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게시글이 작성된 2016.2.10에는 국내 미등록종이었으나 그 후 2018.7.23에 국가표준식물목록에 해피트리와 녹보수 그리고 채두수를 등록하면서 다소 엉뚱하게 중국 화황산풍(华幌伞枫)을 해피트리로 중국 황산풍(幌伞枫)을 녹보수로 그리고 중국 채두수(菜豆树)는 그대로 채두수라고 국명을 붙였으므로 이 게시글의 국명과는 일치하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국가표준식물목록의 국명이 납득이 가지 않는데다가 국내 유통 시장의 상황도 약간의 변화가 있었으므로 다시 이와 관련된 새로운 글을 983번 게시글로 올렸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6.16 바로가기 blog.daum.net/tnknam/1427
집안에 두고 기르면 복이나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나무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지난 번에 금전수(자미오쿨카스)에 대하여는 알아 봤고 나머지 부귀수, 행복수, 녹보수, 평안수, 발재수, 취재수 등이 있는데 오늘은 그 중 겉모습이 비슷한 국내서는 해피트리라고 알려진 부귀수와 녹보수에 대하여 알아 본다.
이들 모두 중국 원산으로서 원래는 노지에서 자라는 교목 즉 큰 나무들인데 이들을 화분에 담아서 집안에서 기르면 복을 가져다 준다는 상업성 홍보 덕분에 국내서 널리 보급된 관엽식물들이다. 원산지 중국에서도 동일한 취지로 부귀나 행복 또는 재물과 관련된 별명을 가진 나무들로서 중국 가정이나 상점에서도 많이 기른다. 그러나 서양은 물론 이웃 일본에서도 행복이나 부귀의 상징으로 크게 알려지지도 않았고 인기도 없는지 존재를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이 나무들은 중국에서 제 이름이 각기 따로 있는데다가 국내 도입되면서 국내유통명을 엇갈리게 붙여서 다소 혼란스럽다. 우선 국내서 해피트리라고 널리 알려진 나무만 해도 Happy tree 뜻 그대로 번역하면 행복수가 정확할 것 같으나 우리나라서는 엉뚱하게 중국의 부귀수를 해피트리라고 하며 정작 중국의 행복수는 국내서는 녹보수로 부르고 있다. 국내서는 해피트리와 녹보수 두 종류이지만 중국에서는 부귀수와 행복수 그리고 녹보수 셋으로 분류되고 있어 더욱 헷갈리게 한다.
우선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해피트리 = 중국 부귀수 (중국 정명 : 황산풍)
우리 녹보수 = 중국 행복수 (중국 정명 : 채두수) 및 중국 녹보수 (중국 정명 : 해남채두수)
부귀수 (富贵树)
유통명 : 해피트리
학 명 : Heteropanax fragrans (Roxb.) Seem
분 류 : 두릅나무과 Heteropanax속 미등록 상록교목
중국명 : 황산풍 (幌伞枫)
별 명 : 부귀수 (富贵树), 오가통
높 이 : 30m
지 름 : 70cm
수피색 : 담회갈색
잎차례 : 3 ~ 5회 우상복엽
잎길이 : 100cm (소엽, 중엽을 포함 잎 전체를 말함)
잎자루 : 30cm
작은잎 : 13 x 6cm
측 맥 : 6 ~ 10쌍
소엽병 : 10mm 이내 또는 없음, 정생 소엽병은 더 길음
거 치 : 밋밋함










==================================
녹보수(绿宝树)
유통명 : 녹보수
학 명 : Radermachera hainanensis Merr
분 류 : 능소화과 Radermachera속 미등록 반상록교목
중국명 : 해남채두수(海南菜豆树)
별 명 : 녹보수(绿宝树)
높 이 : 20m
수 피 : 담회색
잎차례 : 1 ~ 2회 우상복엽
작은잎 : 10 x 4.5cm
측 맥 : 5 ~ 6쌍
지 맥 : 희소, 그물맥
개화기 : 4월
꽃색상 : 담황색












========================
행복수(幸福樹)
유통명 : 녹보수
학 명 : Radermachera sinica Hems
분 류 : 능소화과 Radermachera속 미등록 반상록교목
중국명 : 채두수(菜豆树)
별 명 : 행복수(幸福樹)
높 이 : 15m
수 피 : 담회색, 세로로 깊게 갈라짐
잎차례 : 2회 우상복엽 (가끔 3회 우상복엽)
잎줄기 : 30cm
소엽병 : 5mm 이하, 정생 소엽병은 1 ~ 2cm
작은잎 : 7 x 3.5cm
측 맥 : 5 ~ 6쌍
거 치 : 밋밋함
개화기 : 5 ~ 9월
꽃색상 : 백색 또는 담황색
결실기 : 10 ~12월









위에서 보듯이 나무의 잎만 봐서는 구분이 어렵지만 실제로 황산풍(해피트리)과 채두수(녹보수)는 전혀 다른 나무이다. 하나는 두릅나무과이고 또 다른 하나는 능소화과이다. 실제로 꽃이나 열매를 보면 금방 구분이 간다. 해피트리는 두릅나무 비슷한 느낌이 나며 녹보수는 열매는 능소화과의 개오동을 닮았고 꽃은 능소화와 비슷한 느낌이 난다.
그리고 채두수에 비하여 해남채두수는 나무의 키가 크고 잎이 길이나 너비가 보다 크며 잎차례가 다소 간단하다. 그리고 해남채두수는 꽃의 노란색상이 상대적으로 짙으며 꽃의 크기나 열매의 크기는 작다는 점에서 채두수와 구별이 된다. 그러나 꽃이나 열매가 없다면 그림상으로는 채두수와 해남채두수의 구분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같은 과 같은 속 나무이며 국내서는 같이 녹보수로 불리므로 굳이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
꽃이 없을 때 이들을 구분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그래도 동정 포인트가 필요하신 분들을 위하여 정리하면
1. 작은 잎 잎자루가 6mm 이상으로 길다면 해피트리이다.
2. 잎이 4회 이상 우상복엽이면 해피트리이고 3회 우상복엽이면 해피트리(황산풍)일 가능성이 높다.
3. 1회 우상복엽이면 녹보수(해남채두수)이다.
4. 2회 우상복엽이면 녹보수(채두수 또는 해남채두수)이다.
5. 잎맥이 7회 이상이면 해피트리이다.
6. 당년생 어린 가지에 점액이 있으면 녹보수이다.
7. 그물망 잎맥이 보이면 녹보수(해남채두수)이다.
8. 측생소엽 기부에 소수반균상 선체가 있으면 녹보수(채두수)이다.
9. 탁엽과 엽병 기부가 합생하면 해피트리이다.
'기타 과 식물 > 기타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 파보니아 멀티플로라 (브라질리안 캔들스) (0) | 2016.02.11 |
---|---|
36 평안수, 파키라(발재수), 개운죽(부귀죽) - 복을 주는 나무들 (0) | 2016.02.10 |
34 뿔남천 - 서울서도 노지월동이 된다 (0) | 2016.02.09 |
33 나한송(罗汉松) (0) | 2016.02.08 |
32 아구세 (오카메자사, 阿亀笹, Shibataea Kumasasa) (0) | 2016.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