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0 바위모시 = 비양나무, 비양도 특산수종

낙은재 2016. 11. 21. 22:05

바위모시

육질의 화피가 열매를 감싸고 있는 특이한 모습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비양도에서만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어 비양나무라고 널리 알려진 바위모시를 알아보자. 쐐기풀과 비양나무속 관목 또는 드물게 소교목인 이 나무의 학명은 Oreocnide fruticosa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비양도에서만 발견되었으나 우리 고유종은 아니고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자생하는 종이다. 중국 이름은 자마(紫麻)이며 일본명은 주로 바위 옆에서 바위에 뿌리를 내리면서 자란다고 이와가네(岩が根)이다. 


주로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대륙의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비양나무속(Oreocnide)은 전세계적으로 19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당연히 바위모시 단 한 종만 자생하지만 중국에는 10종이 분포한다. 우리이름 바위모시는 중국의 이명 자저마(紫苎麻) 즉 [자색 모시풀]의 영향을 받은 것도 있겠지만 우리나라에 많이 자생하는 모시풀속 초본들을 많이 닮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참고로 가장 비슷한 모시풀은 쐐기풀과 모시풀속으로 과는 같지만 속이 다른 다년생 초본인데 중국 이름은 저마(苎麻)이다. 


그런데 하나 이상한 것은 우리나라에서 이 나무를 알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양나무라고 알고 있으며 실제로 거의 모든 백과사전이나 도감에 비양나무라고 되어 있으며 이 나무가 속한 속명 또한 비양나무속이라고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등록 정명은 [바위모시]라고 되어 있다. 바로 일본이름 이와가네와 중국 이명 자저마를 합한 듯한 인상을 준다. 즉 이와(岩 : 바위) + 저마(苎麻 : 모시) = 바위모시. 그리고 비양나무는 이명으로 조차도 언급이 없다. 이 무슨 황당한 일이란 말인가? 초본이라는 느낌을 주는 바위모시보다는 비양나무가 더 어울린다고 생각하는데 이건 나만 그런가?


등록명 : 바위모시

이  명 : 비양나무

학  명 : Oreocnide fruticosa (Gaudich.) Hand.-Mazz. 

정  명 : Oreocnide frutescens subsp. frutescens

이  명 : Villebrunea frutescens, Oreocnide frutescens 등

분  류 : 쐐기풀과 비양나무속 관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중국명 : 자마(紫麻), 별명 - 자저마(紫苎麻) 등

일본명 : 이와가네(イワガネ : 岩が根)

성정체 : 자웅이주

수  고 : 1~3m

줄  기 : 소지 갈자색, 담갈색, 상부거친털, 근첩생의 유모, 드물게 회백색융모, 이후점탈락

잎특징 : 가지위상생, 초질, 이후변 지질, 란형, 협란형, 희도란형

잎크기 : 3~15 x 1.5~6cm

잎모양 : 선단점첨혹 미상점첨, 기부원형, 희관설형, 하부이상거치, 

잎면모 : 상면 조복모, 가끔 근평활, 하면 회백색융모, 이후 탈락, 혹유모 혹 다소단복모

잎측맥 : 기출맥 3, 기출맥 한조, 약간호곡(弧曲), 최하한쌍측맥고리, 측맥 2~3대, 근변연최배결

잎자루 : 1~7cm, 조모

탁  엽 : 조상피침형, 10mm, 선단미상점첨, 배면중륵소생조모

꽃차례 : 상년생지와 노지상 생, 무경, 족생상, 단산화족 지름 3~5mm

수  꽃 : 재아시 지름1.5mm, 화피편3, 하부합생, 장원상란형, 내만, 외면상부유모

수  술 : 3, 퇴화수술봉상, 장0.6mm, 백색면모

암  꽃 : 무경, 장1mm

열  매 : 수과 난구형, 양측약간압편, 장1.2mm

화피편 : 숙존화피변심갈색, 외면소생미모, 내과피초골질, 표면유다수세와점

화  탁 : 육질화탁천반상, 열매 기부를 감쌈, 숙시측상증대, 증량두상, 포위착과의 대부분

개화기 : 3~5월

과실기 : 6~10월

용  도 : 줄기 껍질 섬유가 가늘고 질겨 밧줄이나 인조면 등에 이용, 약용

종소명 fruticosa나 frutescens는 모두 관목이란 뜻이다.


바위모시 = 비양나무

천리포수목원


바위모시 = 비양나무

잎의 질감이 마치 풀같이 생겼다.


참고로 이 것은 다년생 초본인 모시풀이다. 

모시풀속 대부분이 대생이지만 이 모시풀은 예외적으로 잎이 호생이라서 바위모시와 많이 닮았다.


바위모시 = 비양나무


바위모시 = 비양나무


바위모시 = 비양나무


바위모시 = 비양나무


바위모시 = 비양나무


바위모시

열매자루가 없이 열매가 달려서 겨울을 난다.


바위모시


바위모시


바위모시



바위모시


바위모시


바위모시

3~5월에 촘촘하게 수꽃이 핀다.


바위모시 수꽃

수술대가 흰색으로 3개 나온다.


바위모시 암꽃

암수머리에 털이 보인다.


바위모시

열매는 지름 2mm의 화피로 감싸져 있다. 

화피는 무색 무취이다. 씹으면 아싹아싹하다.


바위모시


바위모시


바위모시


바위모시

털이 매우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