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33 나한송(罗汉松)

낙은재 2016. 2. 8. 22:48

나한송

중국 소주 졸정원에서


우리집 나무 제대로 알기 그 서른세번 째 나한송에 대하여 알아본다. 중국원산으로 상록침엽 소교목이다. 내한성이 약하여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가능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어렵다. 나한송속에는 전세계적으로 100여 개의 수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나한송 외에 8개의 변종과 원예종이 등록되어 있다.


등록명 : 나한송(羅漢松)

학   명 : Podocarpus macrophyllus (Thunb.) D.Don

분   류 : 나한송과 나한송속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나한송 (罗汉松)

일본명 : 이누마키 (イヌマキ : 犬槇)

영어명 : Buddhist pine

내한성 : 영하 16도


나한송에도 몇 종류의 품종이 있는데 우리가 아는 나한송과 일본의 이누마키가 대표적이다. 일본에서는 나한송을 라칸마키(ラカンマキ)라고 별도로 부르면서 일본 이누마키의 변종으로 잎이 좁고 짧으며 나무의 크기는 왜소한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로 이누마키는 최대 20m까지도 자라는 교목이지만 나한송은 기껏해야 4~5 m 정도 자라며 대개 2m 정도에 그친다. 중국에서는 이 왜소한 나한송을 단엽나한송 (短叶罗汉松) 또는 소나한송(小罗汉松)이라고 한다. 이 단엽나한송의 학명은 Podocarpus macrophylla (Thunb.) D. Don var. maki (Sieb.) Endl.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나한송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중부지방에서는 화분에서 키울 수 밖에 없는 나한송은 건조를 싫어하므로 물주기를 게을리하지 않아야 하며 영양이 부족하면 잎의 색상이 나빠지므로 2월에 시비를 하는 것이 좋다. 성장이 빠르지 않으므로 실내 화분에서 키워도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자웅이주이므로 열매를 보려면 두 그루 이상이 필요하고 열매는 적색으로 익는 부분과 녹색인 부분이 있는데 위의 녹색인 부분은 독성이 있으므로 먹으면 안되고 밑의 적색인 부분은 식용이 가능하다. 밑부분을 먹는다고 Podos(foot) 와 capos(fruit)의 합성어를 속명으로 쓴다. 


중국명 나한은 불교의 나한 즉 아라한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이를 개(이누)마키 또는 풀마키(草槇)라고 하는데 그럼 참마키는 뭘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에는 참마키라는 말은 없고 본(혼 : 本)마키가 있는데 그건 바로 금송(高野)을 말한다. 물론 금송은 낙우송과 금송속으로서 나한송과는 거리가 좀 멀다. 일본에서 나한송은 견진(犬槇)으로 금송은 본진(槇)으로 금송을 더 대접할 뿐만아니라 실제로 국내서도 금송은 1m 크기면 삼사십 만원을 넘고 2m 높이 정도면 백만원을 줘도 구하기 어렵다. 그리고 금송을 무엇보다도 노지월동이 어디서든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나 개인적으로는 나한송의 매력에 더 끌린다. 


나한송

일본의 이누마키


나한송

일본의 이누마키


나한송

광릉 국립수목원에서


나한송

중국 숙천 항우고리에서


나한송

중국 숙천 항우고리


나한송

중국 소주 졸정원에서


나한송

일본 진다이식물원에서 이누마키


나한송

일본 진다이식물원에서 이누마키


우리집 나한송

 단엽나한송 = 라칸마키 품종으로 보인다.


나한송

우리집 단엽나한송 = 라칸마키


나한송

단엽나한송


나한송 열매


나한송

녹색은 종자이고 적색이 식용가능한 과일이다.



나한송

녹색은 종자이고 적색이 식용가능한 과일이다.


나한송 꽃


나한송의 멋진 모습


나한송


나한송


황금나한송


토타라 나한송


황금 토타라 나한송


살리그나 나한송


니발리스 나한송


안디누스 나한송


죽백나무(竹柏)

Podocarpus nagi (Thunb.) Zoll. & Morr. ex Zoll.

나한송과 나한송속

이름이 생소하기는 하지만 이 또한 나한송의 일종이다. 


죽백나무(竹柏)

Podocarpus nagi (Thunb.) Zoll. & Morr. ex Zoll.

나한송과 나한송속


죽백나무(竹柏)

Podocarpus nagi (Thunb.) Zoll. & Morr. ex Zoll.

나한송과 나한송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