찔레꽃
찔레꽃
우리나라 전역에 봄이면 사람들로부터 별 주목을 받지는 못할 만한 산기슭 외진 곳이나 척박한 땅에서 매우 상큼한 향기가 나는 하이얀 꽃을 다복하게 피워주는 야생 떨기 꽃나무가 있는데 이를 찔레 또는 찔레나무, 찔레꽃이라고 부른다. 그 꽃 크기가 좀 작기는 하지만 생긴 모습은 우리가 공원이나 정원에서 보는 장미와 흡사한데도 아무도 이 나무를 장미라고 인식하지는 않는다. 가끔 장미의 조상이라는 말을 들을 뿐이다. 마치 장미는 따로 있고 이건 별 쓸모 없는 나무로 취급을 받는다. 이건 아니다. 이 찔레가 바로 장미의 원조이면서 현존하는 진짜 장미인 것이다. 이 찔레는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자생하는데 우리나라를 제외한 세상 모든 사람들이 이 나무를 장미(rose)라고 부르고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들장미라고 야장미(野薔薇) 및 노이바라(ノイバラ : 野茨)로 부르며 서양에서는 꽃이 많은 장미라는 뜻으로 multiflora rose라고 부른다.
우리이름 찔레는 가시가 있어 찔린다는 뜻에서 온 것으로 일반적으로 풀이하는데 과거에는 딜위라고 불렸으며 동의보감에도 딜위 여름이라고 명시된 찔레 열매 즉 영실(營實)의 약효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딜위를 아그배의 방언 딜구배에서 파생되었다고 풀이하며 따라서 찔레의 딜위가 해당화의 당(棠)이나 생열귀나무의 열귀가 모두 같은 맥락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리고 동의보감은 한자로 쓰여진 의학서이지만 탕액편에는 수백 종의 약재 이름을 백성들이 알아보기 쉽게 친절하게도 한글로 풀이한 허준선생 덕분에 우리가 그 시대의 식물들의 우리말 이름을 알 수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이 나무는 찔레와 찔레나무외에도 가시나무나 찔구나무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는데 왜 하필이면 찔레꽃이라는 이름을 국명으로 정하였는지 모르겠다. 그럼 이 나무의 꽃을 정확하게 지칭할 때는 찔레꽃의 꽃이라고 표현하여야 한다. 나무를 무궁화 같이 한자어로 xx화(花)로 부르는 것은 익숙하지만 한글로 xx꽃이라고 부르니 좀 어색하다. 그냥 찔레나 찔레나무로 했으면 무난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것을 보면 찔레꽃은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한 것으로 보여지는데 아마 한자를 쓰던 시절 글자로는 중국을 따라서 장미(蔷薇)라고 표기했을 가능성이 높다.
장미(蔷薇)라는 이름은 중국에서는 온 것이 분명한데 중국의 장미는 현재 우리가 장미라고 하는 의미와는 조금 다르다. 우리는 일본을 따라서 장미속 전체 나무를 통칭하지만 주로 개량된 원예종들을 지칭하는데 반하여 중국에서 장미(蔷薇)는 주로 덩굴장미를 말하며 꽃이 작은 대신에 일 년에 한번 많은 송이가 한꺼번에 피는 품종을 말한다. 원래 장미라는 이름은 담장(墙)에 기대어 자라는 궁궁이(蘼)같다고 장미(蔷蘼)로 불리다가 현재의 장미(蔷薇)가 되었다고 본초강목에서 이시진이 풀이한 바와 같이 중국 내에서는 주로 덩굴장미를 뜻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찔레꽃을 중국에서는 야장미(野蔷薇)라고 하는데 이를 중국 장미의 원종으로 보고 있으며 2천 년 전 한무제의 상림원에 심은 장미 등 중국 고문서에 등장하는 장미는 거의 모두 이 찔레꽃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여기서 중국 장미는 장미속 전체를 통칭하는 말은 아니다. 중국에는 서양의 로즈(rose)에 대응하는 이름으로 장미외에도 매괴(玫瑰)와 월계(月季)가 더 있다.
많은 사람들이 찔레꽃이 소박하여 크게 대접을 받지는 못하지만 은은한 향기를 풍기는 작지만 다복한 꽃을 피워주며 사람들의 사랑을 받을 날을 한없이 기다리는 순박한 모습을 연상하며 한편으로는 배고픈 시절 꽃잎과 새순을 따서 먹던 기억에 우리 민족의 애환이 서린 꽃으로 생각을 하게 된다. 게다가 먼 옛날 원나라 공녀로 끌려간 소녀 찔레의 전설과 최근 북간도로 이주한 민족의 고달픈 삶과 전장으로 끌려 간 동무의 슬픔을 그린 노랫말과도 어울어져 우리 민족의 꽃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정작 서양에서는 이 나무를 일본 장미(Japanese rose)라고 부른다는 것에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가 없다. 2천 년의 장미 재배 역사를 가진 중국도 아니고 최근 우리에게 아픔을 준 가해국인 일본 장미라니 참으로 안타깝기 그지없다.
