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잎가시나무
유럽 원산의 상록 참나무 일종
이제 곧 연말이 다가오고 크리스마스 시즌이 된다. 서양에서는 크리스마스가 워낙 중요한 날이니까 식물 이름에도 크리스마스가 붙은 것들이 많다. 그 중 대표적인 나무가 바로 Christmas Holly라고 불리는 호랑가시나무이다. 감탕나무과의 감탕나무속으로 뾰족뾰족한 가시가 있는 늘 푸른 잎에다가 겨울에 예쁜 붉은 열매를 맺는 나무를 말한다. 그 누구나 크리스마스 카드에서 봤을 법한 그런 모양의 대표적인 크리스마스 장식용 나무이다. 그런데 참나무 종류 중에 호랑잎가시나무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간혹 수목원에서 이런 이름표를 보더라도 아마 착오에 의한 잘못된 이름으로 생각할 뻔한 이름이다. 그러나 분명하게 우리나라 국표식에 [호랑잎가시나무]라고 등록된 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매우 큰 교목으로서 도토리가 달리는 상록 참나무이며 학명은 Quercus ilex로 표기한다. 비록 열매는 도토리가 달리지만 잎은 호랑가시나무를 많이 닮았다. 아 그래서 호랑잎가시나무인가 보다 하겠지만 사실은 놀랍게도 그 반대이다. 우리가 잘 아는 호랑가시나무의 이름이 바로 이 나무의 잎을 닮았다고 이 나무 이름에서 왔다. 헐!! 학명 ilex도 그렇고 일반 영어명 holly도 그렇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많은 외래 참나무들 중에서 이것 하나만은 알아보고 가려는 것이다.
감탕나무과의 유일한 속인 감탕나무속에는 우리나라만 해도 감탕나무외에도 먼나무, 낙상홍, 대팻집나무, 호랑가시나무, 동청목, 꽝꽝나무 등 수많은 나무들이 속한다. 그 감탕나무 속명이 ilex인데 이 것이 바로 참나무의 일종인 호랑잎가시나무의 학명 Quercus ilex의 종소명이라는 것이다. 호랑가시나무는 우리는 우리 자생종 Ilex cornuta를 떠올리지만 서양에서는 Ilex aquifolium으로 대표된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는 구주호랑가시라고 부르지만 서양에서는 일반적으로 holly, common holly, English holly, European holly 또는 Christmas holly 등으로 다양하게 부른다. 이 이름은 서양에서 holly oak라고 부르는 참나무의 일종인 호랑잎가시나무의 잎을 많이 닮은데서 비롯된다.
크리스마스 장식의 모델 나무는 분명 호랑가시나무이다.
구주호랑가시 Ilex aquifolium
서양에서 Christmas holly로 불리는 서양 호랑가시나무이다.
워낙 종교적으로 사용되다보니 이 나무 이름 holly를
"성스러운" 이란 뜻인 영어 단어 holy와 동의어로 잘못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holly는 어디까지나 식물의 이름이며
넓게는 감탕나무속 전체를 말하며 좁게는 위 구주호랑가시를 칭한다.
그러나 대개는 앞에 European 또는 Chinese 등의 수식어를 붙어 특정 수목을 한정한다.
그리고 holly의 원조는 참나무의 일종인 아래 호랑잎가시나무이다.
호랑잎가시나무
영어로 Holly oak인데 이 나무 잎과 비슷하다고
크리스마스 장식에 많이 사용하는 위 호랑가시나무 이름이 Christmas holly로 정해졌다.
그럼 이 크리스마스 장식에 쓰는 나무를 서양에서는 holly라고 하고 학명은 Ilex로 쓰는데 우리는 왜 호랑가시나무라고 하였을까? 호랑이가 무슨 가시를? 일부에서는 호랑이가 등이 가려울 때 이 나무에다가 비벼서 해결했다는 정말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 같은 웃지 못할 유래설을 말하고 있다. 물론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럼 호랑가시나무가 없는 추운 지역에서는 호랑이는 어디 가서 해결하나? 더구나 호랑이가 많이 산다는 백두산 같은 추운 지역에는 이 호랑가시나무는 살지 못한다. 우리나라 호랑가시나무는 내한성이 약하여 주로 충청도 아래 지방에서만 자생한다.
