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끼노루발의 학명 Orthilia secunda (L.) House는 원래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 노루발속으로 분류하여 Pyrola secunda L.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1921년 미국 식물학자인 Homer Doliver House (1878~1949)가 새끼노루발속으로 편입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 인근지역에서 발견되며 일본에서는 혼슈 중부이북 지역과 홋카이도에서 그리고 중국에서는 동북3성과 내몽고 그리고 신강에서 자생하는 이 상록 다년생 초본은 한중일 외에도 북반구 아한대 거의 전지역에 분포하며 유럽에서도 거의 모든 국가에서 자생한다. 그러니 린네가 익히 파악하고 있었기에 최초 명명된 리스트에 당연히 포함된 것이다. 린네가 처음 노루발속으로 분류할 당시의 학명 Pyrola secunda의 속명은 잎인지 꽃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여하튼 배나무 즉 Pyrus를 닮았다는 뜻이고 종소명 secunda는 one-sided 즉 꽃이 줄기 한쪽에서만 피기 때문에 붙인 것이다. 그런데 나중에 변경된 속 Orthilia속은 1840년에 프랑스 만물박사(?)인 콘스탄틴 라피네스크 즉 Constantine Rafinesque (1783~1840)가 명명한 것인데 라틴어로 straight 즉 쭉 일렬이라는 뜻으로 이 또한 꽃이 한쪽에만 일렬로 피기 때문에 붙은 속명이다. 그렇게 되어 속명과 종소명이 같은 의미로 중복되었는데 이렇게 된 것은 당초 노루발속으로 분류되었던 것을 새끼노루발속으로 변경하면서 과거 종소명을 그대로 쓸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 이름에서 이미 원 사이드에 피는 꽃이라는 뜻이 중복되어 있기에 중국에서도 이를 단측화(单侧花)라고 알기 쉽게 이름을 붙였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다소 엉뚱하게 작다는 의미로 코이치야쿠소우(コイチヤクソウ)라고 즉 소일약초(小一薬草)라고 부른다. 그러자 우리도 정태현선생 등의 1937년 조선식물향명집에서 그저 생각없이 그대로 번역하여 소(小)를 새끼로 바꿔서 새끼노루발이라고 했다. 그런데 뭐가 작다는 것인지 쉽게 와 닿지가 않는다. 키도 최대 25cm이므로 이보다 작은 노루발도 있다. 그리고 꽃이나 잎도 노루발이나 분홍노루발 그리고 호노루발보다는 작지만 주걱노루발에 비하면 결코 작지 않다. 그래서 일본의 소일약초(小一薬草) 즉 작은노루발이라는 뜻의 이름은 학명 Pyrola minor인 주걱노루발에 더 잘 어울리는 이름이 아닌가 한다. 이 종은 나중에 노루발에서 분리되어 새끼노루발속 즉 Orthilia속으로 분리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서 노루발들과는 차이점이 많은데 고작 작다는 것이 대표적인 구분점이 될 수는 없다.


우선 주걱노루발을 제외한 노루발들은 잎이 지하 줄기에서 올라오는 기생(基生)인데 반하여 새끼노루발은 줄기 하부 지상에서 1~2회 윤생 또는 근윤생으로 나오기 때문에 그 잎모습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꽃차례가 원사이드에 몰려있다는 것은 이미 서양인들이 간파하고 학명에 중복으로 강조하고 있어 부연 설명할 필요가 없다. 그 외에도 꽃줄기와 화서축 및 꽃자루에 사마귀 같은 작은 돌기(疣)가 있으며 꽃잎 하부에도 작은 돌기가 있다는 점도 차이점이다. 게다가 암술대가 거의 휘어지지 않고 직립한다는 것도 뚜렷한 차이점이며 육안으로 잘 보이지는 않지만 수술의 꽃밥에 작은 돌기는 있지만 뾰족한 뿔 같은 돌기가 없다는 점에서도 노루발들과 구분이 된다. 그러나 새끼노루발도 노루발과 마찬가지로 독자적으로 영양조달을 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균근균에 의존하는 부분적 균종속영양식물이다. 새끼노루발속은 전세계 모두 3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이 종만 등록되어 있다. 식물분류학적으로는 노루발속과 매화노루발속 그리고 홀꽃노루발속과 더불어 진달래과 노루발아과를 구성한다.

등록명 : 새끼노루발
학 명 : Orthilia secunda (L.) House
과거명 : Pyrola secunda L.
분 류 : 진달래과 새끼노루발속 상록 다년생 초본
원산지 : 북한 중일러 및 북반구 한대 전지역
중국명 : 단측화(单侧花)
일본명 : コイチヤクソウ(小一薬草)
영어명 : one-sided-wintergreen
높 이 : 10~25cm
줄 기 : 근경 세장, 분지, 부정근 및 지상경
잎차례 : 3~5매 윤생 근윤생 지상경 하부, 1~2윤
잎특징 : 박혁질, 장원상란형, 2.2~3.7 x 1.4~2.6cm, 선단급첨 기부근원형 원치
잎색상 : 전면 녹색 배면 담록색
잎자루 : 1~1.5cm
꽃자루 : 상부 드문 작은 돌기, 하부 매끈, 1~3매 소형인엽, 난상피침형 2~8mm
꽃차례 : 총상화서 2.5~4.5cm, 8~15송이, 밀생, 편향 1측
화서축 : 세소우(疣, 돌기)
꽃방향 : 수평경사, 혹 하부화 반처짐
화 관 : 난원형 근종형, 교소, 지름 4.5~5mm, 담록백색
꽃자루 : 3~3.2mm, 밀세소우, 액간 막질포편
포 편 : 활피침형 난상피침형, 5~5.5 x 1.2~1.5mm, 선단단점첨
꽃받침 : 악편 난원형, 활3각형, 1~1.2mm, 기부 관 0.9~1mm, 선단원둔, 변연소치
꽃 잎 : 장원형, 4~4.5 x 2~2.5mm, 기부 2소돌기, 변연 소치, 황색
수 술 : 10개, 화사세장, 화약 1.5~1.8 x 0.6~0.9mm, 정공렬, 무소각, 세소우, 황색
암 술 : 직립, 5~5.5mm, 신출화관, 선단 무환상돌기, 주두비대, 5천렬
열 매 : 삭과, 근편구형. 지름 4.5~6mm
개화기 : 7월
결실기 : 7~8월
내한성 : 한대식물








'진달래과 > 진달래과 기타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58 홀꽃노루발 – 하나의 큰 꽃이 피는 홀꽃노루발속 유일종 (0) | 2022.03.22 |
---|---|
1757 매화노루발 – 부분적 균종속영양식물 (0) | 2022.03.21 |
1755 콩팥노루발 – 하트형 잎을 가진 자생종 (0) | 2022.03.19 |
1754 주걱노루발 – 잎이 주걱을 닮은 왜성종 (0) | 2022.03.18 |
1753 호노루발 (0) | 202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