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첩홍도 또한 학명 Prunus persica f. rubroplena C.K.Schneid.로 복사나무의 하위 분류군인 품종(f.)으로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원종인 복사나무의 학명 Prunus persica에 통합시키고 있으므로 홍색 겹꽃이 피는 원예품종 그룹으로 인식하면 되겠다. 학명은 앞에서 본 백도나 만첩백도와 마찬가지로 독일 식물학자 Camillo Karl Schneider (1876~1951)가 1906년에 명명한 것인데 품종명 rubroplena는 붉은 겹꽃이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이 품종에 대하여 홍화벽도(红花碧桃)라는 중국명을 붙였는데 홍색 겹꽃이 피는 품종에 대한 학명이 여러 개가 발표되었기에 그 학명 마다 나름대로 중국명을 붙이고 있지만 실제로 그들간의 차이점은 크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 품종 하나만 등록되어 있기에 우리는 홍색 겹꽃이 피는 관상용 복사나무 모두를 통칭하는 이름이 만첩홍도라고 인식하면 될 듯하다. 중국에서의 홍색 겹꽃이 피는 품종들의 중국명과 학명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서는 특별한 이름이 있지는 않고 하나모모(ハナモモ) 즉 꽃복사나무(花桃)의 개개 품종명으로 불려지고 있다. 그 중에서 야구치모모(矢口桃)나 조수홍(照手紅) 등이 널리 보급되는 것 같다. 겹꽃이 피는 꽃복사나무 품종들은 열매가 거의 없거나 있더라도 크지 않아서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1. 벽도(碧桃) f. duplex Rehd. 겹꽃, 담홍색
2. 비도(绯桃) f. magnifica Schneid. 겹꽃, 선홍색
3. 홍화벽도(红花碧桃) f. rubroplena Schneid. 반겹꽃, 홍색
4. 강도(绛桃) f. camelliaeflora (Van Houtte) Dipp. 반겹꽃, 심홍색
5. 천판홍도(千瓣红桃) f. dianthiflora (Van Houtte) Dipp. 반겹꽃, 담홍색
등록명 : 만첩홍도(萬疊紅桃)
학 명 : Prunus persica f. rubroplena C.K.Schneid.
통합명 : Prunus persica (L.) Batsch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 소교목
중국명 : 홍화벽도(红花碧桃), 천판홍도(千瓣红桃), 벽도(碧桃), 비도(绯桃), 강도(绛桃)
특 징 : 홍색 겹꽃이 피는 꽃복사나무의 품종
'장미과 벗나무속 > 자두아속복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75 수성도(壽星桃) 남경도(南京桃) 복사나무 '보난자' 등 왜성품종 (0) | 2022.05.22 |
---|---|
1774 처진백도, 복사나무 '펜둘라' 등 아름다운 처진복사나무 (0) | 2022.05.20 |
1772 만첩백도 – 백색 겹꽃이 피는 꽃복사나무 품종 (0) | 2022.05.15 |
1771 백도 – 백색 홑겹 꽃이 피는 꽃복사나무 품종 (0) | 2022.05.13 |
1770 복사나무 - 복숭아가 열리고 도화(桃花)가 피는 도(桃) (0) | 202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