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2 꽝꽝나무 꽝꽝나무 감탕나무속 우리 자생종인 감탕나무, 먼나무, 대팻집나무 및 호랑가시나무와 더불어 실질적인 5개 수종 중 하나인 꽝꽝나무를 알아본다. 이 나무는 이름만 들어봐도 순수 우리말임을 알 수 있다. 나무잎에 포함된 수분이 불에 타도 배출되지 못하고 팽창하다가 급기야는 꽝하면..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8
221 동청목(冬靑木) - 중부지방 월동가능한 최고의 상록 정원수 동청목 열매를 보려면 반드시 주변에 수그루가 있어야 한다. 그럼 이번에는 우리나라에 동청목(冬青木)으로 등록된 Ilex pedunculosa에 대하여 알아본다. 원산지는 중국과 일본이다. 감탕나무과 상록수로서는 예외적으로 내한성이 매우 강하여 서울 경기 등 중부지방에서도 거뜬히 노지..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7
220 중국먼나무 - 동청목과 개동청목의 정체 중국먼나무 많은 사람들이 이 나무를 개동청목이라고 부른다. 감탕나무속으로 등록된 368종의 식물 중에서는 우리 자생식물은 단 7개 뿐이다. 앞에서 이미 살펴 본 감탕나무와 먼나무 외에 대팻집나무와 민대팻집나무 그리고 꽝꽝나무, 좀꽝꽝나무 및 호랑가시나무가 우리나라 자생종이..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6
219 먼나무 ← 먹나무 ← 먹낭 먼나무 감탕나무속 나무들 중에서 가장 크게 자란다는 먼나무는 우리나라 제주도와 보길도 등 극히 제한된 남부 지역에서만 자라는 수종이다. 겨울이면 아름다운 빨간 열매를 이듬해 봄까지 오랫동안 달고 있어 시선을 끄는 나무이다. 그래서 제주도 외에도 부산 여수 순천 함평 등 남부..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4
218 감탕나무 - 새 잡는 끈끈이를 만드는 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이제 참나무과는 뒤로하고 감탕나무과로 넘어간다. 우리나라 참나무과의 대표이랄 수 있는 참나무와 밤나무의 탐구는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학명 Aquifoliaceae로 표기되는 감탕나무과는 고대 화석에서는 발견되지만 현존하는 식물로는 유일하게 학명 Ilex로 표기..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