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울테리아 위슬리엔시스는 영국 Royal Horticultural Society의 Wisley가든에서 1929년에 처음 발견된 자연 교잡종이다. Wisley가든의 어느 언덕 위에 앞에서 다룬 가울테리아 스할론과 가울테리아 무크로나타가 자라고 있었는데 거기서 태어난 데다가 그 특징이 이 둘을 닮았기에 이들의 교잡종이라고 거의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잎의 망맥이 선명한 점과 꽃받침이 팽창하여 열매의 기부를 감싸고 있다는 점에서 Gaultheria shallon를 닮았고 꽃차례와 액과인 열매의 모습은 Pernettya mucronata를 닮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국 식물학자이자 원예가인 William James Marchant (1886-1952)가 이 교잡종에 대하여 × Gaulnettya wisleyensis Marchant라는 학명을 1937년 발표한다. 그 때만 하여도 두 부모종이 각각 다른 속으로 분류되고 있었기에 그렇게 속간 교잡종의 형식으로 학명이 부여되었으나 1990년에 와서는 이들 두 속이 통합이 된다. 그래서 속간 교잡종에서 종간 교잡종으로 신분이 변경되어 그에 따른 새로운 학명을 싱가폴 보타닉 가든에서 일하던 아일랜드 식물학자인 David John Middleton(1963~ )이 1995년에 Gaultheria x wisleyensis Marchant ex D. J. Middleton이라고 발표한다. 이 학명이 현재 우리나라에도 등록되어 있는 것이다.
등록명 : 가울테리아 위슬리엔시스
학 명 : Gaultheria x wisleyensis Marchant ex D. J. Middleton
이 명 : Gaultheria x wisleyensis ‘Wisley Pearl’
이 명 : Gaulnettya wisleyensis , Gaulnettya ‘Wisley Pearl’, Gaulthettya wisleyensis
분 류 : 진달래과 가울테리아속 상록 관목 교잡종
부모종 : Gaultheria shallon x Gaultheria mucronata
원산지 : RHS Garden Wisley
영어명 : Wisley pearl gaultheria
수 고 : 50~90cm
잎특징 : 길이 3.8cm, 타원형, 끝 뾰족 기부 원둔, 혁질, 근무모, 양면 망맥
꽃특징 : 진주 백색, 선모, 6~15송이 정단 엽액생 총상화서 3.8~6.3cm 길이
열 매 : 액과, 암자적색, 6mm 지름, 육질 꽃받침이 기부를 감쌈
개화기 : 4~6월
내한성 : 영하 29도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11 레우코토이 폰타네시아나 – 미국 남동부 고산 습지 관목 (0) | 2022.02.15 |
---|---|
1710 레우코토이 악실라리스 – 유통명 바위남천의 모식종 (0) | 2022.02.14 |
1708 가울테리아 무크로나타 – 위과(偽果)가 아닌 남미 원산 관상수 (0) | 2022.02.13 |
1707 가울테리아 스할론 – 북미 서부 원산 가울테리아 (0) | 2022.02.12 |
1706 가울테리아 미쿠엘리아나 – 일본 원산 백옥목(白玉木)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