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영산홍아속

1360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낙은재 2021. 3. 8. 18:41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우리나라에는 미등록종이지만 국내서 너무나도 흔하게 보이고 일반적으로 영산홍으로 불리는 일본 히라도철쭉의 오-무라사키 품종의 부모종 중 하나인 일본 류큐열도 원산의 케라마철쭉에 대하여 잠깐 알아보고 가자. 우리나라 국표식과 중국식물지에는 미등록 상태에 있지만 대만에서는 매우 널리 보급된 종으로 대만에서는 그 색상이 워낙 불꽃과 같이 빨갛기 때문에 화홍두견(火紅杜鵑)이나 대홍두견(大紅杜鵑)이라고 하거나 원산지를 따라 류큐두견(琉球杜鵑)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오키나와현 케라마섬(慶良間島)에서 많이 자생한다고 케라마쯔쯔지(慶良間躑躅)라고 부른다.

 

키가 2~3m 정도 자라는 상록 관목으로서 짙은 홍색 지름 6~10cm의 큰 꽃을 피우는 이 수종의 학명 Rhododendron scabrum G. Don는 1834년 스코틀랜드 식물채집가이자 식물학자인 George Don(1798~1856)이 명명한 것이다. 그는 서아프리카와 남미 그리고 서인도제도를 탐사한 바는 있지만 동양에는 온 적이 없는데 이를 명명한 것은 그 이전에 일본에 체류하고 갔던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가 Rhododendron maximum Thunb.이라고 명명하였지만 비합법명이던 것을 수정 보완하여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젊어서는 런던 원예학회에서 채용하여 해외 파견한 최초의 전문 식물채집가로 활동하였으나 나중에는 식물 관련 저술에 힘쓴 사람이다. 아마 진달래속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형식 불비 등으로 학명이 누락된 수종을 찾아서 살린 것으로 보인다. 툰베리의 종소명 maximum은 아마 꽃이 크다는 뜻으로 붙인 것으로 보이고 조지 돈이 붙인 종소명 scabrum은 거칠다는 뜻인데 잎이나 꽃받침 또는 열매 등에 난 빽빽한 잔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꽃이 크고 꽃 색상도 화려한데도 원산지 오키나와나 인근 대만 외에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그다지 재배하는 모습을 볼 수 없는 것은 이 수종의 내한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국 런던에서도 제대로 겨울을 견디지 못한다고 한다. 그래서 일본에서도 노지 재배는 수월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 점을 아쉬워하던 차에 백철쭉 즉 류큐쯔쯔지와 교잡으로 내한성이 강하고 꽃이 큰 오-무라사키철쭉이 탄생되자 널리 보급된 것으로 보인다. 류큐철쭉 자체도 일본의 해안철쭉과 거미철쭉의 교잡으로 태어난 종인데 거기에 다시 이 케라마철쭉이 교잡되어 그 과정에서 돌연 변이가 발생하였는지 어떻게 부모종들보다도 내한성이 더 강한 영산홍이 태어났다는 것이 흥미롭다.

 

수종명 :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미등록종

학   명 : Rhododendron scabrum G. Don

분   류 : 진달래속 진달래과 상록 관목

그   룹 : 아잘레아, 영산홍아속

원산지 : 일본 류큐열도 케라마섬

일본명 :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대만명 : 화홍두견(火紅杜鵑), 대홍두견(大紅杜鵑), 류큐두견(琉球杜鵑)

수   고 : 2~3m

꽃특징 : 심홍색, 지름 6~10cm

수   술 : 10개

잎크기 : 4~10 x 1.5~3cm

잎특징 : 후혁질, 전면 광택 후면 잔털

개화기 : 3~4월

내한성 : 매우 약함

특  기 : 류큐철쭉과 교잡하여 영산홍으로 불리는 오-무라사키 품종을 탄생시킴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
일본 케라마철쭉(慶良間躑躅) = 대만 화홍두견(火紅杜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