이게 다 린네의 제자 튠베리(Carl Peter Thunberg)가 동양의 식생을 조사하러 일본에 와서 1775년부터 약 2년 간 머물면서 많은 새로운 식물들을 서양에 보고하였는데 그 중 상당수는 우리나라나 중국에서도 자생하는데도 마치 일본 특산식물인 양 알려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매화나 동백과 같이 상당수 식물들의 학명에 그 식물의 일본이름(mume)이나 일본이라는 나라 이름(japonica) 자체가 들어가게 명명하기도 하였으며 이 찔레와 같이 그렇지는 않더라도 영어 일반명이 일본 장미로 불려지게 된 것이다. 그 당시 1775년은 우리나라에서는 정조가 막 대리청정하던 시절이며 다산 정약용등 실학자들을 중용하던 현명한 군주 정조가 통치하던 시절이라 튠베리가 우리나라에 왔었더라면 아마 우리나라 식물역사가 달라졌을 것인데 참으로 아쉽다.
등록명 : 찔레꽃
이 명 : 찔레나무, 가시나무 등
학 명 : Rosa multiflora Thunb.
분 류 : 장미과 장미속 덩굴성 관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중국명 : 야장미(野薔薇), 장미(墙靡), 자화(刺花), 영실장미(营实墙靡),다화장미(多花蔷薇),장미(蔷薇)
일본명 : 노이바라(ノイバラ : 野茨)
영어명 : multiflora rose, baby rose, Japanese rose
줄 기 : 소지 원주형, 통상무모, 짧고 약간 거치고 휘어짐
소 엽 : 5~9, 근화서 가끔 3, 연엽병장 5~10cm
소엽편 : 도란형, 장원형혹란형,
잎크기 : 1.5~5 x 0.8~2.8cm
잎모양 : 선단급첨혹원둔, 기부근원형혹설형, 변연유첨예단거치, 희혼유중거치
잎면모 : 상면무모, 하면유모(柔毛), 소엽병과 엽축 유모혹무모, 산생선모
탁 엽 : 빗모양, 대부분 엽병에 첩생, 변연유혹무선모
꽃차례 : 다타, 배성원추상화서
꽃자루 : 1.5~2.5cm, 무모혹선모, 유시기부 비치상 소포편
꽃크기 : 직경 1.5~2cm
꽃받침 : 피침형, 중부2개선형렬편, 외면무모, 내면유모
꽃색상 : 백색,
꽃부리 : 관도란형, 선단미요, 기부설형
꽃향기 : 있음
암술대 : 결합성속, 무모, 수술보다김
열 매 : 근구형, 직경 6~8mm, 홍갈색혹자갈색, 광택, 무모, 악편탈락
용 도 : 정원수, 식용, 담금주, 약용, 생약명 - 영실, 자리화(刺莉花), 백잔화(白残花)
자생지 : 양지를 좋아하며 비옥하면서 소나무가 적은 약한 산성토양이 최적지임
가끔 찔레꽃만이 주로 서양 원예종 장미들의 원종인양 소개되는 경우를 보는데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장미 원예종들의 원종으로 많이 사용되는 중국 월계화와 프랑스장미, 백장미 등 전세계 약 10종의 원종 장미들 중의 하나일 뿐이다. 참고로 우리나라 자생종 중에서는 찔레꽃 못지않게 돌가시나무도 품종개량 원종으로 많이 사용된다.
엽축에 유모가 밀생하고 선모가 산생한다.
빗모양의 탁엽이 주로 엽병에 첩생한다.
꽃받침 내면에는 유모로 덮여있다.
열매자루에는 털이 없거나 샘털이 있다.
찔레꽃에는 하위 분류군으로 몇몇 변종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자생하는 잎과 열매자루에 털이 많은 털찔레와 중국에서 자생하는 분단장미(粉团蔷薇)만 변종으로 인정을 받고 있고 나머지 우리나라 좀찔레나 중국의 분홍색 겹꽃이 피는 칠자매(七姉妹)나 백색 겹꽃이 피는 백옥당(白玉堂)은 모두 찔레꽃의 유사종으로 취급을 받아 이명처리 되고 있다.
