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54 루스쿠스(Ruscus) - 크리스마스베리

낙은재 2016. 2. 22. 16:56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우리 자생식물 중에서 나모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대나무라면 유럽원산 식물 중에서 잎도 아닌 것이 줄기도 아닌 것을 달고 있는 관목이 있다. 그게 바로 지중해 연안에서 온 루스커스이다. 가시같이 다부지게 생긴 푸른 잎이 매우 특이하게 보이는데 이게 바로 잎이 아니고 잎같이 보이는 줄기 즉 엽상지(葉狀枝)라는 것인데 그 한 가운데서 봄에 꽃이 피고 곧이어 여름부터 이듬해 초까지 열매가 달리는데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겨울이 오면서 아주 붉게 변하여 연말연초에는 예쁜 모습을 연출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크리스마스베리]라는 기발한 유통명을 지어서 부르기도 한다.


백합과 루스쿠스속이었으나 최근에는 천문동과(Asparagaceae) 루스쿠스속(Ruscus)으로 변경된 루스커스는 품종에 따라서 자웅이주인 경우도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6개 종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3종이 등록되어 있다. 


유통명 : 크리스마스베리

등록명 :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학   명 : Ruscus aculeatus L

구분류 : 백합과 루스쿠스속 상록 관목

신분류 : 천문동과 루스쿠스속

원산지 : 지중해연안 

영어명 : butcher's-broom

중국명 : 가엽수(假叶树) - 거짓 잎 나무라는 뜻

일본명 : ナギイカダ(梛筏 : 나벌)

높   이 : 1m

내한성 : -10도, 영상 5도 이상 월동이 안전

개화기 : 3 ~ 5월

결실기 : 7 ~ 2월

특   징 : 엽상지 끝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잎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가시모양 비늘이며 광합성작용을 하지 못한다.


아쿨레아투스는 가시가 있다는 뜻이며 이 품종은 가끔 안그런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자웅이주이므로 열매를 보려면 암수 두 그루가 필요한데 우리나라에서 이를 사전에 말하고 파는 유통업자가 과연 몇이나 될까?  꽃만 보는 식물들은 자웅이주라도 꽃은 피니까 별 문제가 없으나 꽃보다는 열매를 보기 위하여 구입하는 나무들도 많은데 사전에 이런 주의사항을 전혀 말하지 않는다면 어쩌란 말인가?  꽃보다는 열매가 목적인 낙상홍과 동청목도 루스커스와 마찬가지로 자웅이주이고 비록 자웅이주는 아니지만 포포나무도 열매를 얻으려면 두 그루 이상이 필요하다.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위 큰 줄기 좌우로 누가 봐도 잎으로 보이는 녹색 뾰족한 긴 달걀형 저 것의 정체가 특이하게도 줄기라고 한다. 

진짜 잎은 엽상지 뒤에 거의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조그마한 비늘침 같이 생겼다.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우리집에는 한 그루 뿐인데도 계속 열매를 맺고 열매 속에 종자가 있는 것으로 봐서 이 나무는 자웅이주는 아닌가 보다. 봄에 꽃을 정밀하게 관찰해 봐야 겠다.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수꽃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수꽃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수꽃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수꽃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암꽃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암꽃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암꽃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세밀화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 세밀화


=======================


등록명 : 히포글로숨 루스쿠스

학   명 : Ruscus hypoglossum L. 

원산지 : 이탈리아, 터키등

영어명 : spineless butcher's-broom

높   이 : 50cm

내한성 : 영하 15도

특   징 : 모양이 예쁜데다가 엽상지 끝에 가시가 없어 실제로 로마 황제 시저의 월계관을 이 나무로 만드었다고 한다.


히포글로숨 루스쿠스


히포글로숨 루스쿠스


히포글로숨 루스쿠스

=======================


등록명 : 미크로글로수스 루스쿠스

학   명 : Ruscus  microglossus Bertol. (교잡종)

특   징 : 열매 자루가 길다.


미크로글로수스 루스쿠스


미크로글로수스 루스쿠스


미크로글로수스 루스쿠스


미크로글로수스 루스쿠스

========================


그외 폰티쿠스 루스쿠스라는 것이 하나 더 등록되어 있는데 이는 아쿨레아투스 루스쿠스의 이명으로 처리되어야 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