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진인창(秦仁昌,1898~1986)이 안휘성 황산 1,150m 지대 계곡 응달에서 자생하는 것을 발견하여 미국으로 보내 어네스트 윌슨이 1927년에 Magnolia cylindrica E.H.Wilson이라고 명명한 것인데 발견 당시 꽃은 이미 지고 열매만 있었는데 그 열매가 목련의 취합과로는 드물게 쭈그러진 모습이 없이 하나로 유합(癒合)되어 온전한 원통 즉 cylinder(실린더) 같이 보였던 것이다. 그래서 cylindrical이라는 종소명을 붙인 목련과 옥란속 소교목 또는 교목이다. 꽃의 기본 색상이 백색인 점과 기부에 핑크색을 띤다는 점 그리고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이 핀다는 점에서 백목련과 유사하므로 아마 일부에서 이 '선 라이즈' 품종을 백목련 원예품종으로 파악하였을 것 같다. 하지만 황산목련은 화피편이 같은 9장이기는 하나 꽃받침 형상이 3장이 포함되어 있어 꽃잎 형상 화피편은 6장으로 꽃받침이 없이 꽃잎만 9장인 백목련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이다. 그리고 적자색 기부와 줄무늬가 뚜렷하고 열매가 길이 5~7.5cm에 지름이 1.8~2.5cm로 짧고 굵다는 점에서 백목련과는 차이점을 보이는 수종이다.
그런데 이 '선 라이즈' 품종이 황산목련의 원예품종이라고 하면 동양의 목련을 무척이나 사랑하는 영국 사람들이 결코 못알아들을 리가 없는데 왜 아직도 헤매고 있는 것일까? 그 이유는 중국에서 이 품종을 개발할 때 이 품종이 황산목련의 원예품종이라는 말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품종은 중국에서 개인이 아닌 서안식물원(西安植物园)과 심천의 선호식물원(仙湖植物园) 그리고 광동성 광주시에 있는 종려원림(棕榈园林)회사가 2004년에 육종팀을 결성하고 신품종 개발에 착수하여 2008년에 선종하고 2009년에 중국 당국에 신품종으로 등록한 것이다. 이때 품종명을 녹성옥란(绿星玉兰)이라고 하였으며 특허권자는 위 3개 기관으로 되어 있고 육종가로 각 기관에서 파견된 왕아령(王亚玲)박사와 장수주(张寿洲) 오계창(吴桂昌) 등 3명의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때 표기된 학명은 보이지 않으며 단지 미려자옥란(美丽紫玉兰)의 아변류형(芽变类型)이라고 설명하였다. 아변(芽变)이란 체세포돌변을 말하므로 결국 미려자옥란(美丽紫玉兰)의 변이종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중국식물지에도 없는 미려자옥란(美丽紫玉兰)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니 이는 2004년에 북경과학기술출판사에서 발간한 유옥호(刘玉壶) 증경문(曾庆文) 주인장(周仁章) 형복무(邢福武)가 공동저술한 중국 원산의 목련과 수종 178종을 소개한 "중국목란(中国木兰)"이라는 책에서 미려자옥란(美丽紫玉兰)이 학명 Magnolia concinna Y.W. Law & R.Z. Zhou이라고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 중국 화남식물원 식물분류학자인 유옥호(刘玉壶, 1917~2004) 즉 Y.W. Law와 같은 식물원 수석 원예사인 주인장(周仁章, 1938~ ) 즉 R.Z. Zhou가 공동으로 명명한 Magnolia concinna는 라틴어로 제대로 형식을 갖춰서 발표한 학명이 아니기에 유효한 학명이 아니다. 게다가 품종명 녹성(绿星)은 영어로 하면 'Green Star'가 되는데 이 품종명은 이미 1994년에 미국에서 별목련에다가 붙인 이름이라서 중복되어 쓸 수가 없었다. 그러니까 이렇게 무효 학명에다가 쓸 수가 없는 중복된 품종명으로 중국에서 도입되었기에 영국의 유서깊은 원예 유통업체에서도 제대로 이름을 붙일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초창기에는 학명은 그대로 Magnolia concinna라 하고 품종명은 'Sunrise'라고 변경하여 유통시켰던 것이다. 그 결과 존재하지도 않는 학명에 대한 논란 야기는 당연한 귀결이므로 일부에서는 백목련 즉 Magnolia denudata라고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2017년 목련학회지에 황산목련 즉 Magnolia cylindrica의 원예품종이라고 발표가 된다. 아마 꽃 모양과 열매의 모양에서 황산목련이라고 판단한 것 같으며 최근 중국에서도 이렇게 표기하고 있다. 그리고 품종명도 원 개발자인 중국 측에서 원하는 绿星(녹성)을 중국 발음 그대로 'Lv Xing' 즉 '루씽'이라고 써야 된다고 못을 박았다. 따라서 이제는 더 이상 엉터리 종명과 품종명으로 된 Magnolia 'Sunrise'로 쓰면 안되고 Magnolia cylindrica 'Lv Xing'이라고 제대로 표기해야 된다.
