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초 '수잔' 즉 Rhododendron 'Susan'은 적어도 1933년 이전에 영국 콘월에 있는 세계적인 목련 및 진달래 수목원으로 널리 알려진 영국의 유명한 캐헤이스성 수목원을 조성한 John Charles Williams (1861~1939)가 히말라야 원산의 종화만병초 즉 Rhododendron campanulatum과 중국 중남부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운금만병초 즉 Rhododendron fortune을 교잡시켜서 개발한 품종이라고 한다. 종화만병초는 종모양의 꽃이 핀다고 중국명이 종화두견(钟花杜鹃)인데 앞 1386번 게시글에서 다룬 바 있고 운금만병초는 키가 최대 12m까지도 자라는 키가 매우 큰 만병초로서 중국명이 운금두견(云锦杜鹃)이며 중국 중남부 무려 13개 성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꽃은 물론 수형과 잎도 매우 아름다운 수종이다.
육종가 John Charles Williams는 영국 명문 캠브리지대를 졸업하고 잠시 국회의원으로 정치를 하다가 그만 두고 정원 조성과 식물 채집 및 육종에 관심이 많았는데 어네스트 윌슨과 동시대에 활동한 사람으로서 중국 운남성을 7번이나 탐사하여 무려 31,000점의 표본을 채집한 영국의 또 다른 유명한 식물 헌터인 George Forrest(1873~1931)를 직접 후원한 사람이다.
길이 75mm에 지름 90mm의 연한 자색 꽃이 12~16송이씩 모여서 피며 뒷면에 털이 있는 타원형인 잎의 사이즈는 길이 140mm에 너비 65mm로 매우 큰 편이며 10년생이 2m까지 자라는 것이 특징인 이 품종은 영국 왕립원예협회인 RHS로부터 최우수 품종상인 AGM을 받은 바도 있지만 현재는 그다지 널리 보급된 것 같지는 않다.
등록명 : 만병초 '수잔'
학 명 : Rhododendron 'Susan'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부모종 : 종화만병초와 운금만병초
육종가 : 영국 John Charles Williams
내한성 : 영하 21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교잡 무인편만병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21 만병초 '테디 베어’ – 미국서 개발된 품종 (0) | 2021.11.14 |
---|---|
1620 만병초 '타우루스' – 미국서 개발된 품종 (0) | 2021.11.13 |
1617 만병초 '솔리데리티' – 미국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0) | 2021.11.11 |
1615 만병초 '쉬림프 걸' – 영국서 개발된 품종 (0) | 2021.11.10 |
1612 만병초 '신틸레이션' – 미국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0)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