털찔레 - 찔레의 변종
Rosa multiflora var. adenochaeta
분단장미 - 찔레의 변종
Rosa multiflora var. cathayensis
칠자매 - 찔레의 변종
Rosa multiflora var. carnea
이명 :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이 변종을 우리나라에서 특별히 덩굴장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백옥당 - 찔레의 변종
Rosa multiflora var. albo-plena
여기서 일제강점기인 1942년 백난아가 부른 너무나도 유명한 국민가요 찔레꽃의 가사에 대하여 알아보자. 노래의 처음을 '찔레꽃이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고향'이라고 시작한다. 여기서 왜 찔레꽃이 붉은 색이냐며 의문을 표시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혹자는 찔레가 아니라 해당화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렇다. 찔레꽃이 붉다는 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식인들이 아무리 식물에 관심이 없었다고 하여도 명색이 유명한 아동문학가이며 시인이던 작사가 김영일선생이 해당화와 찔레를 구분하지 못했을 리가 없다. 게다가 516 군사정권 당시 당국에 불려가 검열을 받으면서 북에서 많이 쓰는 1절의 '동무야'라는 가사는 '사람아'로 2절의 '세 동무'는 '동창생.으로 고쳤으나 문제가 된 붉은 색은 그대로 둔 것을 보면 나름대로 해명이 된 것으로 보인다.
털찔레
우리 자생종이다.
우리 자생종 중에서 털찔레라는 찔레의 변종이 있는데 이 나무의 꽃이 위 사진에서 보듯이 연분홍색이다. 우리나라 남부와 일본에서 자생하는데 그리 흔한 나무는 아니지만 그래도 일본에서는 더러 볼 수 있는 붉은색 계통의 찔레이다. 남부지방 출신인 작사가가 고향에서나 혹은 일본 유학 중에 봤을 수가 있다. 또 하나의 가능성은 이 노래의 배경이 만주 북간도이다. 아래의 가사 3절을 보면 이 노래의 배경은 북간도이고 꽃 색상은 연분홍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즉 붉은 찔레는 상상 속에서는 남쪽나라 내고향에도 피겠지만 실제로는 북간도에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남쪽나라는 딱히 우리나라 남부지방이라기 보다는 만주의 남쪽인 우리나라 전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따라서 북간도에서 봤다는 유난히 붉은 찔레는 중국의 북방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찔레의 변종인 분단장미(粉团蔷薇)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물론 찔레가 아닌 북쪽 만주지방에서 많이 자라는 찔레 비슷한 붉은 꽃이 피는 인가목이나 생열귀나무를 찔레로 착각하였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 나라 내 고향/ 언덕 우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고름 입에 물고 눈물 젖어/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 잊을 동무야
달 뜨는 저녁이면 노래하던 세 동무/ 천 리 객창 북두성이 서럽습니다
삼 년 전에 모여 앉아 백인 사진/ 하염없이 바라보니 즐거운 시절아
연분홍 봄바람이 돌아드는 북간도/ 아름다운 찔레꽃이 피었습니다
꾀꼬리는 중천에서 슬피 울고/ 호랑나비 춤을 춘다 그리운 고향아
일제강점기에 나라잃은 백성이 이국땅인 두만강 건너 북간도까지 가서 새로운 삶을 개척하는 고달픈 현실과 친구가 보여준 사진 속 여자 동창생 세 명 중 하나가 잘못되어 고향을 떠나 저 멀리 전장으로 갔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 아픔을 노래 가사로 만들고 김교성이 작곡하여 제주도 출신 청진 소녀 백난아가 불러 전국 콩쿨대회에서 1등을 하여 일약 스타가 된 노래이다. 해방 후 작사가 고 김영일은 군사정권에 의하여 가사를 고치는 수모를 당하였으며 나중 민주화 이후에는 과거 행적으로 뒤늦게 친일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참으로 안타깝다. 김영일이 어떤 사람인지 전혀 잘 모르지만 요즘도 인사청문회를 하면 일생을 흠없이 산 사람이 없던데 그 어려운 시절을 힘겹게 살아남은 우리 선배들의 일생을 뒤져 현재의 기준으로 판단하고 매도해야만 한다는 것이 불행이 아니라고 할 수가 없다. 극히 악질적인 친일부역자를 제외하면 모두가 피해자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역시 별처럼 슬프고 달처럼 서러운 우리의 찔레꽃이다.
분단장미(粉团蔷薇)
북간도에 있었을 법한 찔레의 변종
이 정도면 찔레꽃도 붉게 핀다고 충분히 말할 수 있다.
작사가 김영일은 북간도에서 본 이 붉은 색이 민족의 애환이 꽃잎마다 스며들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장미과 장미아과 > 장미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4 용가시나무 - 덩굴성 토종 장미의 일종 (2) | 2017.06.06 |
---|---|
332 털찔레 - 토종 붉은 찔레꽃 (0) | 2017.05.22 |
330 인가목 생열귀나무 해당화 흰인가목 둥근인가목 등 토종 직립 장미 5종 구분 포인트 (0) | 2017.05.04 |
329 둥근인가목 - 우리 토종 장미 (0) | 2017.05.03 |
328 흰인가목 - 우리나라 야생 장미 (0) | 2017.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