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150 통조화, 기부시, 정절화

낙은재 2016. 8. 27. 23:24

통조화

이렇게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을 피운다.


이번에는 그 이름이 참으로 특이한 통조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천리포수목원에서 처음 본 적이 있는데 매우 인상적이었다고 기억하고 있었던 차에 이번에 어린 묘목 하나를 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나무 이름만 독특한 것이 아니라 꽃 모습도 특이하며 식물 분류체계상으로 봐도 통조화과의 통조화속으로 분류되어 우리에게는 이름조차 생소하기만 하다. 그리고 알고보니 통조화속은 통조화과의 유일한 속이다. 이 말은 알기 쉽게 비유하면 형제들은 있어도 사촌이 없다는 뜻이다. 즉 그러니까 이게 우리 자생종이 아니라면 국내에는 이와 비슷한 식물조차도 없다는 뜻이 된다.


세계적으로 10여 종이 분포하는데 히말라야에서 중국을 거쳐 일본 홋카이도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자생하는데 중간에 우리만 빠졌다. 그래서 우리 자생종은 없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일본계 한 종과 6개의 변종, 중국계 2종과 1개의 변종 모두 10개의 외래종이 등록되어 있다. 우리정원으로 온 녀석은 일본 현지에서 기부시로 불리는 종으로 학명이 Stachyurus praecox인데 그 원종인지 아니면 변종 중 하나인지는 꽃과 열매를 못봐서 아직 알 길이 없다. 아니 꽃과 열매가 있더라도 그 수많은 변종 중에서 정확한 동정을 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통조화


통조화


이 나무 통조화과 통조화속으로 분류하는 데는 모두가 일치하나 상위 분류 등급인 목(目)에 가서는 나라마다 각양각색이다. 우리나라는 이 통조화과를 제비꽃목(Violales)으로 분류하는데 중국에서는 측막태좌목(Parietales)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일본은 신분류인 APGⅡ에 따라 크로소소마타목(Crossosomatales)으로 분류하고 있어 혼란스럽다.


속명 Stachyurus는 꼬리같이 늘어지는 이삭이란 뜻으로 수상화서인 꽃차례를 형상한 말이며 이를 영어로는 Spike tail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통조화라고 부르며 중국에서는 정절화(旌节花)라고 부르는데 이 또한 학명이나 영어명과 비슷한 늘어지는 꽃을 형상한 이름이다. 아래 그림이 바로 중국에서 고대 사용하였다는 정절이다. 이 나무의 꽃과 매우 흡사하다. 일본은 목오배자(木五倍子)라고 쓰고 기부시라고 읽는데 이는 이 나무 열매에서도 탄닌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오배자 대신에 염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오배자는 앞의 [147 붉나무]에서 다룬 바와 같이 진귀한 약재인 붉나무의 충영을 말한다. 


이게 정절(旌節)인데 아마 적국에 사자로 갈 때 들고 다닌 신분표시기 같다.


학명 Stachyurus이나 영어명 Spike tail 그리고 중국명 정절화(旌节花)와 일본명 기부시(木五倍子) 모두 그들 나름대로 납득이 가는 이름들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통조화만은 혹시나 중국의 통화(通花)에서 변이된 말인가 하여 통조화의 한자표기가 어디 있나하고 국어사전을 뒤져봐도 나오지 않는다. 그럼 어떤 명분으로 과명 그리고 속명이 되었을까 정말 궁금하여 한참을 고생하다가 드디어 출처를 알아냈으나 정말 허탈하고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뜻밖에 통조화는 일본에서 온 말로서 일본에서 지금은 주로 木五倍子로 쓰고 기부시라고 읽지만 과거에 이 나무를 한자로 通条花(통조화)라고 쓰고 기부시로 읽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 通条花(통조화)는 일본식 한자는 아니고 중화권에서 넘어온 글자로 판단된다. 그러고보니 중국에서는 정절화가 국명이지만 별명으로 그리고 생약명으로 통초(通草) 또는 통화(通花)로 부르고 있다. 생약명 통초는 이 나무 줄기에서 추출한 성분이 막힌 오줌이나 젖을 시원하에 통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그럼 중국의 통화(通花)가 어떻게 일본에 가서 통조화로 변하였을까? 그 것은 대만에서는 지금도 이 나무를 通条木(통조목) 또는 通条樹(통조수)로 부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조(通條)는 막힌 구멍을 뚫는 막대기를 뜻하며 주로 총기 청소에 쓰는 꽂을대나 부지깽이를 말하는데 이 나무의 긴 꽃차례를 형상하는지 아니면 생약명 통화(通花)에서 파생된 것인지에 대한 설명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다. 여하튼 지금은 일본에서도 잘 안쓰는 오래전에 일본에서 가져온 한문식 용어로 우리 대한민국에서 식물분류체계상 과명과 속명으로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니 정말 서글프다. 


등록명 : 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praecox Siebold & Zucc.

