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옥란속 61

1084 엘롱가타목련 - 스프렝게리목련에 통합 또는 그 변종

엘롱가타목련의 학명 Magnolia elongata (Rehder & E.H. Wilson) Millais는 원래 1913년 어네스트 윌슨과 알프레드 리더교수에 의하여 백목련의 변종 형식으로 명명되었던 학명 Magnolia denudata var. elongata를 독립된 원종으로 승격시켜서 영국의 동식물 전문화가 겸 자연학자인 John Guille Millais(1865~1931)가 1927년에 명명한 것이다. 백목련에 비하여 잎이나 열매가 길쭉하다고 봤던 것 같다. 그런데 이 수종은 백목련보다는 1915년 이탈리아 학자가 명명한 스프렝게리목련 즉 학명 Magnolia sprengeri의 변종으로 분류되어 Magnolia sprengeri var. elongata라고 하다가 최근에는 아예 스프렝게리목련..

1083 디바목련은 스프렝게리목련에 통합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국표식에 디바목련으로 등록된 수종은 셋이다. 하나는 원종이고 둘은 원예품종인데 원예품종 중 하나는 원종의 표기가 다르다. 이게 무슨 말인지 다음과 같이 표시하면 이해하기 쉽다. 디바목련 : Magnolia sprengeri var. diva Stapf ex Johnstone 디바목련 '에릭 새빌' : Magnolia sprengeri var. diva 'Eric Savill' 디바목련 '클라레 컵' : Magnolia diva 'Claret Cup' 둘은 디바목련을 스프렝게리목련의 변종으로 Magnolia sprengeri var. diva라고 학명 표기하고 있는데 마지막 하나는 독립된 원종으로 Magnolia diva라고 표기하고 있다. 그런데 국제적으로는 현재 디바목련을 대부분 그냥 스프렝게..

1082 자주목련은 스프렝게리목련에 통합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국표식에 2011년에 자주목련이라는 국명으로 학명 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Maxim.) Rehder & E.H. Wilson로 등록된 목련속 수종이 있다. 이는 1907년부터 1910년 사이에 20세기 최고의 식물채집가인 어네스트윌슨이 중국 호북성 의창 인근에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하버드대학 Alfred Rehder(1863-1949)교수와 함께 1913년 꽃의 색상이 자주색이라고 명명한 학명이다. 이는 원래 1872년 러시아 식물학자 맥스모비치가 명명한 Magnolia conspicua var. purpurascens Maxim.를 속명을 변경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1806년 영국 식물학자인 Richard Anthony Salisbury(1761-..

1081 스프렝게리목련 = 자주목련 = 디바목련 = 무당옥란(武当玉兰)

스프렝게리목련은 중국의 중부지역인 섬서 감숙 하남 호북 호남과 사천성 등 여러 성에 걸쳐 제법 폭넓게 분포하는 매우 아름다운 붉은 장미색 또는 짙은 자색이나 흰색의 꽃이 피는 낙엽성 목련의 일종으로서 키가 21m까지 자라는 교목이다. 중국에서는 이를 호북목란(湖北木兰) 또는 영춘수(迎春树) 등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표본이 무당산(武当山)에서 채취되었다고 무당목란(武当木兰)이라고 하다가 최근에 옥란속으로 분류되면서 무당옥란(武当玉兰)이라고 부른다. 우리 이름 스프렝게리목련은 학명 Magnolia sprengeri에서 온 것인데 이 학명은 이탈리아 식물학자 Renato Pampanini (1875~1949)가 1912년 프란체스코회 신부인 Cipriano Silvestri가 중국 호북성 무당산(武当山)에서 채..

1080 로부스타목련과 로부스타목련 '블러드 문'

바로 앞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 로부스타목련이라고 등록된 학명 Magnolia sargentiana var. robusta Rehder & E.H. Wilson은 1908년 미국의 전설적인 식물 채집가 에네스트 윌슨이 중국 사천성 낙산시에 있는 해발 3236m의 대와산(大瓦山) 2300m 고지에서 사전트목련과 함께 발견하였으나 원종대비 잎과 열매가 튼튼하다고 robusta라는 종소명을 사용하여 명명한 변종인데 최근에 국제적으로 이를 변종으로 인정하지 않고 모두 원종에 통합시켜 분류한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로부스타목련은 원종인 사전트목련에 통합시키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등록명 : 로부스타목련 = 사전트목련 학 명 : Magnolia sargentiana var. robusta Rehder..

