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배나무속

1957 서양배나무 - 후숙한 다음에 먹어야 하는 도란형 배

낙은재 2024. 4. 7. 08:18

서양배나무

 

 

 

사과는 전세계인이 거의 대부분 하나의 종인 Malus domestica에서 개량된 7,500여 재배품종들 중에서 생산된 것을 먹는다. 서양인들은 주로 지름 7~8cm의 사과를 우리나라나 일본에서는 보다 큰 사이즈를 선호하여 재배품종은 다른 듯하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종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사과나무를 Malus pumila로 표기했지만 현재는 과거 서양사과나무라고 부르던 Malus domestica에 통합되어 버렸다. 그래서 전세계 과수원에서 재배하는 사과는 모두 하나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배는 전혀 다르다. 글쎄 하나의 과일이 세계 이렇게 다른 경우도 드물 것이다. 우선 우리는 주로 일본에서 Pyrus pyrifolia 즉 돌배나무를 개량한 10~20개 재배품종 중에서 생산된 수분함량이 많고 아삭아삭한 배를 먹는다. 그런데 중국만 해도 남방에서는 우리와 마찬가지의 배를 사리(沙梨)라고 부르며 먹지만 북방에서는 학명 Pyrus bretschneideri인 또 다른 중국 원산인 껍질이 하얀 백리(白梨)를 주로 식용한다. 중국의 백리는 우선 그 모양이 둥근 것도 있지만 일부는 기부가 좁고 끝이 넓고 굵은 마치 서양배와 마찬가지로 도란형(倒卵形)으로 생겼다. 그리고 껍질의 색상만 백색으로 우리 배와 다른 것이 아니라 껍질이 얇고 과육도 부드럽다. 그러면서도 수분함량이 높고 다양한 비타민과 칼슘 철 인 기타 무기염 등 다양한 미네랄 영양소가 풍부하여 중국에서 인기가 사리(沙梨)를 능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중국에서는 최북단 동북3성에서는 산돌배 즉 추자리(秋子梨)를 개량한 품종을 재배하고 최남단 사천성 운남성 등에서는 히말라야배나무 즉 천리(川梨)의 개량품종도 재배하여 중국인들이 식용하는 주요 배 수종은 4종이나 된다.

 

우리의 배인데 서양인들은 이상한 모양이라고 한다.
중국 백리
서양배 - 서양인들에게 배란 이런 모습이다.

 

 

 

한편 서양인들이 먹는 배는 모두 학명 Pyrus communis에서 개발된 품종들인데 이 배들은 우선 그 모양이 중국 백리(白梨)를 닮은 도란형이라서 우리의 배와는 다르다. 게다가 수확하여 곧바로는 절대 생식하지 못할 정도로 식감이 나쁘다. 그래서 최소한 1주일 이상 후숙시킨 다음에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슨 배가 이렇단 말인가?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이런 과일이 있지 않던가? 그게 바로 감이다. 떫어서 못 먹는 감을 연시(軟柹)나 곶감으로 만들어 맛있게 먹는 게 바로 후숙(後熟)의 일종인 것이다. 이런 과정을 영어로는 bletting이라고 하는데 서양에는 이런 과일이 더러 있다. 서양모과(medlar)가 그렇고 마르멜로나 마가목 열매(rowan) 그리고 우리에게는 생소한 service tree라는 것도 있다. 그리고 우리도 잘 아는 바나나와 망고 키위도 그렇고 심지어는 토마토도 후숙한 다음 먹는 것이 좋다고 한다. 여하튼 서양배는 후숙한 다음 먹으면 과육이 매우 부드러워 석세포가 전혀 느껴지지 않고 맛이 매우 좋다고 한다. 그래서 원산지인 유럽은 물론 북아메리카와 호주 그리고 중앙아시아와 인도 등 세계 곳곳에서 서양배를 많이 재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양배의 학명 Pyrus communis L.는 린네가 1753년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에 명명한것이다. 종소명 communis는 집단으로 재배한다는 뜻이므로 결국 common 즉 일반적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영어로는 common pear이라고 한다. 우리 인간들이 주로 식용하는 과일 나무가 대개 그렇듯이 이 서양배도 원래는 이러한 형태가 아니었을 터인데 워낙 오래 전부터 열매가 특별히 크게 열리는 품종이 선종되고 때로는 다른 종과의 교잡으로 새로운 품종이 태어나고 하는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여 오늘에 이른 것이다. 그래서 서양배도 그 원종의 모습이 어떠하였는지조차도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 학계의 이야기이다. 다만 유럽 야생배나무로 불리는 Pyrus pyraster와 현재 서양배나무의 하위 아종으로 분류되는 터키 등 코카서스지방 원산의 Pyrus communis subsp. Caucasica가 조상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그 외에도 눈배나무 즉 Pyrus nivalis와도 어떤 혈연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수많은 품종이 개발되어 재배되고 있는 사과와는 달리 배나무는 동양배이든 서양배이든 재배품종의 수가 그리 많지 않다. 서양배는 20~25개 품종에 불과하고 그나마도 일부 주요 품종들의 점유률이 매우 높다고 한다. 예를 들면 2004년 기준 'Bartlett' (Williams)이라는 품종이 미국 배 수확량의 50%를 차지했다고 한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농가에서 서양배를 재배하는 것으로 보인다.

 

서양배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Pyrus pyraster
서양배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Caucasian pear
서양배 인기품종  Bartlett (Williams Pear)

 

 

  

 

등록명 : 서양배나무

학    명 : Pyrus communis L.

분    류 : 장미과 배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유럽 서아시아

영어명 : common pear

중국명 : 서양리(西洋梨)

일본명 : セイヨウナシ 西洋梨

수    고 : 9~18m

수    관 : 광원추형

줄    기 : 소지 가시 무모 눈시 단유모 이년지 회갈색 심갈홍색

동    아 : 난형 선단둔 무모 근무모

엽    편 : 난형 근원형 타원형

잎크기 : 2~7 x 1.5~2.5cm

잎모양 : 선단금첨 단점첨 기부 관설형 근원형 변연 원둔거치 희전연

잎면모 : 유눈시 주사상유모 곧 탈락 하면맥 유모

잎자루 : 세 길이 1.5~5cm 유시 유모 이후탈락

탁    엽 : 박질 선상피침형 길이 1cm 유모 조락

화    서 : 산형총상화서  6~9송이

총화경 : 유모 무모

화    경 : 유모 무모 2~3.5cm

포    편 : 막질 선상피침형 1~1.5cm 갈색유모 조기 탈락

꽃크기 : 지름 2.5~3cm

꽃받침 : 외부 유모 내면 무모 근무모 악편 삼각피침형 선단점첨 내외단유모

꽃부리 : 도란형 1.3~1.5 x 1~1.3cm 선단원둔 기부단조 백색

수    술 : 20 꽃잎의 절반 길이

화    주 : 5 기부 유모

열    매 : 도란형 근구형 3~5 x 1.5~2cm 녹색 황색 희대홍훈 반점 악편숙존

개화기 : 4월

결실기 : 7~9월

내한성 : 영하 34도

 

서양배나무
서양배나무 수형 - 직립으로 자라는 편이다. 104년 된 고목이 쓰러진 모습
잎의 거치가 예리하지 않고 둔하다.
서양배나무 동아와 수피
다양한 모양의 서양배
꽃받침과 어린 잎에는 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