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고산철쭉에 이어서 또 하나의 대만 원산 아름다운 철쭉 중 하나인 대만철쭉을 파악해 보자. 이 또한 타이완 북부 타이베이시 양명산 기슭 담수구(淡水區)라는 곳에서 1964년 비운의 영국 식물 채집가 Richard Oldham(1837-1864)에 의하여 표본이 채집되어 1870년 러시아 식물학자 Carl Johann Maximowicz(1827-1891)에 의하여 그의 이름을 기려 현재의 학명 Rhododendron oldhamii Maxim.이 발표된 것이다. 채집가 리처드 올드함은 영국 왕립식물원인 큐에서 고용하여 해외로 보낸 마지막 식물채집가인데 1861년 24세라는 젊은 나이에 동양의 식물 채집을 목적으로 멀리 탐사여정을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건강상 문제로 또는 목적지 일본의 정치 상황 급변에 따른 치안 문제로 일본 탐사 일정이 계속 차질을 빚자 큐에서는 특히 초대 원장이던 William Jackson Hooker경이라는 작자가 그를 게으름을 피우거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완전 오해하여 그의 행동도 제한하고 뱃멀미를 하는 그를 배에만 머물게 하고 충분한 자금지원도 하지 않고 징계를 하는 등 구박을 하던 중에 우울증, 류마티스, 천연두 등 여러 병을 앓다가 결국 이질에 걸려 중국 하문(廈門)에서 27세라는 나이에 안타깝게도 생을 마치고 만다.
그는 만주에서 일본으로 가는 길에 우리나라도 거쳐갔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서는 뭘 채집하였는지 모르겠지만 그의 사후에 일본과 대만에서 채집한 무려 14,000점이나 되는 표본이 영국으로 보내져 그가 결코 직무를 태만한 것이 아니고 그의 일에 얼마나 적극적이었는지를 죽은 다음에야 입증하게 된다. 비행기도 없던 시절 천만리 이국 땅 동양에 와서 건강도 잃어버리고 자금도 없고 무엇보다도 그를 고용한 사람의 신임마저 잃어 버린 27세의 젊은 청년이 타국에서 시름시름 앓다가 죽어간 모습을 상상하니 그가 죽은 지 150여 년이 흐른 지금 아무런 상관도 없는 이방인의 눈시울을 적시게 만든다. 아 이런! 영국 야만인들아! 나중에 영국에 가서 왕실정원이라는 큐(Kew)를 관람할 기회가 있다면 그 대단한 식물 컬렉션에 마냥 감탄만 할 수 있을는지는 모르겠다. 물론 큐 식물원에서 그를 의심한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기는 했다. 그 전임자들이 도중에 전직을 하거나 채집한 표본을 개인적인 이익을 위하여 거래한 사실이 있었기 때문이다. 여하튼 뒤늦게 자기들의 잘못을 깨닫고 그가 채집한 식물 중에서 상당수를 그의 이름을 기려 종소명이 oldhamii로 된 학명이 많은데 우리나라에 등록된 것만도 정금나무 지포나무 합다리나무 등과 이명을 포함하면 모두 16건이나 된다. 그리고 영국에서는 그가 동양에 있으면서 영국 큐로 보낸 편지를 자연사박물관에 보존하고 그 내용을 디지털하여 일반인들이 열람을 할 수 있게 하겠다고 한다.
이런 슬픈 사연이 있다는 것을 알고 나니 대만철쭉이 새롭게 느껴진다. 원래 두견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죽어서 두견새로 변한 촉의 망제 두우가 애통하게 울다가 토한 피 때문에 중국 두견화 색상이 붉다는 것이다. 영국의 젊은 청년 올드함이 죽어가면서 발견한 대만철쭉도 붉은 색 꽃이 핀다는 것이 우연의 일치만은 아닌 것 같다는 착각마저도 든다. 여하튼 원산지 대만에서는 나무 전체에 온통 금색 털이 밀생한다고 금모두견(金毛杜鹃)이라고 부르는데 중국에서는 꽃 색상이 붉은 벽돌(磚紅) 색이라고 전홍두견(砖红杜鹃)이라고 한다. 이 수종은 뱃길을 따라 일찍이 일본 규슈의 히라도에 전래되어 거기서 일본 토종들과 교잡으로 히라도철쭉의 탄생에도 한 몫을 한다. 일본에서도 대만과 마찬가지로 이를 킨모우쯔쯔지(キンモウツツジ) 즉 금모철쭉(金毛躑躅)이라고 부른다. 이 수종을 우리나라에서 대만철쭉이라고 하는데 이 금모두견이 대만을 대표하는 철쭉이라고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정작 대만과 중국에서 대만두견이라고 부르는 수종은 따로 있는데 그게 대만 최남단 핑둥(屏东) 원산 만병초의 일종이다. 대만에는 아름다운 철쭉이 많이 자라고 있으며 대만인들의 철쭉 사랑도 남다르다. 실제로 6~70년대 타이베이에서 시화를 선정하기 위한 투표를 한 적이 있었는데 시화에는 두견화가 압도적인 득표로 선정되었다고 한다. 다만 대만 원산의 철쭉들이 아름답기는 하지만 내한성이 약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월동하지 못한다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등록명 : 대만철쭉
과거명 : 올드하미철쭉
학 명 : Rhododendron oldhamii Maxim.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아잘레아, 영산홍아속
원산지 : 대만 고유종
대만명 : 금모두견(金毛杜鹃), 전홍두견(砖红杜鹃)
중국명 : 전홍두견(砖红杜鹃), 금모두견(金毛杜鹃)
일본명 : 금모철쭉(金毛躑躅)
수 고 : 3m
잎크기 : 2~7.8 x 1.5~5cm
잎특징 : 춘엽은 넓고 커 무도철쭉을 닮고 하엽은 짧고 작아 중국 두견을 닮음
꽃특징 : 전홍색, 지름 3~5cm, 개화기가 길다.
수 술 : 10
개화기 : 3~5월
내한성 : 영하 12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영산홍아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61 조래철쭉(烏来躑躅) – 대만 국보급 세계적인 희귀종 (0) | 2021.03.09 |
---|---|
1360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0) | 2021.03.08 |
1358 대만고산철쭉 – 포복성 관목 (0) | 2021.03.07 |
1357 중국 두견(杜鹃)화를 심스아잘레아라고 부르라니 (0) | 2021.03.06 |
1356 영산홍의 정체는 일본 히라도철쭉 오-무라사키(大紫) 품종 (0)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