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동백나무
10~20 송이의 꽃이 모여 긴 총상화서를 구성하는 것이 몇 송이 모여서 피는 아래 때죽나무와 구분이 된다.
때죽나무
때죽나무는 2~8개의 꽃이 모인 짧은 총상화서이지만 꽃자루는 길다.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에는 모두 8종이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 우리 자생종은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 그리고 좀쪽동백나무 등 3종이다. 쪽동백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된 낙엽 소교목으로서 그 이름만 들어봤을 때는 동백나무와 관련이 깊은 듯 하지만 실상은 차나무과의 동백나무와는 다소 거리가 먼 때죽나무속으로 분류되어 오히려 때죽나무와 매우 유사하다. 그런데도 동백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이유는 이 나무도 동백나무와 마찬가지로 열매로 기름을 짜서 머릿기름 등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앞에 쪽이 붙은 이유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그 열매의 크기가 동백보다는 작기 때문이라고 대부분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쪽은 쪽방이나 쪽문 등의 앞에 붙는 접두사로서 '작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쪽동백나무는 우리나라 외에도 중국과 일본에서도 자생하는데 중국과 일본 그 어디에도 동백나무와 관련된 이름이 없다. 따라서 쪽동백은 우리 독창적인 이름이 분명하다.
좌 : 쪽동백나무, 우 : 동백나무
비슷한 용도로 열매 기름을 이용하지만 열매의 크기가 동백나무에 비하여 작으므로 쪽동백이라고 한다.
학명은 일본에 체류하던 독일 의사 지볼트가 수집한 표본을 근거로 1839년 독일 식물학자 Joseph Gerhard Zuccarini(1797~1848)가 Styrax obassia로 명명하였는데 이 또한 때죽나무와 마찬가지로 일본의 흔적이 다분히 남아 있는 이름이다. 속명 Styrax는 수지에서 향을 추출하기 때문에 그 이전에 린네가 붙인 이름이지만 종소명 obassia가 바로 이 쪽동백나무의 일본 이명 オオバヂシャ(大葉萵苣)의 일본 발음에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이 나무의 잎이 송양나무를 닮아 큰잎송양나무라는 뜻이다. 참고로 송양나무는 우리나라 제주도와 여수에서도 자생하는 나무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희귀수종이지만 중국과 일본에서 널리 자생하며 일본에서는 이 나무 잎에서 상추(萵苣)맛이 난다고 치샤노키(チシャノキ : 萵苣の木)라고 부른다.
송양나무 포스팅 바로가기 ☞ http://blog.daum.net/tnknam/611
딕슨 송양나무 (Ehretia dicksonii)
이를 일본에서 마루바치샤노키(丸葉萵苣の木 : マルバチシャノキ)라고 한다.
특히 이 둥근잎 송양나무가 쪽동백나무 잎을 많이 닮았다.
그러나 이 쪽동백나무의 일본 정명은 ハクウンボク(白雲木)인데 이는 개화기 이 나무의 꽃이 마치 흰구름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또 다른 원산지 중국에서는 옥령화(玉铃花)라고 부르는데 이는 조롱조롱 달린 꽃이 옥령(玉铃) 같이 생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여기서 옥령은 옥으로 만든 령 즉 방울을 뜻하기 보다는 아름다운 방울을 뜻하는 미칭(美稱)으로 보면 될 것 같다. 중국에서 자생하는 약 30여 종의 때죽나무속 수종 중에서 내한성이 가장 강하여 최북단 요녕성에서도 자생하는 종이라고 한다. 영어 일반명도 같은 맥락으로 백색 방울 즉 snowbell로 표현한다. 그러나 Japanese snowbell이라고 부르는 때죽나무와 구분하기 위하여 쪽동백나무에는 향기까지 더하여 fragrant snowbell이라고 한다. 그러나 꽃향기로 말하자면 쪽동백나무만 향기가 좋은 것은 아니고 때죽나무도 매우 좋아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이 것이 옥령(玉铃) 즉 옥으로 만든 종인데 옥령화의 옥령은 방울이나 종의 미칭으로 보면 된다.
