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이키아 칸타브리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진달래과 상록관목이 있는데 이 또한 에리카속과 칼루나속은 아니지만 원산지에서는 히스(heath)의 일종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꽃이 보다 더 크고 잎이 돌려나기 하지 않고 어긋나기를 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린네도 처음에는 에리카속으로 분류하여 1762년 Erica daboecii L.라는 학명을 부여하였다가 아무래도 에리카속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던지 1767년 속을 달리하여 Andromeda daboecia (L.) L.라고 재명명한다. 린네가 명명한 종소명 daboecia는 아일랜드 출신 수호성인인 Saint Dabheog의 이름에서 온 것이라는데 린네가 실수하여 daboecia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은 이를 바로 잡아 St. Dabeoc's heath 또는 St. Dabheog's heath라고 제대로 부른다. 여하튼 5세기에 활동한 그는 아일랜드 북북 Lough Derg라는 지역에 수도원을 창설하였으며 그의 축일은 12월 16일이라고 한다. 이런 사정으로 보아 린네가 이 수종의 표본을 아일랜드에서 채집한 것으로 추정이 된다.
그런데 같은 해인 1762년에 영국 식물학자이자 약제상인 윌리엄 허드슨경(1730~1793)이 아마 스페인 칸타브리아지역에서 발견하였던지 이를 산앵도나무속으로 분류하여 Vaccinium cantabricum Huds.라는 학명을 부여한다. 그러다가 독일식물학자인 Karl Heinrich Emil Koch (1809~1879)가 1872년 속을 변경하여 우리나라에 등록된 학명인 Daboecia cantabrica (Huds.) K. Koch로 재명명하게 되는데 현재 국제적으로 모두 이 학명을 따른다. 린네가 명명한 학명과 같은 연도이지만 날자에서 앞선 것이 밝혀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우리나라 국표식에는 현재 이 Daboecia cantabrica 수종을 다보이키아 칸타브리카라고 등록하고 있으면서도 산앵도나무속에 학명 Vaccinium cantabricum Huds.에 칸타브리쿰산앵도라고 중복 등록하고 있다. 따라서 산앵도나무속으로 등록된 후자는 삭제함이 마땅해 보인다.
서부 유럽 아일랜드부터 스페인까지 대서양 연안에서 자생하는 이 다보이키아 칸타브리카는 처음에는 아니었지만 지금 현재는 포르투칼에서 자생하는 보다 진한 적색 꽃이 피는 Daboecia azorica라는 종을 통합하여 이 다보이키아속의 유일한 종으로 분류하는 학자들도 많다. 알칼리성 토양만 아니면 잘 자라고 내한성이 강하고 아름다운 초롱 같은 꽃이 피는 나지막한 이 관목은 나름대로 인기가 높아 몇몇 원예품종은 영국 RHS로부터 최우수품종상인 AGM을 수상한 바도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Bicolor'라는 품종 하나만 등록되어 있다. 그런데 국내서 엉뚱하게 이 다보이키아 칸타브리카와 그 원예 품종인 바이 컬러가 아소 가솔송과 이색이나 삼색 가솔송 등의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가솔송과 다보이키아 칸타브리카는 꽃모양은 비슷하지만 꽃차례에서 큰 차이를 보여 쉽게 구분이 된다.
등록명 : 다보이키아 칸타브리카
학 명 : Daboecia cantabrica (Huds.) K. Koch
분 류 : 진달래과 칼루나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서유럽, 대서양연안, 포르투갈
영어명 : St. Dabeoc's heath
중국명 : 대보석남(大宝石南)
수 고 : 60cm
잎특징 : 호생, 5~15mm, 뒷면 백색모
꽃차례 : 7.5~12.5cm 길이의 총상화서
꽃특징 : 적자색, 백색, 난형,9~12.5mm, 4개의 털이 있는 꽃받침
꽃자루 : 6mm
개화기 : 6~11월
내한성 : 영하 23도
용 도 : 관상용
===================
'진달래과 > 에리카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72 가솔송 – 백두산에서 자생하는 아름다운 소관목 (0) | 2021.12.28 |
---|---|
1671 시로미 – 함경도와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블랙베리 (2) | 2021.12.26 |
1669 칼루나 불가리스 – 에리카속을 대표하다가 분리 독립된 여름 헤더 (0) | 2021.12.22 |
1668 에리카 에리게나 – 봄에 개화하는 아일랜드 히스 (0) | 2021.12.21 |
1667 에리카 다를레이엔시스 – 카르네아와 에리게나의 교잡종 (0) | 202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