1079 사전트목련 = 요엽옥란(凹叶玉兰)

정말 중국은 인구도 많지만 땅도 960만km²로 10만 km²인 우리 남한의 96배에 달하고 22만 km²인 남북한을 합한 면적으로 따져도 43배나 된다. 넓기도 하지만 남으로 열대기후부터 북으로 만주나 내몽고 등 혹한기후까지 다양한 기후대가 존재한다. 게다가 히말라야 고산지대도 있고 타클라마칸사막이나 고비사막 등 매우 건조한 지역도 있어 식물 분포도 매우 다양하여 자생하는 식물의 종이 수만을 헤아린다. 그야말로 세계 식물의 보고인 것이다. 전세계 식물 약 36만 7천 종 중에서 중국에 자생하는 종은 약 3만 2천 종에 달하여 약 9%가 되며 우리나라는 4천 종으로 겨우 1.1%에 지나지 않는다. 단순하게 식물의 종만 따지자면 아프리카나 아메리카 열대지역도 만만치는 않지만 워낙 우리에게는 생경한 종들이거..

1078 보화목련 = 보화옥란(宝华玉兰)

보화목련(宝华玉兰)은 중국 강소성(江苏省) 진강시(镇江市)에 있는 보화산국가삼림공원(宝华山国家森林公园)에서만 겨우 몇 그루 자생하는 중국 고유 멸종위기종이다. 보화산에서 발견되었다고 중국에서는 보화목란이라고 하다가 최근에 보화옥란(宝华玉兰)이라고 한다. 이는 그동안 화석으로만 존재하던 메타세쿼이아를 중국에서 발견하고 명명하여 일약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중국의 수목학자인 정만균(郑万钧, 1908~1987)원사가 1933년 Magnolia zenii W.C.Cheng라고 명명한 것인데 종소명 zenii는 독일 출신 미국 식물학자 겸 탐험가인 Frederick Adolf Wislizenus(1810~1889)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뜬금없이 일면식도 없고 아시아와는 무관한 미국과 멕시코에서 식물 탐사 활동을 한..

1077 도슨목련 - 중국 원산 광엽옥란(光叶玉兰)

도슨목련은 중국 사천성이 원산지이며 중국명은 잎에 광택이 있다고 광엽옥란(光叶玉兰)으로 불린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이름이 도슨목련인 것은 학명이 Magnolia dawsoniana이기 때문이다. 이 수종은 1869년 프랑스 신부 Armand David (1826~1900)에 의해서 처음 서양에 소개되었다고 한다. 데이비드신부는 중국에서 선교활동 중에 엄청난 양의 식물 표본을 채집하여 유럽으로 보내서 프랑스 식물학자 Adrien René Franchet (1834~1900)가 주로 그의 이름으로 신종으로 명명하게 한 동식물학자이기도 하다. 그래서 중국 원산 식물 중에 그의 이름이 들어간 종이 매우 많다. 손수건나무는 아예 속명이 Davidia이며 그 외에도 데이비드사피단풍이나 데이비드회화나무 데이비드삼지구..

1076 천목산목련 = 중국 천목옥란(天目玉兰)

천목산목련의 학명 Magnolia amoena W.C.Cheng는 1934년 중국의 유명한 임학가인 정만균(郑万钧, 1908~1987)원사가 절강성 천목산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멋지다 아름답다는 뜻인 종소명 amoena를 사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정만균원사는 메타세쿼이아속을 신설하여 명명에 관여한 학자이며 절강성 항주시에 있는 천목산은 매우 다양하고 진귀한 동식물이 많이 서식하기로 유명하여 유네스코에 의하여 세계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이기도 하다. 특히 2002년 조사에 의하면 지름 1m 이상의 나무들이 660여 그루나 자생하고 있어 대수왕국(大树王国)으로 불리어 국내외 방문객들이 많이 찾는 지역이다. 천목산은 동서 양봉의 정상에 호수가 있으므로 하늘의 눈이라는 뜻으로 한나라 때부터 천목산(天..

1075 백목련 '퍼플 아이'

Magnolia denudata 'Purple Eye'로 표기되는 백목련 '퍼플 아이'는 백목련과 매우 흡사하지만 꽃의 화피편 기부 안쪽에 짙은 자색 무늬가 있으며 바깥쪽에 옅은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73년 영국의 J.C. Williams에 의하여 선종되었으며 영국의 유명한 Veitch Nurseries에 의하여 백목련의 원예품종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색 반점이 약하여 일부에서는 백목련과 자목련의 교잡종인 접시목련 즉 Magnolia x soulangeana와 백목련을 재교잡하여 육종한 품종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1950년판 Camellias And Magnolias 도감에 'PurpleEyed'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품종과 동일하다는 이야기도 있다. 등록명 : 백목련 '..