등록명 : 쪽동백나무
이 명 : 정나무, 물박달, 산아즈까리나무, 때쪽나무 등
학 명 :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분 류 :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중국명 : 옥령화(玉铃花), 노개피(老开皮)
일본명 : ハクウンボク(白雲木), オオバヂシャ(大葉萵苣)
영어명 : fragrant snowbell
수 고 : 6~15m, 지름 15cm
수 피 : 화갈색, 평활
가 지 : 눈지약편, 상피갈색성상장유모, 성장후무모, 원주형, 자홍색
상부엽 : 지질, 생소지최상부, 호생, 관타원형 혹 근원형
잎크기 : 5~15 x 4~10cm
잎모양 : 정단급첨 혹 점첨, 기부근원형혹 관설형, 변연조거치
잎면모 : 상면무모혹 근엽맥상소피회색성상유모, 하면밀피회백색성상융모
잎면맥 : 측맥매변5~8조, 제3급소맥근횡출, 재하면명현융기
잎자루 : 1~1.5cm, 황갈색성상장유모, 기부팽대 성 초상(鞘状)포위동아
하부엽 : 소지최하부의 양엽 근대생, 타원형혹 란형, 4.5~10 x 3~5cm, 정단급첨, 기부원형, 엽병 3~5mm, 기부불팽대
화 색 : 백색 혹 분홍색, 장 1.5~2cm
향 기 : 방향
화 서 : 총상화서정생 혹 액생, 6~15cm, 하부화 상생 엽액, 10~20송이, 기부 2~3분지, 화서경과화서축 근무모
화 경 : 3~5mm, 밀피회황색성상단융모, 상초향하만
소포편 : 선형, 장3~5mm, 조락
화 악 : 배상, 높이5~6mm, 너비 4~5mm, 외면밀피회황색성상단융모, 정단불규칙5~6치, 악치3각형혹피침형
화 관 : 열편 막질, 타원형, 1.3~1.6 x 0.4~0.5cm, 외면밀피백색성상단유모, 화뢰시작복와상배렬, 화관관장약4mm, 무모
웅 예 : 화관열편보다 짧음
화 사 : 편평, 상하근등관, 소피성상유모혹근무모
화 주 : 화관열편과 근등장, 무모
열 매 : 난형혹근란형, 지름 10~15mm, 정단구단첨두, 밀피황갈색성상단융모
종 자 : 장원형, 암갈색, 근평활, 무모
화 기 : 5~7월
과 기 : 8~9월
내한성 : 영하 28도
용 도 : 목재 견경, 탄성, 무늬치밀, 가공용이, 기구재, 조각재, 방향유, 종자유 비누, 윤활유, 구충제, 방부제 등
쪽동백나무
우리나라에서는 산에 너무 흔해서 그런지 공원이나 정원에 심어진 것을 보기는 쉽지 않다.
쪽동백나무
산에서는 이런 모습의 수형을 보기 어렵지만 개활지에 심으면 훌륭한 정원수가 된다.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잎의 모양이 다양하며 가지 끝 잎이 더 크다.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양성화로서 수술 10개에 암술 하나이다.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 단풍
쪽동백나무
가지 끝 엽병이 부풀어 커지면서 그 속에서 동아가 생성된다.
이를 엽병내아(葉柄內芽)라 하며 쪽동백나무의 가장 확실한 구분 포인트가 된다.
쪽동백나무 엽병내아(葉柄內芽)
잎자루가 떨어져 나가기 전 모습
쪽동백나무 엽병내아(葉柄內芽)
쪽동백나무 엽병내아(葉柄內芽)
쪽동백나무 엽병내아(葉柄內芽)
쪽동백나무 동아
쪽동백나무
잔가지는 얇게 벗겨진다.
쪽동백나무 수피
쪽동백나무 수피
매끄럽다.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의 구분 포인트
같은 때죽나무속 수종으로서 꽃과 열매의 모습이 매우 흡사한데다가 둘 다 과피를 비누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심지어는 물고기 잡이용 독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비슷한 수종이지만 찾아보면 다른 점이 매우 많다.
1. 쪽동백나무는 소교목 또는 교목으로서 높이가 10m를 넘게 자라지만 때죽나무는 그런 경우가 드물다.
2. 같은 총상화서이지만 쪽동백나무는 20~30송이가 모인 매우 긴 화서라는 점에서 2~8 송이가 모인 짧은 화서의 때죽나무와 다르다.
3. 쪽동백나무는 잎자루가 부풀어 커지면서 그 속에서 동아가 생성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4. 잎의 모양과 크기에서 엄청 차이가 난다.
좌 : 쪽동백나무, 우 : 때죽나무
5. 열매의 크기와 열매 자루의 길이가 차이가 난다.
좌 : 때죽나무, 우 : 쪽동백나무
때죽나무의 열매자루가 더 길고 열매의 크기는 작다.
6. 동아의 크기에서 차이가 난다.
좌 : 때죽나무, 우 :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의 동아가 훨씬 크고 도톰하다.
'기타 과 식물 > 때죽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9 대만때죽나무 - 중국, 대만 원산 대만안식향(台湾安息香) (0) | 2018.04.16 |
---|---|
468 헴슬리때죽나무 - 중국 원산 노괄령(老鸹铃) (0) | 2018.04.15 |
467 좀쪽동백나무 - 국내서는 지리산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종 (0) | 2018.04.14 |
465 때죽나무 - 고급 정원수로 손색이 없는 우리 자생종 (0) | 2018.04.07 |
464 때죽나무속(Styrax)과 안식향(安息香) 그리고 소합향(苏合香) (0) | 201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