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레나무
열매가 숙성하는 기간이 거의 1년이 걸려서 이듬해 꽃대와 함께 보인다.
또 하나의 남부지방 희귀수종을 알아본다. 불과 몇 년 전인 2006년 제주도 곶자왈에서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보지 못하던 나무 한 그루가 발견된다. 국내 오직 한 그루만 있는 식물이라서 조사해보니 국내 고유종은 아니고 중국이나 일본 베트남 등지에 분포되어 있는 학명이 Maesa japonica라는 상록 관목이었다. 중국이름은 두경산(杜茎山)이며 일본 이름이 이즈센료우(イズセンリョウ : 伊豆千両)인 이 나무의 우리 이름을 암반지대인 제주 곶자왈에서 발견되었으므로 제주도 방언으로 너럭바위를 뜻하는 빌레로 이름을 지은 것이다. 그래서 다소 생소한 이름인 빌레나무가 된 것이다. 일본 이름은 이즈반도에 많이 자생하는 센료우 비슷한 나무라는 뜻인데 센료우는 일본의 천량금 즉 우리나라 죽절초를 말한다.
그 후 한 때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무라고 소문이 퍼지자 매우 귀한 것인 줄로만 알고서 누가 탐이나서 불법으로 채취해 갔는지 어느날 갑자기 사라졌는데 다행히도 인근에서 더 많은 개체수가 발견된데다가 훼손된 최초 발견지에서도 그 뿌리에서 다시 싹이 나와 어린 나무가 자라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자생지가 발견되었다는 것이지 외국에 널리 분포하는 결코 귀한 것은 아니므로 엉뚱하고도 무식한 욕심은 내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만약 정말로 세상에 하나뿐인 귀한 것이었다면 이를 제대로 보존하지 못하고 잃어버렸다면 얼마나 안타까웠을까...
우리나라에서는 앵초목 빌레나무과 빌레나무속으로 분류하지만 중국에서는 앵초목 자금우과 빌레나무속으로 분류하며 일본에서도 그렇게 분류하다가 최근에는 서양에서 채택하고 있는 APG3 분류시스템에 따라서 진달래목 앵초과 빌레나무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빌레나무속(Maesa)에는 전세계적으로 약150 종의 식물이 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당연히 빌레나무 단 한 종만 자생하며 그것도 극히 최근에 발견된 것이다.
등록명 : 빌레나무
학 명 :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분 류 : 빌레나무과 빌레나무속 상록 덩굴성 관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베트남, 대만 등
중국명 : 두경산(杜茎山), 별명 - 金砂根,白茅茶,白花茶,野胡椒,山桂花,水光钟
일본명 : 이즈센료우(イズセンリョウ : 伊豆千両)
성정체 : 자웅이주 또는 양성화
수 고 : 1~3m(최대 5m)
줄 기 : 소지무모, 가는 줄무늬, 피공
잎특징 : 얇은 혁질, 타원형, 피침상타원형, 정단점첨, 미상점첨, 기부설형
잎크기 : 10 x 3m
잎거치 : 전연, 중부이상 드문드문 거치, 기부외 소세치
잎측맥 : 양면 무모, 중 측맥, 세맥 융기, 배면 중맥명현, 융기, 측맥5~8대, 불심명현, 미단지달치첨
잎자루 : 5~13mm, 무모
꽃차례 : 총상화서 혹 원추화서, 단1 혹 2~3개 액생, 1~4cm, 기부 소수 분지, 무모
포 편 : 란형, 1mm 미만, 무모, 극소모
소포편 : 광란형혹 신형, 긴첨화악기부, 무모
꽃자루 : 2~3mm
꽃받침 : 2mm, 악편1mm, 란형 근반원형, 정단둔 혹 원형
꽃부리 : 백색, 장종형, 3.5~4mm, 맥상줄무늬
꽃수술 : 5개, 내장, 화관 중부 약생, 화사 화관 동장
꽃 밥 : 란형, 배부선점
암술대 : 1개, 3렬
열 매 : 구형, 4~5mm 지름, 유백색, 육질, 맥상선줄무늬, 숙존악포, 상관숙존화주
종 자 : 다수
개화기 : 4~5월
결실기 : 10 ~ 익년 5월
용 도 : 식용, 단맛, 전주 약용, 거풍한, 소종, 요통, 두통
우리 국생정과 중국 자료에서는 양성화로 나오지만 일본 자료에 의하면 양성화도 있지만 주로 자웅이주 단성화가 많다고 한다. 속명 Maesa는 이 나무를 부르는 아랍의 방언에서 왔다.
빌레나무
숲속 그늘에서 잘 자라고 가지가 가늘고 길어서 처지기 때문에 덩굴로 보인다.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수꽃
빌레나무 암꽃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많은 종자가 열려 한두 개에 불과한 자금우속 나무들과 구분 포인트가 된다.
빌레나무
이런 모습에서는 덩굴성이라고 보이지는 않는다.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꽃받침과 암술대가 열매에 남아 있다.
빌레나무
빌레나무
빌레나무 꽃과 수피
'기타 과 식물 > 기타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집 노지월동 정원수들의 식목일 현재 모습 (0) | 2017.04.05 |
---|---|
202 송양나무 - 2016년 여수 거문도에서 군락지가 발견된 희귀 남부수종 (0) | 2016.11.23 |
200 바위모시 = 비양나무, 비양도 특산수종 (0) | 2016.11.21 |
198 죽절초 - 유망 원예작물, 멸종위기 2급 (0) | 2016.11.19 |
겨울 수피 모음 (0) | 2016.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