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참나무
돌참나무
천리포수목원
국어사전에 돌참나무라고 치면 신갈나무가 나온다. 왜냐하면 신갈나무를 부르는 여러 다른 이름 중 하나가 돌참나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 공부할 대상은 우리 자생종 참나무인 신갈나무가 아니라 늘 푸른 상록수이며 잎 모습은 후박나무를 닮았고 열매나 느낌은 가시나무나 잣밤나무를 많이 닮은 나무이다. 그러나 이 나무는 참나무도 아니고 가시나무도 아니며 그렇다고 잣밤나무도 아닌 참나무과의 또 다른 속인 리토카르푸스속으로 분류되는 우리나라 등록 정명이 돌참나무인 남부 수종이다. 일본에서 들어온 외래 재배종 나무이기 때문에 국어사전에도 아직 안 나오는 것이다. 학명을 Lithocarpus edulis로 표기하는데 속명은 열매가 돌같이 단단하기 때문에 붙은 합성어이며 종소명은 식용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후박나무
잎모습이 정말 돌참나무와 많이 닮았다.
이 나무는 일본 고유종이며 원산지 일본명은 마테바시이(マテバシイ : 馬刀葉椎、全手葉椎)인데 맛조개(馬刀貝)를 닮았느니 또는 맛이 맛조개와 비슷하니 하지만 어느 설도 명확하지는 않다. 다만 열매가 구실잣밤나무등과 같이 그냥 생으로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이(椎)라는 이름이 붙은 것 같다. 중국은 이와 동일한 종은 없으나 이 리토카르푸스속을 가속(柯属)이라 하지만 그 이명으로 석력속(石栎属)이라고도 하는데 이 석력이 바로 돌참나무라는 뜻이다. 따라서 우리이름 돌참나무는 학명 리토카르푸스와 중국 이명 석력 그리고 일반 영어명 스톤 오크(stone oak)와 상통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속명도 이해하기 쉽고 세계적으로도 통하는 돌참나무속으로 했으면 좋으련만 왜 학명 Lithocarpus를 알파벳 표기법에 따라서 단순하게 변환한 리토카르푸스속으로 하는지 도대체 이해할 수가 없다.
이 리토카르푸스속은 수꽃화서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암꽃화서와 마찬가지로 위로 솟거나 하나로 되어 있는 특징이 있어 참나무나 잣밤나무 등과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이 돌참나무는 생식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모든 리토카르푸스속 나무 열매들이 떫은 맛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는 자생종이 없지만 세계적으로 무려 300여 종이나 분포하며 그 모두가 무려 120여 종이 분포하는 중국을 비롯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이 돌참나무를 포함한 단 두 종이 일본에서 자생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를 건너 뛰어 일본에서 자생하는 것이 이상하다고 일본에서도 오래 전에 외국에서 들어온 종이 아닌가 하는 의문설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까지도 미국에 자생하는 탄오크(Tanoak : Lithocarpus densiflorus)를 특이하게 아시아가 아닌 지역에서 자생하는 유일한 종으로 판단했으나 유전자 감식 결과 지금은 참나무과 남너도밤나무속(Notholithocarpus)으로 재분류한 바 있다.
미국의 탄오크(Tanoak) Lithocarpus densiflorus
한 때 아시아 이외 지역에서 발견된 유일한 리토카르푸스속 수종으로 파악되었으나 지금은
Notholithocarpus densiflorus로 분류한다.
우리말 돌이란 접두사가 정말 돌(stone)라는 뜻도 있지만 원종보다 못하거나 야생이라는 뜻도 있어 식물이름에서 가끔 좀 혼란스럽다. 참나무과 중 다소 헷갈리는 나무이름들이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런 현상은 어느 나라나 있게 마련이다. 일본도 이 돌참나무를 마치 잣밤나무(椎)인 양 이름을 붙여 도감마다 구실잣밤나무나 모밀잣밤나무와는 다른 종이라고 설명하느라 바쁘다.
돌참나무
1. 참나무과 리토카르푸스속 상록 교목의 정명 (돌 = stone)
2. 참나무과 참나무속 낙엽 교목인 신갈나무의 이명
따라서 돌참나무는 이름은 참나무이지만 실제로는 참나무와는 다른 속이다.
신갈나무의 다른 이름이 돌참나무이다.
그래서 정명이 돌참나무인 외래 재배종과 혼동된다.
돌가시나무
1. 장미과 장미속 반상록 포복성 관목 (가시 = 바늘)
2. 참나무과 참나무속 가시나무아속 개가시나무의 이명 (가시 = 도토리)
돌가시나무는 이름이 가시나무이지만 참나무과와는 전혀 거리가 먼 장미과 장미의 일종이다.
돌가시나무
이게 덩굴성 장미 돌가시나무이므로 개가시나무를 돌가시나무로는 가급적 부르지 않는 것이 좋겠다.
졸가시나무
1. 참나무과 참나무속 참나무아속 상록 교목의 정명
졸가시나무는 그 잘못된 이름 때문에 일반인들은 물론 심지어는 일부 도감에서조차 가시나무아속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온전한 참나무아속이며 단지 상록일 뿐이다.
