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가시나무
졸가시나무
마치 우리 자생종 종가시나무나 붉가시나무 등의 가시나무 일종인 양 이름이 졸가시나무로 불리는 상록 참나무를 알아본다. 우리 자생종이 아니고 중국과 일본이 원산지인데 우리나라에는 아마 일본에서 처음 들어온 것 같다. 우리나라에는 참나무 종류가 많지만 상록이 없어서 이 나무를 보고 가시나무의 일종으로 설명하는 도감도 더러 있지만 이 졸가시나무는 비록 상록이기는 하지만 참나무아속으로 분류되며 참나무아속 중에서는 세부적으로 터어키 오크라고 불리는 체리참나무(Cerris)로 분류되는 나무이다.
참고로 가시나무들이 모두 상록이기는 하지만 참나무과 참나무속에서 상록이냐 낙엽이냐는 참나무아속과 가시나무아속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상록 참나무가 외래종 밖에는 없기 때문에 상록이면 모두 가시나무 같이 보였을 뿐이다. 외국에는 특히 북중미에 가면 상록 참나무 수종들이 수도 없이 많다. 하지만 가시나무아속은 아시아에서만 자생하기 때문에 거기서는 그런 고민할 필요는 없이 모두가 참나무아속이다.
등록명 : 졸가시나무
학 명 : Quercus phillyreoides A.Gray = Quercus phillyraeoides A.Gray
분 류 : 참나무과 참나무속 상록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일본, 중국
일본명 : 우바메가시(ウバメガシ : 姥目樫)
중국명 : 오강력(乌冈栎)
성정체 : 자웅동주(일가화), 자웅이화(단성화)
수 고 : 3~5(10)m
수 피 : 흑갈색, 천종렬, 원형피목
줄 기 : 소지 섬세, 회갈색, 유시 단융모, 후점무모
잎특징 : 혁질, 도란형, 착타원형
잎크기 : 2~6(8) x 1.5~3cm
잎모양 : 정단둔첨 혹 단점첨, 기부원형혹 근심형
잎거치 : 중부이상 소거치
잎색상 : 양면 녹색, 표면 광택, 노엽 양면 무모 혹 배면중륵소유모
잎측맥 : 매변 8~13조
잎자루 : 3~5mm, 소유모
탁 엽 : 1mm, 개엽후 탈락
웅화서 : 2.5~4cm, 섬세, 화서축 황갈색융모, 하수
자화서 : 1~4cm
암술대 : 1.5mm, 주두 2~5렬(주로 개)
각 두 : 환형, 포착견과 1/2~2/3, 직경 1~1.2cm, 고6~8mm
소포편 : 3각형, 장약1mm, 복와상배열 긴밀, 제정단 외피회백색유모
과 일 : 장타원형, 고1.5~1.8cm, 지름8mm
배 꼽 : 평탄 혹 미돌기, 직경3~4cm
동 아 : 6~7mm, 착란형, 정아 옆 측아
개화기 : 3~4월
결실기 : 익년 9~10월
용 도 : 비장탄, 견고하고 방부성이 높아 가구, 세목공구 용재, 전분함량 50%, 양조, 사료용
종소명 phillyraeoides는 물푸레나무과 필리레아속을 닮은 이란 뜻이다.
이 나무 열매인 도토리에 탄닌이 3.2% 포함되어 있어 참나무 도토리 중에서는 가장 적은 편이다. 그렇지만 생식은 어렵다. 이 나무 주변 환경에 따라서 수고가 많은 차이를 보여 주로 관목처럼 낮게 자라지면 때로는 10m를 훌쩍 넘게 크는 경우도 있다. 일본이름 우바메가시는 새잎이 나올 때 모습이 할머니 같다거나 여인들의 치아를 검게 화장할 때 오배자 대용으로 사용되었다고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은 있으나 어느 쪽도 명확하지는 않다. 중국에서는 이 나무가 희귀하여 국가 1급보호수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목재가 치밀하며 매우 딱딱하고 비중이 매우 높아 이 나무를 물에 넣으면 가라앉는다. 따라서 양질의 숯을 만들기 위한 최고의 원료로 꼽힌다. 이 부분 우리에게는 별 대수롭지 않지만 다다미방에서 생활하며 숯으로 난방과 취사를 하는 일본의 경우 일상 생활과 매우 밀접한 중요한 문제이다. 이 나무로 만든 숯은 일반 참나무는 물론 가시나무보다도 훨씬 훌륭한 최고의 비장탄의 원료가 된다. 일반 참나무숯이 600도 이하 저온에서 탄화시키는 것에 반하여 이 비장탄은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탄화시킨 매우 딱딱한 숯으로 95%이상의 탄소함유량을 가져 화력이 균일하면서도 매우 오랫동안 지속되는 장점이 있어 고급 요리집에서나 장어구이 등에 사용하는 고급 숯이다. 요즘 캠핑붐으로 우리나라에도 졸참나무가 아닌 열대지방에서 온 유칼립투스 등으로 만든 숯을 비장숯이라며 팔고 있는 것이 보인다.
일본에서도 화가산현(和歌山県)에서 생산된 기주비장탄(紀州備長炭)이 가장 유명하다.
그 지역에 졸가시나무 군락지가 있기 때문이다.
졸가시나무 비장탄
일본에서는 이 정도 량의 가격이 약 18만원 정도 한다. 엄청 비싸다.
탄금(炭琴)
일본에서는 특별히 1200도 이상의 고온으로
구운 비장탄으로 탄금이라는 악기를 만들기도 하는데 다른 나무로 구운 숯에서는 불가능하다고 한다.
졸가시나무 울타리
졸가시나무 도토리
각두의 모양이 가시나무와 같은 동심원이 없고 참나무 같이 생겼기 때문에 가시나무아속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이다.
졸가시나무 웅화서
졸가시나무 웅화서
졸가시나무 웅화서
졸가시나무 웅화서
졸가시나무 자화서(암꽃차례)
졸가시나무 자화서(암꽃차례)
졸가시나무 자화서(암꽃차례)
졸가시나무 자화서(암꽃차례)
졸가시나무 열매(도토리)
졸가시나무 열매(도토리) 이듬해 7월
졸가시나무 열매(도토리) 이듬해 10월
졸가시나무 열매(도토리) 이듬해 10월말
졸가시나무 열매(도토리) 이듬해 11월
졸가시나무 열매(도토리) 2년 후 3월
졸가시나무 동아
졸가시나무 동아
졸가시나무 새잎
졸가시나무 새잎
일본 이름은 이 모습을 보고 할머니 모습이나 할머니 눈 같다고 했다는데 납득이 안간다.
졸가시나무 수피
졸가시나무 수피
===========================
チリメンガシ(縮緬樫)
Quercus phillyraeoides f. crispa
변종 중에 이렇게 잎이 쪼그라든 것도 있으나 국제적로는 졸가시나무의 이명으로 처리한다.
ケウバメガシ(毛--)
Quercus phillyraeoides f. wrightii
온 몸에 털이 있는 종도 있다. 이 또한 국제적으로는 이명으로 본다.
'기타 과 식물 > 참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4 너도밤나무 - 울릉도 특산 수종 (0) | 2016.12.11 |
---|---|
213 돌참나무 - 참나무과 리토카르푸스속 상록수, 헨리돌참 (1) | 2016.12.09 |
211 구실잣밤나무, 둥근잎구실잣밤나무 (0) | 2016.12.06 |
210 모밀잣밤나무 (0) | 2016.12.05 |
209 가시나무 종류 구별법 (0) | 2016.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