분  류 : 통조화과 통조화속 낙엽 관목 또는 소교목

원산지 : 일본

일본명 : 기부시(キブシ : 木五倍子)

중국명 : 조춘정절화(早春旌节花)

수  고 : 3~4m (최대 7m)

개화기 : 3 ~ 5월

꽃차례 : 자웅이주 또는 양성화, 총상화서 혹은 수상화서

꽃색상 : 웅화 - 담황색, 자화 - 담황록색

꽃특징 : 꽃잎과 꽃받침이 각각 4개씩

내한성 : 북위 35도까지 노지월동 가능

종소명 praecox는 이른 봄에 꽃이 핀다는 뜻이다. 우리 자생종은 없으므로 일본에서 들어온 기부시가 우리나라에서는 통조화의 기본종으로 취급받아 그냥 통조화라는 이름이 붙었다. 실제로 세계적으로도 이 수종은 Stachyurus속의 모식종이기도 하다.


일본 홋카이도에서도 자생하는 종이지만 실제로 우리나라 중부지방 겨울 기온이 홋카이도 보다 더 내려갈 때가 종종 있으므로 중부지방에서 노지월동하면 비록 동사하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좋은 상태의 꽃을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참으로 아쉽다. 충청도 태안에 있는 천리포수목원에서는 노지월동을 잘하고 있으나 용인에서는 불가능한지 한택수목원에서는 본 적이 없다.


통조화

양성화이다.


통조화


통조화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통조화 동아


통조화 양성화


통조화 양성화

꽃잎 4장 꽃받침 4장이다.


통조화 양성화

하나의 암술과 8개의 수술


통조화 암꽃


통조화 암꽃


통조화 암꽃

수꽃에 비하여 길이가 짧다.


통조화 암꽃

수술은 퇴화하고 자방이 부풀어 오른다.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통조화


우리나라에는 일본에서 기부시로 불리며 우리나라 유통계에서도 그대로 기부시라고 부르는 우리나라 등록명 통조화인 이 원종외에도 아래와 같은 6개의 변종이 더 등록되어 있다. 그 등록명과 간략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등록명 : 통조화 '루브리플로루스'

학  명 : Stachyurus praecox 'Rubriflorus'

원산지 : 일본

특  징 : 붉은 꽃 


통조화 '루브리플로루스'

Stachyurus 'Rubriflorus'


통조화 '루브리플로루스'

Stachyurus 'Rubriflorus'


통조화 '루브리플로루스'

Stachyurus 'Rubriflorus'

천리포수목원 팻말에는 붉은꽃통조화라고 되어 있다.



등록명 : 레우코트리쿠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leucotrichus Hayashi

분  류 : 통조화과 통조화속 낙엽 관목 또는 소교목

원산지 : 일본

일본명 : ケキブシ

특  징 : 잎의 뒷면 맥위에 가는 흰털이 있음


등록명 : 레우코트리쿠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leucotrichus Hayashi


등록명 : 레우코트리쿠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leucotrichus Hayashi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Nakai) Makino
원산지 : 일본
일본명 : ハチジョウキブシ(八丈木五倍子)
특  징 : 이즈제도의 하치조섬 등에 자생하는 수종으로서 기부시에 비하여 꽃차례와 잎이 대형인 점이 차이
우리나라에는 이 수종과 그 원예종 2개가 등록되어 있다.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Nakai) Makino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Nakai) Makino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Nakai) Makino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이사이'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Issai'

원산지 : 일본

특  징 : 국내 양대 식물원 중 하나인 천리포수목원에 오래전부터 식재되어 있어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수종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이사이'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Issai'

사진 출처 : 천리포수목원

꽃차례 길이가 무려 1m에 달하여 장관을 이룬다.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이사이'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Issai'

사진 출처 : 천리포수목원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이사이'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Issai'

사진 출처 : 천리포수목원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이사이'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Issai'

사진 출처 : 천리포수목원



등록명 : 마추자키통조화 '스케르초' 

학  명 : Stachyurus praecox var. matsuzakii 'Scherzo'

원산지 : 일본

일본명 : 斑入ハチジョウキブシ ‘スケルッツオ’

특  징 : 무늬종으로 보이나 사진을 구하기가 어렵다.


----------------------------------------


등록명 : 랑키폴리우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lancifolius Koidz.

원산지 : 일본 대마도

일본명 : ナンバンキブシ(南蛮木五倍子)

특  징 : 아직 미해결된 학명으로서 마추자키통조화와 동일시 하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등록명 : 랑키폴리우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lancifolius Koidz.


등록명 : 랑키폴리우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lancifolius Koidz.



등록명 : 중국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chinensis Franch.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중국정절화(中国旌节花)



중국통조화

Stachyurus chinensis Franch.



중국통조화

Stachyurus chinensis Franch.



등록명 : 라투스중국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chinensis subsp. latus (Li) Y.C.Tang & Y.L.Cao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관엽정절화(宽叶旌节花)

특  징 : 잎의 거의 원형에 가까운 것이 특징이라는데 사진을 구하기 어렵다.


-------------------------------------------------


등록명 : 히말라이쿠스통조화

학  명 : Stachyurus himalaicus Hook.f. & Thomson ex Benth.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서역정절화(西域旌节花)

특  징 : 중국정절화와 비슷하지만 잎이 좁고 화서가 상대적으로 긴 것이 차이점


히말라이쿠스통조화 = 서역정절화

Stachyurus himalaicus Hook.f. & Thomson ex Benth.


히말라이쿠스통조화 = 서역정절화

Stachyurus himalaicus Hook.f. & Thomson ex Ben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