이 나무 중국에서도 자생하는데 중국이름은 구골(枸骨)이지만 별명으로 묘아자(猫儿刺)와 노호자(老虎刺)로 부른다. 묘아자는 고양이의 발톱이고 노호자는 호랑이의 발톱이다. 우리 이름이 여기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이명에 [범의발나무]라는 것이 있는 것으로 봐서 더더욱 그렇다. 그럼 우리 이름의 뜻은 "호랑이 발톱 같은 가시가 있는 나무"가 된다.
일본에서는 감탕나무속으로 감탕나무나 꽝꽝나무는 있어도 호랑가시나무는 자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호랑가시나무를 구골나무와 같은 줄 알고서 이름도 히이라기(柊)로 혼용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그냥 히이라기라고 하면 구골나무가 되고 구주호랑가시는 서양히이라기 우리 호랑가시는 중국을 뜻하는 시나히이라기라고 부른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우리는 호랑가시나무 잎을 닮았다고 호랑잎가시나무로 이 참나무에다가 이름을 붙인 것이다. 즉 서양에서는 Quercus ilex(호랑잎가시나무)에서 Ilex aquifolium(구주호랑가시) 등의 이름이 왔지만 우리는 그 반대라는 것이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이 참나무의 이름을 동청력(冬青栎)이라고 한다. 중국의 동청은 Ilex(감탕나무속) 전체를 통칭하는 말이다. 력은 참나무이고 그러니까 학명과 매우 비슷한 맥락이다.
일본은 센요우히이라기가시(セイヨウヒイラギガシ)로 부른다. 즉 서양히이라기(西洋柊) + 가시(樫)가 된다. 서양호랑가시나무 잎을 가진 가시나무라는 뜻이 된다. 우리 이름 뒤에 가시라고 붙은 것은 다분히 일본영향으로 보인다. 좁은 의미의 가시 즉 가시나무아속도 아닌데 상록이라고 가시나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다. 그냥 [호랑가시잎상록참나무]라고 했으면 이해가 더 빨랐을 터인데. 이 나무 가시나무라는 이름은 붙었지만 종가시나무나 붉가시나무 같은 가시나무아속은 아니고 참나무아속으로 분류된다. 세분하면 암술대가 짧고 당해년도에 열매가 성숙하며 달면서도 약간 떫은 맛이 나는 도토리가 달리는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과 같은 특성을 가진 화이트 오크(White oak) 즉 백참나무에 속한다.
등록명 : 호랑잎가시나무
학 명 : Quercus ilex L.
분 류 : 참나무과 참나무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지중해 연안
영어명 : Holly oak, holm oak
수 고 : 20m
잎크기 : 7.5 x 2.5cm
잎특징 : 혁질 타원형, 암록색, 뒷면 회색털
꽃차례 : 웅화서는 아래로 처지고 자화서는 위로
잎거치 : 어릴때는 가시거치가 있으나 후에 없어짐. 변이가 심함
개화기 : 4~5월
결실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15도 (중부 노지월동 불가)
용 도 : 견고한 목재, 열매 식용, 송로버섯 골목
영어명 holm은 중세영어로 가시가 있는 (prickly)의 뜻이다.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호랑잎가시나무
'기타 과 식물 > 참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6 남너도밤나무 - 남반부에 자생하는 너도밤나무 (0) | 2016.12.12 |
---|---|
215 일본너도밤나무 중국너도밤나무 미국너도밤나무 유럽너도밤나무 등 외래 너도밤나무들 (0) | 2016.12.12 |
214 너도밤나무 - 울릉도 특산 수종 (0) | 2016.12.11 |
213 돌참나무 - 참나무과 리토카르푸스속 상록수, 헨리돌참 (1) | 2016.12.09 |
212 졸가시나무 - 외래 상록 참나무 (0) | 2016.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