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16 남너도밤나무 - 남반부에 자생하는 너도밤나무

낙은재 2016. 12. 12. 14:09

 안타르티카남너도밤나무


지나가는 길에 남너도밤나무라는 것을 알아보고 가자. 너도밤나무도 생소한데 그 앞에 남이란 접두사까지 붙은 이 나무들은 도대체 뭘까? 우리나라 식물목록에는 참나무과에 남너도밤나무속이란 것이 있으며 그 아래 3개의 수종이 등록되어 있다. 그냥 지나칠 수가 없어서 그야말로 주마간산식으로 훑어보고 넘어간다. 우선 이 남너도밤나무속은 학명을 Nothofagus로 표기하는데 Fagus로 표기하는 너도밤나무에 notho가 붙었다. 


독일출신 네덜란드 식물학자 Karl Blume가 최초 명명한 것인데 이 수종들이 남미나 오세아니아주 등 주로 지구의 남반부에서 자생하므로 남쪽의 너도밤나무라는 뜻으로 notos + fagus = Notofagus로 명명한다는 것이 그만 실수로 Nothofagus가 되었다. 그런데 공교롭게 nothos가 라틴어에서 가짜라는 뜻이므로 가짜 너도밤나무가 되어 어느 정도 맥락이 통하는 이름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그 내막을 알고서 가짜(false)라는 의미가 아닌 남쪽(south)이란 의미의 이름인 남극너도밤나무(ナンキョクブナ)로 사용하자 우리도 따라서 남쪽이란 의미의 남너도밤나무라고 명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원래는 너도밤나무목 너도밤나무과 남너도밤나무속이었지만 유전자 감식결과 너도밤나무과에서 분리 별도의 남너도밤나무과로 독립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그대로 너도밤나무과로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너도밤나무목과 너도밤나무과를 참나무목, 참나무과로 고쳐서 부른다고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다. 여하튼 이 속으로 3개 수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모두 남미 칠레와 아르헨티나 원산이다.


등록명 : 안타르티카남너도밤나무

학  명 : Nothofagus antarctica

분  류 : 참나무과 남너도밤나무속 낙엽 교목

신분류 : 남너도밤나무과 남너도밤나무속 

원산지 : 칠레, 아르헨티나

수  고 : 10~25m

종소명 antarctica는 남극대륙을 뜻한다.


 안타르티카남너도밤나무

일본 정원에서는 이 나무도 이렇게 다듬는다.


 안타르티카남너도밤나무



등록명 : 돔베이남너도밤나무

학  명 : Nothofagus dombeyi

분  류 : 참나무과 남너도밤나무속 낙엽 대교목

신분류 : 남너도밤나무과 남너도밤나무속 

원산지 : 칠레, 아르헨티나

수  고 : 45m

종소명 dombeyi 18세기 프랑스 식물학자의 이름에서 왔다.


돔베이남너도밤나무


돔베이남너도밤나무


돔베이남너도밤나무



등록명 : 오블리쿠아남너도밤나무

학  명 : Nothofagus obliqua

이  명 : Lophozonia obliqua

분  류 : 참나무과 남너도밤나무속 낙엽 대교목

신분류 : 남너도밤나무과 남너도밤나무속 

원산지 : 칠레, 아르헨티나

수  고 : 50m

이 수종은 2013년부터 남너도밤나무속에서 분리 로포조니아속(Lophozonia)으로 분리독립하여 분류하는 학자들도 있다.


오블리쿠아남너도밤나무


오블리쿠아남너도밤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