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139 매화오리나무

낙은재 2016. 7. 30. 13:36

매화오리나무


이번에는 우리 자생종 매화오리나무에 대하여 탐구한다. 매화오리나무는 진달래목 매화오리나무과 매화오리나무속의 소교목인데 이 매화오리나무과에는 매화오리나무속 외에도 Purdiaea속이 하나 더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매화오리나무속이 유일하다. 그 매화오리나무속에는 미주 대륙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에 걸쳐 수십 종이 분포하지만 모두 비슷비슷하여 최근에는 유사종들끼리 통합하는 추세에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자생종 매화오리나무 외에도 아시아 원산인 두 개의 종과 아메리카 원산인 9개의 종이 등록되어 있다. 알니폴리아매화오리로 대변되는 미주대륙 원산종이 크기도 적당하고 꽃의 색상도 다양하여 정원수로는 인기가 있다.


린네에 의하여 처음 기록된 이 속의 학명은 Clethra인데 이는 오리나무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왔으며 중국도 오리나무잎을 닮은 잎을 가진 나무라는 뜻으로 기엽수속(桤叶树属)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여기에 꽃이 아래와 같이 매화를 닮았다고 매화를 덧붙여 매화오리나무속으로 부른다. 그러나 이웃 일본은 옛날 어려운 시절 구황식물로 법으로 정하여 이 나무의 재배를 장려하였다고 령법(令法)으로 쓰고 료우브(リョウブ)속으로 부르는 것이 흥미롭다. 지금도 일본에서는 이 매화오리나무의 잎으로 밥을 지어 령법밥(令法飯)이라 부른다고 한다.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속의 우리나라 유일한 자생종 매화오리나무는 한라산 등지에 자생한다고 우리 뿐만아니라 중국이나 일본 자료에도 기록이 있는데 현재는 국내 자생지가 모호한 상태이며 국생정에 있는 몇 개의 표본정보에도 채집지 정보가 없다. 따라서 일본이나 중국에서 이미지를 가져올 수 밖에 없다.


등록명 : 매화오리나무

이  명 : 까치수염꽃나무

학  명 : Clethra barbinervis Siebold & Zucc.

분  류 : 진달래목 매화오리나무과 매화오리나무속 소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중국명 : 자맥기엽수(髭脉桤叶树) - 맥위 털이 있다는 뜻

일본명 : 료우브(リョウブ : 令法)

수  고 : 2 ~ 10m

개화기 : 6월

특  징 : 잎 뒷면 맥위에 복모가 있으며 특히 맥액에 수염같은 털이 있음

내한성 : 일본의 북해도 남부지방에 많이 분포한다는 것으로 봐서 추위에 강할 것으로 추정은 되나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에서 자생한다고 하며 중국에서도 산동 이남 지방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종소명 barbinervis는 맥위에 털이 있다는 뜻으로 중국명 자맥(髭脉)과 동일한 의미이다.


매화오리나무

천리포수목원


매화오리나무

천리포수목원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꽃의 지름은 약9mm이다.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뒷면 맥 겨드랑이에 수염같은 털이 보인다.


매화오리나무

주맥에도 털이 많다.


매화오리나무

잎자루에도 많은 털이 있다.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수피가 노각나무와 매우 흡사하다.


매화오리나무

미국산 알니폴리아매화오리는 관목인데 반하여 이 나무는 소교목으로서 정원수로는 다소 부담스럽다.

이 정도 크기의 나무는 꽃이 없다면 칠엽수를 많이 닮아 보인다.


매화오리나무 = 자맥기엽수(髭脉桤叶树)

髭 : 윗수염 자


매화오리나무 = 자맥기엽수(髭脉桤叶树)


매화오리나무 = 자맥기엽수(髭脉桤叶树)


매화오리나무 = 자맥기엽수(髭脉桤叶树)


매화오리나무 = 자맥기엽수(髭脉桤叶树)


매화오리나무 = 자맥기엽수(髭脉桤叶树)


매화오리나무 = 자맥기엽수(髭脉桤叶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