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속에 등록된 외래 재배종들을 간락하게 훑어보자. 일본계 두 종과 중국계 한 종 그리고 미국계와 유럽계가 등록되어 있다. 그 중 유럽너무밤나무는 유럽에서는 매우 인기있는 수종으로 수많은 원예종들이 개발 보급되어 있는데 그 중 15종이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등록되어 있어 놀랍다. 이들 대부분은 천리포수목원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
등록명 : 일본너도밤나무
학 명 : Fagus japonica
원산지 : 일본
일본명 : 이누부나(イヌブナ), 구로부나(クロブナ)
영어명 : Japanese blue beech
원산지 일본에서는 이 나무의 수피가 아래 주름너도밤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검다고 구로부나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 자생종 너도밤나무를 이 일본너도밤나무의 변이종으로 파악하여 학명을 Fagus japonica var. multinervis (Nakai) Y.N.Lee로 표기하고 울릉도 고유종이라고 주장하는 설이 아직도 국제적으로 유효하다. 특히 일본에서는 울릉도 특산이라고 타케시마 브나(タケシマブナ)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우리 너도밤나무를 Fagus engleriana로 표기하는 중국 미심수청강(米心水青冈)과 동일한 종으로 인정하고 있어 우리 울릉도 고유종이라는 설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일본너도밤나무
등록명 : 일본주름너도밤나무
학 명 : Fagus crenata
원산지 : 일본 고유종
일본명 : 부나(ブナ), シロブナ、ホンブナ、ソバグリ
영어명 : Japanese beech
종소명 crenata는 주름진 잎을 뜻한다. 재미있는 것은 이 나무의 일본 별명에 모밀이란 말이 들어간 것이 많다. 소바구리(ソバグリ)、소바구루미(ソバグルミ)、소바(ソバ)、소바노키(ソバノキ) 등이 그것이다. 이 나무의 열매가 마치 메밀같이 생겼기 때문이다. 우리는 닮지도 않은 열매가 달리는 나무를 보고 모밀잣밤나무라고 하는데 혹시나 그 이름이 일본의 이 나무이름을 보고 따라한 것인데 그만 나무가 헷갈려서 잘못 부른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일본주름너도밤나무
열매가 메밀을 많이 닮았으므로 소바노키라고도 한다.
일본주름너도밤나무
등록명 : 루키다너도밤나무
학 명 : Fagus lucida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광엽수청강(光叶水青冈)
영어명 : Shining beech
잎에서 광택이 난다고 붙은 학명과 중국명이다.
루키다너도밤나무
등록명 : 미국너도밤나무
학 명 : Fagus grandifolia
원산지 : 북미
영어명 : American beech
잎이 크다고 grandifolia라는 학명이 붙었다.
미국너도밤나무
동아가 매우 길쭉한 것은 너도밤나무들의 특징이다.
등록명 : 유럽너도밤나무
학 명 : Fagus sylvatica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European beech
종소명 sylvatica는 '숲의' 라는 뜻이다.
유럽너도밤나무는 유럽에서는 매우 인기있는 정원수라서 매우 다양한 원예종들이 개발보급되어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이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자엽그룹 (Purpurea Group - purple beech)
2. 결각그룹 (Heterophylla Group - fern-leaf beech)
3. 왜성그룹 (Tortuosa Group - dwarf beech)
4. 처진그룹 (Pendular Group - weeping beech
5. 원뿔그룹 (Dawyck Group - fastigiate beech)
6. 금엽그룹 (Zaltia Group - golden beech)
유럽너도밤나무 원뿔그룹
천리포수목원
유럽너도밤나무 처진그룹
유럽너도밤나무 처진그룹
유럽너도밤나무 결각그룹
유럽너도밤나무 금엽에 원뿔 그룹
유럽너도밤나무 자엽에 원뿔그룹
유럽너도밤나무 자엽에 왜성그룹
유럽너도밤나무
'기타 과 식물 > 참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7 호랑잎가시나무 - 상록 참나무의 일종 (0) | 2016.12.12 |
---|---|
216 남너도밤나무 - 남반부에 자생하는 너도밤나무 (0) | 2016.12.12 |
214 너도밤나무 - 울릉도 특산 수종 (0) | 2016.12.11 |
213 돌참나무 - 참나무과 리토카르푸스속 상록수, 헨리돌참 (1) | 2016.12.09 |
212 졸가시나무 - 외래 상록 참나무 (0) | 2016.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