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과거에는 석남과(石南科)나 철쭉과(躑躅科)라고 부르다가 현재는 진달래과라고 부르는 Ericaceae는 사실 그 이름 자체에는 철쭉이나 진달래가 속하는 Rhododendron속과는 거리가 먼 유럽에서 자생하는 키가 주로 20~150cm로 자라며 길이 2~15mm인 바늘 모양의 상록잎에다가 옆이나 아래로 향하는 꽃이 가지 끝이나 엽액에 모여서 산형화서나 수상화서를 이루면서 피는 관목인 에리카속 즉 Erica에서 온 이름이다. 즉 진달래과의 모식종은 진달래속이 아니라 에리카속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우리 동양에는 에리카가 자생하지 않아서 본 적이 없으므로 이 과를 중국에서는 두견화과(杜鹃花科)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쯔쯔지과 즉 철쭉과(躑躅科)라고 불러 진달래과라고 부르는 우리와 같다. 에리카속은 유럽에서 십여 종 자생하여 그렇게 출발하였지만 나중에 수백 종이 아프리카에서 발견되어 지금 현재는 800종 이상으로 몸집이 불어난 거대한 속이 되었다. Erica속을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에리카속이라고 하지만 중국에서는 구석남속(欧石南属)이라고 유럽석남속이라는 뜻으로 부른다.
에리카라는 속명은 당연히 1753년 린네가 진달래목 진달래과 진달래속을 신설하면서 붙였는데 라틴어로 heath라는 뜻을 가진 말이라고 한다. Heath는 영어로 거친 잡초나 헤더(heather) 또는 극 소수의 나무나 관목으로 덮힌 넓은 초원을 뜻하거나 그런 환경에서 자라는 히스(heath)라고 불리는 관목들 또는 그 히스를 닮은 관목들을 말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유럽에는 넓은 황무지에 주로 자라는 키가 작은 잡목 중 일부를 히스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식물 중 하나가 겨울 또는 봄 헤더로 불리는 바로 이 에리카속이며 또 다른 하나는 여름 또는 가을 헤더로 불리는 칼루나(Calluna)속이다. 실제로 칼루나속은 당초에는 에리카속으로 분류되었다가 1802년에 분리되어 이제는 독립된 속으로 분류된다.
에리카속은 전세계 800여 종이 분포하지만 우리나라에는 교잡종 2종 포함 14종이 등록되어 있다. 유럽에서는 나름대로 에리카들도 그 꽃이 아름답고 여러 종류를 잘 골라서 심으면 사시사철 거의 일년 내내 개화하므로 정원수용으로도 가치가 있다며 원예품종까지 많이 개발되어 있지만 그 아름다움에 있어서는 글쎄 동양의 대표적인 진달래과 진달래속 수종들에 비하면 이건 그야말로 잡목에 불과해 보인다는 것은 나만의 지나친 생각일까 싶다. 하지만 에리카 수종들이 넥타가 풍부하여 유럽에서는 중요한 밀원식물로서는 그 역할이 적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키가 큰 나무보다는 잔디에다가 아주 키가 작은 관목 위주로만 정원을 꾸미는 서양 정원에서는 나름대로 지피식물로서 쓰임새는 다소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그다지 흥미가 높은 수종들은 아니지만 그래도 국내 등록된 14종은 간단하게나마 탐구는 하려고 한다. 우선 에리카속의 모식종인 에리카 키네레아부터 시작한다.
서유럽과 중유럽이 원산지인 에리카 키네레아 즉 Erica cinerea L의 종소명 키네레아는 라틴어로 회색이라는 뜻인데 글쎄 꽃 색상은 자색이나 핑크색이고 털이 없는 잎 색상은 주로 황록색인데 뭐가 회색이라는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간혹 잎 색상이 회녹색인 경우가 있고 줄기나 꽃자루에 회색 털이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보이지만 회색이 결코 이 수종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그 당시 린네가 수많은 식물들을 무더기로 명명하면서 일일이 정확하게 관찰할 여유가 없었으므로 이런 정도의 이해하기 어려운 이름은 얼마든지 많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도 일부에서는 학명을 따라서 Grey Heath라고 하지만 대부분 종과 같이 생긴 꽃모양에서 온 Bell Heather라고 부르며 또한 영국 스코틀랜드 황무지에서 많이 자생한다고 Scotch Heath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대부분의 에리카 수종들이 잎에 털이 많은데 털이 없다는 점과 대개 겨울에서 봄에 꽃이 피는데 반하여 여름에서 가을에 꽃이 핀다는 점에서 과연 이 수종이 에리카속의 모식종이기는 하다지만 과연 속의 대표성이 있느냐는 것에는 의문이 든다. 하지만 에리카 키네레아는 꽃색상이 아름답고 꽃이 매우 풍성하게 피어 키가 작은 에리카 수종들 중에서는 가장 아름답다는 평을 받는다. 그래서 개발된 원예품종만도 140종이 넘는다고 하니 그 인기를 가늠할 수 있겠으나 국내에 등록된 원예품종은 없다.
등록명 : 에리카 키네레아
학 명 : Erica cinerea L.
분 류 : 진달래과 에리카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서유럽, 중부유럽
영어명 : Bell Heather, Scotch Heath, Grey Heath
중국명 : 종지구석남(枞枝欧石南)
수 고 : 15~60cm
잎크기 : 4~8mm
개화기 : 7~9월
내한성 : 영하 23도
'진달래과 > 에리카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57 에리카 킬리아리스 – 영국에서 아프리카까지 자생하는 관목 (0) | 2021.12.14 |
---|---|
1656 에리카 카르네아와 원예품종들 – 눈 속에서 꽃이 피는 유럽 자생종 (0) | 2021.12.14 |
1654 부루켄탈리아 스피쿨리폴리아 - 에리카속으로 분류되는 왜성 관목 (1) | 2021.12.11 |
1653 로이셀레우리아 프로쿰벤스 – 칼미아속으로 편입된 포복성 한대 수종 (0) | 2021.12.11 |
1652 백산차 – 백두산에서 나는 고대 제천의식에 사용한 유독성 차 (0) | 2021.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