졸가시나무
이름만 가시나무이지 실제로는 열매가 여느 참나무들과 비슷하다.
등록명 : 돌참나무
학 명 : Lithocarpus edulis Nakai
분 류 : 참나무과 리토카르푸스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일본 고유종
일본명 : 마테바시이(マテバシイ:馬刀葉椎, 全手葉椎)
중국명 : 日本石柯, 可食柯 (정명은 아님)
성정체 : 자웅동주, 자웅이화(단성화)
수 고 : 높이 15m, 지름 60cm
수 피 : 회흑색, 평활. 세로로 흰 선
가 지 : 신가지 담록색, 얕은 5개 골, 초기 갈색인모, 2년째 탈락, 회갈색. 타원형 피목 다수
잎차례 : 어긋나기. 나선상, 끝에 모여나기.
잎크기 : 5~20cm, 폭3~8cm
잎모양 : 도란장 타원형, 후혁질. 끝은 급첨, 기부설형.
잎거치 : 전연
잎면맥 : 측맥은 10~13조
잎면모 : 표면 초기 갈색인모 산생, 곧 탈락, 뒷면 초기 잎맥상 갈모밀생, 후 탈락
잎자루 : 길이 1~2.5cm
탁 엽 : 길이 5mm 선형,을 개화 후 탁락
웅화서 : 길이 5~9cm, 신지엽액생, 여러개, 비스듬히 위로 올라감
수 꽃 : 포옆에 1~3개씩
포 편 : 갈색, 길이 1mm정도
꽃 잎 : 접시 모양으로, 6 렬
수 술 : 12개
수술대 : 길이 4mm가량, 화피 밖으로 자란다.
자화서 : 길이 5~9cm, 신지상부 엽액생 위로 비스듬하게 암꽃이 1~3개
암 꽃 : 지름 1cm, 총포에 휩싸인다.
암술대 : 원주형 3개. 흔하게 자화서 상부에 수꽃
열 매 : 견과. 길이 1.5~2.5cm의 긴 타원형
결실기 : 이듬해 가을에 성숙한다.
각 두 : 직경 1.5cm 공기모양, 표면 와상인편 밀피
견 과 : 바닥은 좀 패여 있음
개화기 : 6월
동 아 : 구형 또는 달걀 모양
내한성 : 우리나라 천리포수목원에서 노지월동 가능
용 도 : 건축용 목재, 가로수, 방풍 방화수, 식용, 양조나 제과 원료
열매는 떫은 맛이 없어 그냥 생으로 먹을 수는 있다. 그래서 종소명이 edulis이다.
돌참나무
천리포수목원
돌참나무
천리포수목원
돌참나무
천리포수목원
돌참나무
천리포수목원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돌참나무 열매 일본에서는 이것도 도토리라고 부른다.
돌참나무
돌참나무
이듬해 개화기까지 전년도 열매는 조그마한 상태로 지속된다.
돌참나무 화서
돌참나무 웅화서
돌참나무 웅화서와 자화서
돌참나무 한 축에 위에는 웅화서 아래는 자화서
돌참나무
표면 심록색, 이면 담록갈색
돌참나무
돌참나무
새 가지에 능선이 보인다.
돌참나무 당해년 9월
돌참나무 익년 7월
돌참나무 익년 7월
돌참나무 익년 9월
돌참나무 2년 후 3월
돌참나무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돌참나무
각두는 인편이 여러겹 와상을 이룸
돌참나무 배꼽이 파여 있다.
돌참나무
=======================
우리나라 리토카르푸스속에는 돌참나무외에 중국 고유종인 헨리돌참이라는 수종이 하나 더 등록되어 있어 간략하게 훑어본다. 이 나무는 작은 가지와 잎 뒷면이 회백색 얇은 납질층으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중국 이름이 회가(灰柯)이다. 헨리는 중국에서 식물탐사를 했던 서양 사람의 이름이다. 이 나무는 돌참나무보다는 내한성이 강하지만 중부지방 노지월동은 대책이 필요하다.
헨리돌참
Lithocarpus henryi (Seem.) Rehd. et Wils.
중국 고유종 중국명 : 회가(灰柯)
헨리돌참
Lithocarpus henryi (Seem.) Rehd. et Wils.
분류 : 참나무과 리토카르푸스속 상록 교목
중국 고유종, 중국명 : 회가(灰柯)
영어명 : Henry's Stone Oak
헨리돌참
Lithocarpus henryi (Seem.) Rehd. et Wils.
중국 고유종 중국명 : 회가(灰柯)
헨리돌참
Lithocarpus henryi (Seem.) Rehd. et Wils.
중국 고유종 중국명 : 회가(灰柯)
'기타 과 식물 > 참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5 일본너도밤나무 중국너도밤나무 미국너도밤나무 유럽너도밤나무 등 외래 너도밤나무들 (0) | 2016.12.12 |
---|---|
214 너도밤나무 - 울릉도 특산 수종 (0) | 2016.12.11 |
212 졸가시나무 - 외래 상록 참나무 (0) | 2016.12.06 |
211 구실잣밤나무, 둥근잎구실잣밤나무 (0) | 2016.12.06 |
210 모밀잣밤나무 (0) | 2016.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