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14 너도밤나무 - 울릉도 특산 수종

낙은재 2016. 12. 11. 21:05

너도밤나무

열매자루가 매우 길다.

잎이 밤나무를 닮아서 너도밤나무가 되었다. 그러나 꽃이나 열매는 밤나무와는 많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나무라서 별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럽에서는 매우 유명한 나무인 너도밤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식물 분류체계상 우리가 참나무목 참나무과라고 부르는 학명 Fagales와 Fagaceae가 실상은 너도밤나무목 너도밤나무과인 것만 봐도 너도밤나무가 유럽에서는 얼마나 흔한 나무인 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 그렇게도 흔한 참나무와 밤나무가 속하는 과의 이름이 원래는 참나무과도 아니고 밤나무과도 아닌 너도밤나무과 이란 것이 우리에게는 생소하기만 하다. 그렇지만 이 것을 참나무로 고쳐서 부르는 것은 우리나라만 그렇고 일본은 너도밤나무(ブナ: 橅)목 너도밤나무과로 부르고 있다. 중국은 목은 너도밤나무(山毛榉)목으로 부르지만 과는 참나무도 너도밤나무도 아닌 그들만의 독특한 이름인 각두(壳斗 : 깍정이)과로 부른다. 


우리나라 너도밤나무목(참나무목)에는 너도밤나무과와 자작나무과가 있는데 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Fagales(너도밤나무목)

  Fagaceae(너도밤나무과) 6속 165종

Fagus(너도밤나무속)

Nothofagus(남너도밤나무속)

Lithocarpus(리토카르푸스속)

Castanopsis(모밀잣밤나무속)

Castanea(밤나무속)

Quercus(참나무속) : 참나무아속, 가시나무아속

  Betulaceae(자작나무과) 5속 107종 

Betula(자작나무속)

Corylus(개암나무속)

Ostrya(새우나무속)

Capinus(서어나무속)

Alnus(오리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전세계적으로 주로 북반부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 걸쳐 약 10여 종이 분포하는데 그 중 아시아에 7종 그리고 유럽에 2종 북미에 1종이 분포한다. 중국에는 이 중 5종이 분포하며 일본에는 2종이 자생한다. 우리나라 뭍에서는 화석으로만 존재하고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단 한 종이 있다. 독립된 우리 고유종에서 부터 일본너도밤나무의 변종으로 또는 일본주름너도밤나무의 변종으로 보는 설도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에서도 자생하는 미심수청강(米心水青冈)과 동일한 종으로 인정하여 Fagus engleriana이란 학명으로 표기한다. 즉 우리나라 스스로 울릉도 고유종임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일본에서는 울릉도 특산 타케시마브나(タケシマブナ)라고 하면 통한다.


우리나라에는 우리 자생종 너도밤나무외에 일본에서 온 두 종과 중국에서 온 한 종 그리고 미국너도밤나무와 유럽너도밤나무 등 6종의 원종과 유럽너도밤나무의 변종과 원예종 15종 그리하여 모두 21종이 등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 유럽너도밤나무가 무려 16종이나 등록되어 있다니 놀랍지 않을 수 없다. 이는 분명 천리포수목원의 다양한 유럽너도밤나무 컬렉션 때문이리라.


등록명 : 너도밤나무

학  명 :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

분  류 : 참나무과 너도밤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중국명 : 미심수청강(米心水青冈), 은씨산모거(恩氏山毛榉) 등

영어명 : Chinese beech

일본명 : 시나부나(シナブナ)

성정체 : 자웅동주, 자웅이화

수  고 : 25m

동  아 : 길이 25cm

가  지 : 소지 원형피공

잎모양 : 마름모란형, 정부단첨, 기부관설형 근원형, 1측약단

잎크기 : 5~9 x 2.5~4.5cm

잎측맥 : 엽연파랑상, 매변 9~14조

잎면모 : 신생엽중맥광택장유모, 결실기 무모

잎자루 : 5~15cm

과  경 : 2~7cm, 무모

각  두 : 렬판15~18mm 길이, 상부 선상 구부러짐, 피모 

소포편 : 각두하부 협도피침형, 엽상, 녹색, 중맥과 지맥, 무모

열  매 : 매 각두 견과 2개, 드물게 3개, 삼각형

개화기 : 4~5월

결실기 : 당해년 8~10월

내한성 :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지방 노지월동 가능

용  도 : 건축 가구재 등 목재, 조경수, 분재, 염료 등

속명 Fagus는 이 나무를 칭하는 라틴어이며 종소명 engleriana는 20세기 독일 식물학자 Engler의 이름에서 왔다.


너도밤나무

홍릉수목원


너도밤나무

홍릉수목원


너도밤나무

홍릉수목원


너도밤나무 수피

홍릉수목원


너도밤나무 수피

천리포수목원


너도밤나무

천리포수목원


너도밤나무

새 잎에는 광택이 있는 긴 털이 있다가 나중에 없어진다.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

길고 크게 보이는 것이 수꽃이고 짧게 흐리고 조그맣게 보이는 것이 암꽃이다.


너도밤나무

수꽃은 아래로 처지고 암꽃은 위로 솟는다.


너도밤나무






일본너도밤나무 열매

우리 너도밤나무는 결실이 잘되지 않아서인지 열매 사진을 구할 수 없다.


  

너도밤나무 목재 Be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