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영산홍아속

1358 대만고산철쭉 – 포복성 관목

낙은재 2021. 3. 7. 11:38

대만고산철쭉 
대만고산철쭉
대만고산철쭉

대만고산철쭉은 이름 그대로 대만 타이페이(臺北) 북부 양명산(陽明山)국립공원내 해발 1,092m인 활화산 대둔산(大屯山) 고지에서 많이 자생하는 철쭉으로서 대만 고유종이다. 전홍색(磚紅色) 또는 선홍색(鮮紅色) 지름 4cm의 작은 꽃이 피며 키가 1m 남짓하게 포복(匍伏) 왜성(矮性)으로 낮게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대만에서는 최초 발견자인 일본의 나카하라 겐지(中原 源治)의 이름을 딴 중원씨두견(中原氏杜鵑)이라고 하거나 자생지 이름을 따서 대둔두견(大屯杜鵑)이라고 도 하지만 대둔두견은 다른 종을 부르는 이름이기도 하다. 대만도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는 중국에서는 이를 자생종으로 분류하고 나극합두견(那克哈杜鹃)이라고 한다. 이는 발견자 나카하라(中原)의 이름으로 명명된 학명의 종소명 nakaharae를 그대로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그런데 최초 표본 발견지는 대둔산이 아니라 양명산 화산군 최고봉인 해발 1,120m인 칠성산(七星山)의 중턱 이상인 해발 700 ~ 1000m 고지대 숲이다. 거기서 1905년에 일본인 나카하라 겐지(中原 源治)에 의하여 발견된 것이다. 나카하라 겐지는 일본 국내는 물론 사할린이나 대만 등 많은 지역의 식물탐사에 참여한 식물학자라기보다는 식물채집가로서 유명한 사람인데 이상하게도 1903년 후쿠오카사범대학 박물교수실 조교였다는 정보 외에는 생몰연대마저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다. 그가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일본의 대만 전문 식물학자로 유명한 하야타 분조(早田文藏, 1874~1934)가 그의 이름으로 1908년 현재의 학명을 발표한 것이다.

 

대둔산에서 자생하는 모습(좌)와 칠성산에 자생하는 모습(우) 

참고로 우리나라는 식물 조사와 명명을 나카이 다케노신(中井 猛之進, 1882~1952)이라는 학자가 거의 혼자서 했지만 대만의 경우 여러 명의 일본 학자가 관여하여 탐사하고 명명하였는데 그 중에서 하야타 분조는 대만 자생종 무려 1,636종에다가 학명을 붙였기에 대만 식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래서 지금도 대북식물원에 가면 그의 기념비가 있어 우리나라서 공과(功過) 논쟁의 대상이 되는 나카이와는 대조가 된다. 그리고 하야타가 발표한 종소명은 nakaharae이지만 문법상으로는 nakaharai가 옳기 때문에 수정하여 표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우리나라도 그렇게 등록되어 있다. 하지만 작은 실수가 있더라도 원본을 중시하여 학명을 Rhododendron nakaharae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다고 그렇게 표기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 그런데 현재 중국에서도 일본에서도 아무도 그렇게 부르지 않는데 어떻게 우리나라서 이 수종을 대만고산(臺灣高山)철쭉이라고 하였는지 놀라우며 나카하라철쭉이라고 하지 않는 것은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렇게 이름 자체에 대만이라는 원산지와 고산이라는 자생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용한 이름이 아닌가 한다.

 

대만식물학의 기초를 쌓은 하야타 분조와 대북식물원에 세워진 그의 기념비  

이 수종의 꽃 모습은 중국 두견인 심스아잘레아를 많이 닮아 보이지만 정작 대만에서는 또 다른 대만 고유 두견인 대만철쭉과 많이 닮았다고 한다. 어떤 점이 비슷하고 차이점인지는 다음 대만철쭉 편에서 파악하기로 한다. 중국과 대만 어느 도감에서도 상록이니 낙엽이니 하는 묘사가 없다. 원래 열대 식물은 늘 푸르기 때문에 그런 표현은 하지 않는다. 상록인지 낙엽인지는 기후와 지역과 관련된 것이므로 원래 식물분류학적인 구분법도 아니다. 이 대만고산철쭉은 춘엽과 하엽으로 잎이 구분되는 것으로 봐서는 온대지방에 와서는 겨울에 하엽(夏葉)이 그대로 월동하므로 상록 또는 반상록이라고 해야 옳을 듯하다. 내한성은 영하 18도이므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나 노지 재배가 가능해 보인다. 탁트인 정원을 추구하는 영국에서는 포복성 이 수중에 관심이 많은지 1970년 RHS로부터 우수정원수로 선정되어 AM상을 수상한 바도 있다.

 

등록명 : 대만고산철쭉

학   명 : Rhododendron nakaharai Hayata

이   명 : Rhododendron nakaharae Hayata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포복성 관목

그   룹 : 아잘레아, 영산홍아속

원산지 : 대만 고유종

대만명 : 중원씨두견(中原氏杜鵑)

중국명 : 나극합두견(那克哈杜鹃)

일본명 : 중원철쭉(中原躑躅)

수   고 : 0.6~1.2m

가   지 : 밀집, 유지 회색 갈색 복자모

잎특징 : 지단 집생, 지질, 후, 난상타원형, 길이 2cm, 상하면 자모

꽃특징 : 지정 2~6송이 족생, 전홍색, 전홍색, 나팔상종형, 지름 4cm

수   술 : 10개

열   매 : 삭과 난형 8mm

개화기 : 6월

내한성 : 영하 18도

특   기 : 왜성 교잡종 개발에 사용된다.

 

대만고산철쭉
대만고산철쭉
대만고산철쭉
대만고산철쭉
대만고산철쭉
대만고산철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