여기서 하나 흥미로운 것은 우리도 그렇고 서양에서도 모두 이 품종의 꽃 색상이 유백색 즉 creamy white로 묘사하고 있어 얼핏 사진으로 봐서는 짙은 노란색 꽃이라고 인식하기 쉬우나 중국에서는 처음에는 담록색 또는 황록색이고 나중에 백색으로 변한다고 묘사하고 있어 녹색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를 녹성(绿星)이라는 품종명을 붙인 것이다. 중국에서는 워낙 크림색 꽃이 피는 상록 함소화나 상록 목련들이 많아서 유백색 꽃은 귀한 존재가 아닌 것이다. 그리고 유백색이던 황록색이던 나중에 백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 품종에서 진한 노란색 꽃을 기대해서는 안 될 듯하다. 이 품종은 꽃 색상이 녹색이 기본인데다가 화피편 외면 기부 1/3 정도가 자홍색이며 자홍색 맥문이 있다는 점이 백색 바탕에 기부가 홍색인 황산목련과 다르다. 즉 바탕색이던 기부색이던 모두 이 품종의 색상이 원종에 비하여 더 진하다는 것이다. 꽃 색상 외에도 10년생이 2~3m까지만 자라는 왜성이라는 점도 키가 6~10m까지 자라는 황산목련에 비하면 큰 차이점이 아닐 수 없다. 원주형 즉 실린더 같은 열매 모양이나 장타원형 잎은 크기가 14 x 5cm로 황산목련과 거의 비슷하다.
이 품종의 내한성은 영하 27도 이상이므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도 노지월동이 충분하지만 워낙 작게 자라는 왜성종이므로 유럽에서는 이를 화분에 심어 파티오 장식용으로 많이 활용한다. 그래서 이 품종을 최상의 파티오용 목련이라며 특히 중국 심천의 선호식물원(仙湖植物园)에서 개발한 또 다른 품종인 Magnolia 'Red Lucky'와 잘 어울린다고 세트로 판매하고 있는 것 같다. 이 Magnolia 'Red Lucky' 품종도 정식 명칭은 Magnolia × soulangeana 'Hongjixing' 즉 접시꽃목련 '홍지씽'이라고 하지만 중국에서 자목련과 금엽초령목을 교잡시켜 개발한 반상록 관목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그냥 Magnolia 'Hongjixing' 즉 목련 '홍지씽'이나 목련 '홍길성'이라고 해야 옳은 듯하다. 'Hongjixing'은 중국에서 홍길성(红吉星) 즉 행운의 붉은 별을 지칭한다. 그래서 영어명을 'Red Lucky'라고 한 것이다. 그리고 이 품종을 'Hong Yun' 즉 红运(홍운)이라고도 하는데 홍운(紅運)은 영어로 직역하면 good luck이 된다. 여기서 파티오(Patio)는 일반적으로 주거건물에 인접하여 식사나 놀이하기에 적합한 실외 공간을 말하며 주로 돌 등이 깔려 있는 곳을 말한다. 국내 미등록 원예품종인 목련 '선 라이즈' 하나를 파악하려다 보니 워낙 유럽에서부터 잘못된 정보 투성이라서 제대로 파악하려고 드니 끝도 한도 없다.
품종명 : 황산목련 '녹성(绿星)' (미등록종)
이 명 : 황산목련 '루씽'
유통명 : 목련 '선 라이즈'
정 명 : Magnolia cylindrica 'Lv Xing'
이 명 : Magnolia cylindrica ‘Greenstar’ (중국)
과거명 : Magnolia 'Sunrise'
과거명 : Magnolia denudata 'Sunrise'
과거명 : Magnolia concinna 'Sunrise'
이 명 : Magnolia 'Green Diamond'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원산 황목련의 원예품종
육종가 : 중국 왕아령(王亚玲) 장수주(张寿洲) 오계창(吴桂昌), 2009년 발표
중국명 : 녹성옥란(绿星玉兰)
수 고 : 2~3m
특 징 : 담황록색에서 백색으로 변함. 기부 자홍색. 외면 자홍색 맥문. 화피편 9장, 튤립(성배) 형 꽃, 한여름 2차 개화
내한성 : 영하 27~29도
'목련과 옥란속 > 기타옥란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10 도슨목련 '클라크' - 중국 광엽옥란의 원예품종 (0) | 2021.01.20 |
---|---|
1309 도슨목련 '체버튼 레드' - 중국 광엽옥란의 원예품종 (0) | 2021.01.20 |
1114 중국버들목련 = 중국 특산 망춘옥란(望春玉兰) (0) | 2020.10.19 |
1112 황산목련 - 중국 원산 또 하나의 아름다운 희귀 목련 수종 (0) | 2020.10.18 |
1092 버들목련 '와다스 메모리' = 큐목련 ‘와다스 메모리’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